• 제목/요약/키워드: fish eggs (魚卵)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희귀종 남방황성대(Peristedion liorhynchus)의 한국해 유입 증거 혼합 어란의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법(high-throughput sequencing)으로 발견 (Evidence of Intrusion of a Rare Species, Peristedion liorhynchus, into Korean Waters Based on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the Mixed Fish Eggs)

  • 최해영;진병선;박경수;김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5
    • /
    • 2022
  • 한국 근해에서 희귀종 남방황성대(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출현은 이 종의 산란이나 성체의 유입 가능성을 암시한다. 우리는 2013, 2014, 2017년 5~8월 한국 연안의 123개 정점에서 수집한 어란 31,776개의 미토콘드리아 COX1 유전자에 대해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high-throughput sequencing, HTS)을 실시하였다. 확보한 21,621,874개 리드(reads)를 남방황성대(P. liorhynchus) COX1 참조염기서열(reference sequence)에 매핑(mapping)하여 이 종과 유전적 유사성이 높은 일치서열(consensus sequence)(313 bp)을 거제도와 울진(5월), 울산(7월) 주변해에서 발견하였다. 이 일치서열은 황성대속 maximum-likelihood tree에서 남방황성대 계통군에 속하였다. 남방황성대 계통군의 평균 유전적 거리(0.0054±0.0046)는 황성대속 내 계통군 간 평균 유전적 거리(0.1475±0.0396)보다 적었다. 이는 HTS 기반의 혼합 어란 분석을 남방황성대와 같은 희귀종 모니터링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Spawning of the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into the Mussel)

  • 송호복;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9-50
    • /
    • 1994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의 패류 체내 산란에 관하여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강원도 춘천시에 위치한 의암호에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은 패류 체내 산란시 조개의 크기에 관계없이 산란숙주로 선호하는 종이 있었으며 선호하는 종내에서는 큰 개체를 선택하였다. 산란숙주로는 석패과의 말조개, 작은말조개, 곳체두드럭조개, 작은대칭이 등의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석패과의 도끼조개, 재첩과, 산골과의 패류에는 산란을 하지 않았다. 조개 안의 어란과 자어는 대부분 내반새에 위치하였고 말조개에서 발견되는 어란과 자어의 수는 1-35개(마리) 사이였으며 한 개체당 평균 3.6개(마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 종은 비교적 부화가 빠르고 부화 직후에 이미 표피상돌기와 익상돌기가 생성되어 있었으며 꼬리운동이 활발하였는데 이는 조개의 반새안에서 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된다.

  • PDF

가시화기법을 이용한 다단형 하이드로 사이클론 어란 (魚卵) 집진장치의 개선에 관한 연구 (An advanced study of multi-stage type hydrocyclone dust collector for fish egg collecting using Visualization)

  • 최은희;편용범;이승헌;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404-412
    • /
    • 2017
  • A centrifugal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hydro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or liquid using liquid or suspension as a medium. In this study, the formation mechanism and improvement of air core and inner air layer were confirmed through Particle Image Velocimetr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ied experimental model was design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suitable for the separation of juvenile fish and eggs. The inlet speed of the multi-stage hydrocyclone dust collector, which can increase the inlet velocity and minimize floatage in the turbulence chamber, was increased from 0.15 to 0.30 m/s. As a result, the air core was stably formed, the inner air layer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peed.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egg and juvenile fish was 97.8% on average, It can infer that this system confirmed the ability to efficiently collect particles of $40{\mu}m$ or more.

독도 주변해역 부유성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off Dokdo in the East Sea)

  • 신의철;윤석진;김진구;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98-507
    • /
    • 2021
  • Ichthyoplankton (fish eggs and larvae) were collected seasonally collected from 2017 to 2019 to clarify whether Dokdo serves as a fish spawning and/or nursery ground. Fish egg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16 species. The dominant fish egg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Maurolicus japonicus, and Parajulis poecilepterus. Fish larvae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15 species. The dominant fish larvae species were E. japonicus, M. japonicus, and Sebastes owstoni. A cluster analysis similarity percentages revealed two distinct groupings according to sample location (stations) with E. japonicus and M. japonicus as the main group influencers. E. japonicus was the dominant species off Dokdo. Th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peaked in summer. The diversity index, richness index, and evenness index fluctuated seasonally. There were no predominant species variations among the years. Sedentary species such as P. poecilepterus, Semicossyphus reticulatus, and Glyptocephalus stelleri occurred in the inshore stations. E. japonicus, M. japonicus, and Trachipterus trachypterus occurred in the offshore stations. Our results show these species use Dokdo as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천수만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부유성 어란 및 자치어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gg and ichthyoplankton in the Cheonsu Bay, Korea)

  • 윤병일;최동혁;최윤석;이승환;권대현;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8권4호
    • /
    • pp.326-333
    • /
    • 2022
  • To provide information needed for managing fish resources and protecting the ecosystem of Cheonsu Bay, bimonthly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eggs and larvae were investigat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using bongo net at three different stations from February 2020 to December 2021. Fish eggs were divided into Engrualis japonicas and unidentified eggs, of which Engragulis japonicus accounted for 85.6% of the total eggs collected. A total of 21 species representing 17 families and 6 orders were collected. The three dominant species were Gobiidae spp, Thryssa hamiltonii and E. japonicus and these three species accounted for 74.1%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August, 2020 and lowest in February, 2020 and 2021;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highest in August, 2020 and lowest in February, 2020. Temporal changes in the abundances of pelagic eggs and larval fishes corresponded with temperature.

흰베도라치, Enedrias fangi 치자어기의 식성 (Food of the Larval Gunnel, Enedrias fangi)

  • 김종만;김동엽;유재명;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84-490
    • /
    • 1985
  • 우리나라 서해안의 경기만에서 채집한 횐베도라치 개체군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흰베도라치 소화관내용물과 환경생물을 비교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은 체장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환경에서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요각류의 Paracalanus parvus, Corycaeus affinis, Calans sinicus를 주로 섭이하며 미색류, 어란, 십각류 유생도 체장에 따라 다소높은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2. 흰베도라치 치자어의 먹이에 대한 선택성은 대체로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즉 체장이 커질수록 요각류를 선호하며, 체장 45.0mm부터는 미색류를 많이 섭이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체장 45.0mm부터 십각류유생이 대한 선택성은 감소되어 소극적 섭이를 하였고, 전 체장군에서 모악류의 섭이량은 별로 많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흰베도라치의 먹이생물크기에 대한 선택성은 뚜렷하지 않으며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먹이생물의 크기에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흰베도라치의 성장함에 따른 먹이생물의 중요도는 전 체장군에서 요각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장에 따라 어란도 다소 높았다. 체장 45.0mm부터는 십각류유생에 대한 선택성은 감소하였으나 먹이생물로서의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다. 요각류의 종별 중요도에서는 체장 36.0mm 이하에서 P. parvus, C. affinis가 높았고, 체장 $45.0{\sim}46.0mm$에서는 C. sinicus가 높게 나타났다.

  • PDF

월성 주변 해역의 부유성(浮游性) 난(卵)과 자치어(仔稚魚)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Wolsong, Korea)

  • 차성식;박광재;유재명;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3
    • /
    • 1991
  • 월성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11월과 1990년 2월, 5월, 7월의 4회에 걸쳐 봉고네트로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채집 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돛양태류, 앨퉁이, 전어와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기간 중 앨퉁이와 돛양태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60.1%와 13.7%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21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기간 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61.2%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돛양태류가 11.9%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앨퉁이, 망둑어류, 까나리, 볼락, 개볼락, Scartella cristata, 쏨뱅이가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9개 분류군은 총출현량의 96.5%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은 용승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으로 용승으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은 부유성 난이나 자치어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해 왕돌초 주변해역에서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어상강) 어란과 자어 출현 (Occurrence of Eggs and Larvae of Blackfin Flounder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Pisces) off Wangdol-cho, East Sea)

  • 이해원;이수정;양재형;이재봉;차형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54-658
    • /
    • 2014
  • We report the first identification of a spawning ground of the blackfin flounder Glyptocephlaus stelleri near the Wangdol-cho sea mountains, located in the southern East Sea. Eggs and larval fish of G. stelleri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June, 2014, when an abundance of eggs was found in the southern area of Wangdol-cho. Our findings suggest that G. stelleri prefers to spawn in the vicinity of the off-shore sea mountains, where the temperature is between 10 and $12^{\circ}C$ and the water depth is 100 m, rather than inshore.

아산만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Asan Bay, Korea)

  • 김용억;한경호;강충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20-632
    • /
    • 1994
  • 아산만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민어속 어류, 멸치,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민어속 어류의 난이 전체 어란 출현량의 $97.7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2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는데, 조사기간중 망둑어과 어류는 7종이 출현하여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32.84\%$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까나리가 $16.69\%$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뱀장어, 민어속어류, 덕대 및 멸치가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0.4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내만쪽에서는 담수의 영향으로 아산호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 보다는 이들 기수 지역에서 많은양이 출현하여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의 분포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Kori, Korea)

  • 김용억;한경호;강충배;고정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3-642
    • /
    • 1994
  • 고리 주변 해역의 부유성 난과 자치어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4월, 7월, 10월 및 1992년 1월 4회에 걸쳐서 RN 80Net를 이용하여 부유성 난과 자치어를 표층 채집하였다. 본 해역에서 출현한 부유성 난은 멸치, 앨퉁이, 동갈양태속어류 및 기타로 분류되었는데,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어란 출현량의 $79.52\%$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자치어는 총 1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조사 기간중 멸치는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52.39\%$를 차지하여 극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동갈양태속어류가 $29.36\%$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도 쥐치, 조피볼락, 까나리 및 벵에돔이 주요 출현종을 이루었다. 이들 6개 분류군은 자치어 출현량의 $94.30\%$를 차지하였다. 본 해역의 연안쪽에서는 온배수 영향으로 배수구에 인접한 정점에서는 자치어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해쪽에 서는 용승류로 인한 표층수의 이동이 부유성 난과 차지어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