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uppression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218초

부력의 영향을 최소화한 조건에서 대향류 확산화염의 화염 소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lame Extinction in Buoyancy-minimized Counterflow Diffusion Flame)

  • 정용호;박진욱;박정;권오붕;윤진한;길상인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14
    • /
    • 2014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larify role of the outermost edge flame on low-strain-rate flame extinction in buoyancy-suppressed non-premixed methane flames diluted with He and $N_2$. The use of He curtain flow produced a microgravity level of $10^{-2}-10^{-3}g$ in $N_2$- and He-diluted non-premixed counterflow flame experiments. The critical He and $N_2$ mole fractions at extinction with a global strain rate were examined at various burner diameters (10, 20, and 25 m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tinction curves differed appreciably with burner diameter. Before the turning point along the extinction curve, low-strain-rate flames were extinguished via shrinkage of the outermost edge flame with and without self-excitation. High-strain-rate flames were extinguished via a flame hole while the outermost edge flame was stationary. These characteristics could be identified by the behavior of the outermost edge flam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outermost edge flame was not influenced by radiative heat loss but by convective heat addition and conductive heat losses to the ambient He curtain flow. The numerical results were discussed in detail. The self-excitation before the extinction of a low-strain-rate flame was well described by a dependency of the Strouhal number on global strain rate and normalized nozzle exit velocity.

화재진압시 빗물이용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Use of Rainwater During Fire Suppression)

  • 구동욱;신호준;백민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91-191
    • /
    • 2011
  • 최근 빗물이 우리가 앞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자원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와 함께 빗물이용이 더욱 요구되어졌다. 특히 빗물의 이용 저류 침투를 목적으로 하는 우수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운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반해 화재발생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증가는 소방력 활동의 증가로 귀결되는데 현장활동 인력과 장비 그리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방용수 증가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빗물을 소방용수로 즉, 화재진압시 활용 가능성과 수자원 절약, 화재 사각지역 해소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통계분석, 현장조사, 기존 빗물이용시설 및 향후 완공 예정인 우수유출저감시설 활용과 소방용수 미설치 지역과 소방관서 옥상에 빗물이용시설 설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공공서비스 확대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 빗물이용시설을 소방용수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빗물이용시설의 주 용도로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수 측면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면 소방용수로서 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는 해당 건물관계자나 소방대원들이 빗물이용시설을 인식을 못하고, 사용과 접근성 불편으로 상수도와 연결된 소화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둘째, 상수도시설이 없는 지역은 빗물이용으로 소방용수를 확보해야 한다. 섬, 산간, 고지대, 농촌지역 등 상수도 서비스를 공급받지 못하는 지역은 화재발생시 수원확보곤란으로 인명과 재산피해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서비스 확대차원에서 화재 사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지붕면을 이용한 각 가정마다 또는 공동 빗물저장소와 지형의 비탈면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 설치로 소방용수 확보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셋째, 소방관서 신설시 빗물이용시설을 도입하여 설치한다. 화재통계와 현장조사를 통하여 소방차 출동대기부터 화재진압까지 많은 양의 물이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부분 먹는 물 즉, 상수도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자원 절약과 화재진압에 사용된 물은 재생 불가능이라는 환경보전 측면에서 빗물이용으로 해답을 찾아본다. 따라서 빗물을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옥상, 부지 등 집수면적을 확대하고 이에 적합한 저류시설을 갖춘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한다. 끝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중요한 만큼 빗물을 소방용수로 활용하고자 할 때는 언제 어디에서나 현장 접근성, 사용 편리성, 충분한 수량을 고려해야한다.

  • PDF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설비 기본설계 (Preliminary Design of Test Facility for 75 tonf Class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 임병직;김종규;이광진;김문기;안규복;강동혁;서성현;한영민;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3-358
    • /
    • 2009
  • 75톤급 액체로켓엔진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각 구성품에 대한 다수의 시험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황은 연소기에서도 동일하다. 하지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용 중인 시험설비는 75톤급 연소기를 정상 추력으로 수행하기에는 부족하다. 연소기 개발 시험에 접어들기 이전에 시험설비는 준비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험설비의 구축이 급박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긴급한 필요성으로 수행한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시험설비의 기본설계 내용을 기술한다.

  • PDF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물추출물의 염증매개물질 억제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Hwangnyeonhaedok-tang in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 김대희;박숙자;정지윤;김상찬;변성희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47
    • /
    • 2009
  • Objectives : Hwangnyeonhaedok-tang (Huanglian Jiedu Tang; HHT) has been widely used for purging' 'fire' and lessening virulence of any pathogenic organism. However it has been rarely conducted to evaluate the immuno-biological activ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HT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Methods : Cells were treated with $1\;{\mu}g/ml$ of LPS 1 h prior to the addition of HHT.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The production of NO was determined by reacting cultured medium with Griess reagent.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ELISA. Expression of iNOS, COX-2, $I{\kappa}B{\alpha}$ and NF-${\kappa}B$ were analyzed by immunoblot analysis. Results : All three doses of HHT (0.03, 0.10 and 0.30 mg/ml)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 levels of NO and PGE2 were dramatically augmented by LPS compared to control. However, HHT extract dose-dependently reduced these increases. Expression of iNOS and COX-2 protein were also decreased by treatment with HHT extract. Furthermore, HHT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NF-${\kappa}B$ which is critical in regulating inflammation through transcription of iNOS and COX-2. In addition, HHT extract reduced the elevat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alpha$, IL-$1{\beta}$ and IL-6. Conclusions : 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HHT extract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rough the inhibition of NO,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via the suppression of NF-${\kappa}B$.

건조수축에 따른 균열 억제를 위한 규사 혼입 CLC의 특성 (Properties of CLC using Silica to Suppress Cracking due to Drying Shrinkage)

  • 이창우;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5-126
    • /
    • 2021
  • In order to improve the housing culture, construction changes for the utilization of diverse and multifunctional spaces are appearing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diverse needs of consumers.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CLC) is being developed for use in fire-resistant heat-insulating walls and non-bearing walls. However, manufacturing non-uniformity has become a problem as a drawback due to the use of foamed bubbles and normal temperature curing, and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cracks due to drying shrinkage, silica sand is mixed with CLC to try to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from 7 to 28 days of age was measured via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and the drying shrinkage was analyzed according to each condition using a strain gaug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atrix tends to decrease as the substitution rate of silica sand increases. This is judged by the result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silica sand is smaller than that of slag. Based on KS F 2701 (ALC block), the compressive strength of 0.6 products is 4.9 MPa or more as a guide, so the maximum replacement rate of silica sand that satisfies this can be seen at 60%. Looking at the change in drying shrinkage for just 7 days, the shrinkage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drying is 0.7 mm, and the possibility of cracking due to shrinkage can be seen, and it seems that continuous improvement and supplementation are needed in the future.

  • PDF

드론기반 도심지 디지털트윈 3차원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3D Model Building of Drones-Based Urban Digital Twin)

  • 임성하;최규명;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163-1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구성요소인 공간정보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신 공간정보 취득 기술인 드론을 기반으로 도심지의 3차원 디지털트윈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모형 간의 처리시간·품질·정확도 분석과 스마트시티 응용시스템을 활용하여 몇 가지 분석 모델을 구현하였다. 3종의 드론 사진측량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처리시간·품질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 반면 구축 모델의 정확도는 8점의 검사점에 대한 평균제곱근 오차(RMSE)는 N방향으로 ±0.04m, E방향으로는 ±0.03m, Z방향으로 ±0.02m로 경계점좌표등록부시행지역의 경계점에 대한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허용범위로 규정하고 있는 0.1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의 1:500~1:600 축척의 사진기준점 오차 한계인 표준편차 0.14cm 이내로 나타나서 지적과 항공사진측량에서 규정하는 대축척의 오차 한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드론기반의 3차원 도심지 디지털트윈 모형을 이용한 스마트시티 구현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을 이용하여 조망권·경관분석, 일조권분석, 순찰경로분석, 화재진압 모의 훈련 등을 구현하였으며, 기존 항공측량 방법과 비교해서 육안 판독지점에 대한 정확도는 기존 항공측량 보다 10cm 내외 더 정확하고, 약 30㎢ 이하의 구축 면적에서 기존항공측량 보다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할 수 있었다.

iPVC 매립 상수도관의 내진 성능 및 내침하 성능 평가를 위한 시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Earthquake and Subsidence-resistant Performance Evaluation of iPVC Buried Water Pipe)

  • 전법규;장성진;김재봉;주부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6-23
    • /
    • 2020
  • 우리나라의 연평균 지진발생 횟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경주와 포항에서 규모 5를 초과하는 지진이 발생하여 상수도관의 피해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상수도관의 지진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수도관은 상수도 공급시스템 에 있어 혈관과도 같은 중요한 시설로서 다양한 규격과 재질의 배관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식수공급, 화재진압 등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시험 검증 및 경험에 의해 매립상수도관의 내진 성능이 평가된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손상은 액상화와 단층과 같은 지반의 변위지배적인 거동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지진에 의한 상수도관의 주된 파손은 배관 이음부에 집중되며 특히 직경 200mm 이하 배관이 위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칭 150mm의 클램프로 고정된 이음을 가지는 iPVC 매립 상수도관에 대하여 시험적인 접근으로 내진 성능 및 내침하 성능을 평가 하였다.

납고무받침을 이용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내진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A Analytical Study on Seismic Performance of Stainless Water Tank using Lead Rubber Bearing)

  • 김후승;오주;정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30-236
    • /
    • 2018
  • 최근 국내에서도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여 구조물의 내진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물을 저장하는 시설은 지진에 의해 손상 및 파손이 될 경우, 누수로 식수 및 용수가 부족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의 어려움이 야기되므로 지진에 대한 안전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와 탱크사이에 납고무받침을 고려하여 지진에 대한 물탱크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콘크리트 기초에 설치 가능하도록 납고무받침을 설계하였다. 물탱크에 대하여 유체-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하여 ANSYS를 활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정수압과 4개의 지진파를 이용한 동수압을 고려하였다. 만수위 2.5m의 정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정적 해석을 수행한 결과, 면진 적용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한 응력이 발생하였다. 정수압과 동수압을 동시에 고려했을 때, 면진 물탱크는 전반적으로 지진력 감소가 이루어졌지만 일반적인 구조면진과 비교했을 때 감쇠율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탱크 중량이 면진 강성보다 매우 작아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며, 향후 물탱크 내진성능 평가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홧병환자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reatments of Hwabyung with Oriental Medicine)

  • 김종우;황의완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16
    • /
    • 1998
  • Hwabyung is a common emotional disorder which has symptoms expressed like firt's explosion in middle-aged after long period of emotional suppression among Koreans. It is similar in its characteristics such as neurosis, anxiety, panic attacks in Western Medicine, though the treatment method was not effective. So we have done a clinical research on Oriental Medical Method, especially on Acupuncture Therapy,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1. Patients with Hwabyung complained of pressure pain around the Chunjung(?中, CV-17) point distinctively. About 70% of those were located on the CV-17 point, 25% were 1cm upper than the CV-17 point and 5% of those were 1cm lower point than the CV-17 point. 2. Degrees of pressure pain were divided into 5 grades from ade 1(feeling pain with slight pressure) to grade 5(feeling no pain with severe pressure), respectively. 3. Patients with Hwabyung showed various symptoms compared to fire's explosion such as anger, chest discomfort, difficulty in breathing. tachycardia. and feeling of epigasfric mass etc., and the degrees were divided into 5 grades according to the severities from grade 1(can't keep their usual living) to grade 5(no complaints with heavy stresses), respectively. 4. For the treatment of Hwabyung in this study, we had given Acupuncture therapy on some points such as Chunjung:?中:CV-17, Jungwan:中脘:CV-12) and Chunchu:天樞:S-25, etc. for 15 minutes a time twice a week. And Bunshimkiumgmnihang(分心氣飮加味方) was administered 3 times a day. 5. About 40% of the patients took treatment for more than 2 months, 29% of those took 1 to 2 months and 31% of those took less than 1 month. In this study, we excluded those who stopped treatment within a month without any expected effects. 6. We evaluated the changes of severity of pain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such as - for no change, + for 1 grade, ++ for 2 grades, +++ for 3 grades, and ++++ for 4 grades of improvements. Among the patients taken 1 to 2 months of treatment. 48% of the those showed +, 7% of those showed ++, 3% of those showed +++ and 41% of those showed no change. Among the patients taken less than 2 months of treatment, 20%of those showed +, 40% of those showed ++, 28% of those showed +++ and 13% of those showed no change. 7. We evaluate the changes of symptoms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such as - for no change, + for 1 grade, ++ for 2 grades, +++ for 3 grades and +++ for 4 grades of improvements. Among the patients taken 1 to 2 months of treatment, 34% of those showed +, 14% of those showed ++ and 52% of those showed no change. Among the patients taken more than 2 months of treatment, 20% of those showed +, 43% of those showed 20% of those showed +++, 3% of those showed +++ and 15% of those showed no change. 8. When we compare the changes of pain and symptom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treatment, the changes in quantity of pain in 1 to 2 months group was $0.72{\pm}0.75$, in more than 2 months group was $1.83{\pm}0.98$, and the changes in quantity of symptoms in 1 to 2 months group was $0.62{\pm}0.73$, in more than 2 months group was $1.75{\pm}1.03$.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more than 2 months of treatment is more beneficial than 1 to 2 months of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