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ssemblages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19초

거제도 거제만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 이대희;김태진;최병언;이소정;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5
    • /
    • 2010
  • 경남 거제시 거제만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6년 6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인력을 이용하는 surf net으로 어류를 매월 사리때 간조시 1회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목 12과 26종, 1,825 개체, 4,483.1 g이 채집되었다. 줄망둑이 290개체 (15.9%)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실비늘치, 살망둑, 그물코쥐치, 점망둑, 꾹저구, 실고기, 일곱동갈망둑, 민베도라치, 복섬, 우베도라치가 많이 채집되었으며, 이들 10종은 총 개체수의 74.7%를 차지하였다. 생체량 면에서는 전체 생체량의 76.2%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수온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여 3월부터 어종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9월에는 채집된 종수와 개체수 모두 최대를 기록하였고 생체량은 3월부터 증가하여 5월에 절정에 달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12월에 가장 높았다.

한국 남해 가덕도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South Sea, Korea)

  • 정재묵;박주면;허성회;예상진;김현지;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48-956
    • /
    • 2013
  •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deok-do were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 collection by a small otter trawl in 2010-2011. Of a total of 65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Leiognathus nuchalis, Clupea pallasii, Thryssa kammalensis, Engraulis japonicus, Repomucenus valenciennei, Sillago japonica, Trachurus japonicus, Pennahia argentatus, Okamejei kenojei, Cynoglossus joyneri, Pholis fangi, Pleuronectes yokohamae, and Zoarces gillii. These 13 fishes accounted for 92.8%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peak number of fishes occurred in April, whereas the biomass of fishes was highest in August. The numbers and biomass of fishes were lower in February corresponding with the low temperatures, and diversity indices were lower in January than in any other month.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박주면;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4-115
    • /
    • 2015
  •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 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통영 장평리 잘피밭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 최희찬;박종혁;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8-285
    • /
    • 2018
  •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from a seine net from May 2016 to April 2017. A total of 32 species, 2,042 individuals and 3,991.1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inant species were Takifugu niphobles, Rudarius ercodes, Gymnogobius heptacanthus, Zoarchias glaber, Pholis nebulosi and Leucopsarion petersii. These species accounted for 79.5%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The fish assemblages in the eelgrass bed showed clear seasonal changes: the number of fish species increased in March and was highest in October, while the number of individuals increased in December and was highest in July.

가막만 모자반 군락지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s in Sargassum Beds in Gamak Bay, Korea)

  • 윤호섭;안윤근;최상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1
    • /
    • 2011
  • 가막만 모자반 군락에서 2008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월별로 두릿그물로 어류를 채집하여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1종 582 개체, 5,3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출현한 어종 중 복섬(Takifugu niphobles), 멸치(Engraulis japonicus)와 농어(Lateolabrax japonicus)가 전체 개체수의 55 %를 차지하였다. 12월과 1월에는 어류가 채집되지 않았고, 봄에 수온이 상승하며 증가하여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6월에 높았고, 7월과 8월에는 감소하였으나, 9월과 10월에는 높은 값을 보였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분석한 결과 3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A 그룹에는 출현기간이 비교적 긴 우점종인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와 복섬(Takifugu niphobles)이, B 그룹에는 봄에 주로 출현한 볼락(Sebastes inermis), 살망둑(Chaenogobius heptacanthus), 흰줄망둑(Pterogobius zonoleucu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거물가시치(Trachyrhamphus serratus), C 그룹에는 가을에 주로 출현한 멸치(Engraulis japonicu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가 포함되었다.

거제도 저구 잘피밭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 이대희;김준섭;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5-233
    • /
    • 2011
  • 거제도 저구 잘피밭에서 어류의 종조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예인망으로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38종, 2,335개체, 5,289.8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으로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565개체 (24.2%)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 독가시치 (Siganus fuscescens), 망상어 (Ditrema temminckii), 복섬 (Takifugu niphobles),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ttoides),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일곱동갈망둑 (Pterogobius elapoides), 풀해마 (Urocampus nanus), 졸복 (Takifugu pardalis), 미역치 (Hypodytes rubripinnis) 순으로 채집되고, 전체 개체수의 94.2%를 차지하였다. 잘피 건중량은 2009년 8월 121.5 g/m$^2$에서 11월 74.9g/m$^2$, 2010년 2월에는 49.3g/m$^2$로 감소하였고, 그 이후 5월부터 112.8 g/m$^2$로 증가하였다. 살망둑, 조피볼락, 복섬, 실고기, 풀해마는 잘피의 성쇠와 상관없이 연중 출현하였다.

어류 차단 스크린 설치에 따른 안동-임하호 연결터널 내 흐름변화에 대한 전산유체동역학 수치모의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of Flow Pattern Change in the Andong-Imha Reservoir Connecting Tunnel Due to Fish Exclusion Screens)

  • 안상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77-485
    • /
    • 2014
  • Imha Reservoir is connected to Andong Reservoir via a diversion tunnel allowing water to pass between. The diversion tunnel is equipped with screens to exclude exotic largemouth bass due to their predatory impacts on prey assemblages resulting in a degradation of species richness of local fish fauna and extinction of local fish populations in Korea. Flow pattern changes resulting from the fish screens and trash rack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Numerical simulations showed that the decrease in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tunnel is approximately 8.6% and the headloss coefficient for fish screen at Andong intake tower was determined to be 1.5. In order not to allow the small fishes enough to pass through the wire openings enter into Imha Reservoir through tunnel, the velocity in the tunnel should be greater than 1.48 m/s which is a critical ascending velocity of the bas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can keep the velocity higher enough to exclude largemouth bass when a gate opens with the condition of 1.0m difference in water stage between two reservoirs.

진해만 남서부에 출현하는 자치어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Southwestern Jinhae Bay, Korea)

  • 허성회;한명일;황선재;박주면;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5
    • /
    • 2011
  • 진해만 남서부에 출현하는 자치어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2009년 1월에서 12월까지 매월 RN80 네트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집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24과 46종의 자치어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청어(Clupea pallasii),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전어(Konosirus punctat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청베도라치(Parablennius yatabei), 앞동갈베도라치(Omobranchus elegans) 순으로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 6종은 전체 채집개체수의 92.7%를 차지하였다. 어종수, 채집 개체수, 종다양도지수는 뚜렷한 계절 변동을 나타내었다. 종수와 개체수는 각각 7월과 1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PCA)와 상관분석은 군집구조와 우점종들의 출현량이 수온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청어, 쥐노래미, 멸치, 청베도라치의 출현량은 수온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경남 거제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Fish Assemblages in Sandy Shore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 김준섭;이대희;박준수;한동훈;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9
    • /
    • 2012
  • 이번 연구는 잘피밭과 인접한 사질연안의 어류상을 관찰하고, 서식지로서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실시하였다. 총 38종, 1,232개체 5,277.7 g이 채집되었으며, 주요 어종은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복섬($Takifugu$ $niphobles$), 미역치($Hypodytes$ $rubripinnis$),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이며 전체 개체수의 73.2%를, 생체량에서는 53.9%를 차지하였다. 월별 수온은 $11{\sim}25^{\circ}C$ 범위였으며, 염분은 29~35 psu 범위였다. 월별 종 다양성 지수는 0.89~2.35로 2010년 3월이 0.89로 가장 낮았으며, 6월이 2.35로 가장 높았다. 명사 사질연안의 어류 종조성과 풍도는 거제 구조라 사질연안보다 높았으며, 잘피밭에도 서식하는 어종이 다수 채집되었다. 다른 사질연안의 어류군집구조와 비교하여 명사 사질연안 어류 서식지의 특성을 서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