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prevention measure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7초

강원도지역 중요목조문화재 소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of Fire Protection System of Historic Timber Architecture in Kangwon-Do)

  • 정해준;구원회;신호준;백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46-449
    • /
    • 2011
  • 2005년 낙산사 이후 강원도 지역의 목조문화재의 소방대책 및 안전의식의 증대와 함께 많은 소방시설의 보강 및 정비가 이루어 졌다. 그럼에도 2008년 숭례문화재가 발생하는 등 목조 문화재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강원도에 위치한 중요 목조 문화재를 중심으로 목조 문화재의 소방 시설을 비교하고 삼척시에 위치한 죽서루를 중심으로 소방 현황과 대책에 대해서 알아보고 목조문화재의 화재 예방 및 소방대책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폴리우레탄에 기인한 건설현장 화재예방 대책의 한계와 개선 방안 (Limits and Directions of Fire Prevention Legislations Caused by Polyurethane for the Construction Sites)

  • 안홍섭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15
    • /
    • 2018
  • 건설현장에서 반복되는 화재사고를 겪으면서 화재예방 대책도 꾸준히 개선되어왔다. 하지만 폴리우레탄을 단열재로 사용하는 공사현장에서는 예방대책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회재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폴리우레탄이 존재하는 공사현장에서 기존 사고예방 대책의 한계와 이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까지의 건설현장 화재예방의 개선대책과 외국의 화재안전 대책을 분석하여 기존 대책의 사각지대를 도출하고 이의 해결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기존의 화재예방대책이 불충분한 이유는 폴리우레탄과 점화원이 있는 화기작업을 완전하게 격리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폴리우레탄이 존재하는 작업장의 회재예방은 관리적인 대책만으로는 근원적 예방이 불가능하며, 무기 단열재를 개발하여 설계단계에서 유기단열재인 폴리우레탄을 불연재로 대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Numerical simulation on gas continuous emission from face during roadway excavation

  • Chen, Liang;Wang, Enyuan;Feng, Junjun;Li, Xuelong;Kong, Xiangguo;Zhang, Zhib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0권3호
    • /
    • pp.297-314
    • /
    • 2016
  • With the mining depth continuously increasing, gas emission behaviors become more and more complex. Gas emission is an important basis for choosing the method of gas drainage, gas controlling. Thus, the accurate prediction of gas emission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coal mine. In this work, based on the sources of gas emission from the heading faces and the fluid-solid coupling process, we established a gas continuous dynamic emission model, numerically simulated and applied it to the engineering. The result was roughly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uation and shows the model is correct. We proposed the measures of reducing the excavation distance and borehole gas drainage based on the model. The measures were applied and the result shows the overproof problem of gas emission disappears. The model considered the influence factors of gas emission wholly, and has a wide applicability, promotional value. The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controlling of gas disaster, gas drainage and pre-warning coal and gas outbursts based on gas emission anomaly at the heading face.

1인 가구의 화재예방 대책 연구 (A Study of Fire Prevention Measur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김종국;한동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424-431
    • /
    • 2021
  •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만혼, 비혼, 별거, 사별, 귀농귀촌 등으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 노동시장의 유연성 증대 등으로 인한 1인가구 증가라는 현상에 대해 1인가구의 화재예방 대책을 탐구하고 있다. 1인가구의 화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적 차원에서 주거환경문제가 있다. 행태적 측면에서 반려동물 양육에 따른 화재발생 증가가 있다. 1인가구의 화재예방을 위해서는 구조적 차원에서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예외 없는 안전규제가 필요하다. 행태적 차원에서는 관계기관 예방안전지도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 예방을 위한 조치로서 전기레인지의 제조사들은 반려동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는 안전장치, 예를 들면 자동 전원 차단장치나 타이머를 활용한 전원 공급 등을 개발해야 한다.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키우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홍보영상으로 만들어 배포하거나 가상현실로 구현된 재난대비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보급하는 것도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화학사고 예방 및 대책에 대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of Chemical Accident)

  • 이덕재;이태형;신창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37-143
    • /
    • 2016
  • 산업의 고도화, 다각화로 화학물질의 사용 증가와 더불어 화학사고도 증가 추세에 있으며 화학사고에 대한 효율적인 방재 및 대응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법령, 화학사고 사례, 물질안전보건자료 등을 통해서 화학사고 예방 및 대책에 대한 개선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화재 시 승강기를 이용한 피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정의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68
    • /
    • 2007
  • Because of not accepted on escape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has some background. In the background elevator hoistway has turn into smoke spread route in fire. The escape that used an elevator was not able to make ends meet; of the big confusion is expected that cannot control the escape adequately, and do that elevator facilities breakdown possibility by the fire water, the escaper shut in car. Therefore ban on elevator service in fire time as a general rule. Recently, a few company promote super high-rise architecture in the country, a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human life safety measures preparation for PBD(A Performance Based Fire Protection Design) are studied concretely. And there is the escape example in fire time that used an elevator in the foreign country. You must promote it so that the escape measures that used enclosed stairway and an elevator in charge of a function of the mutual supple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standard and regulation for using elevators in fire emergency.

  • PDF

방화(放火)화재의 특성 및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of Incendiary Fire)

  • 최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9-21
    • /
    • 2008
  • 본 연구는 인위적인 방화(放火)화재로부터 귀중한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대한 억제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재대책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공학적 측면에서 방화(放火)화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그 위험에 대처할 수 있도록 방재대책 추진방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범의 범행 동기나 행위 등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분석과 같은 의학적인 면과 방화범의 법적체벌 관련사항과 같은 법률적이고 행정적인 문제 등은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으며, 방화화재 발생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및 일본, 미국의 화재통계자료를 조사하였다. 특히, 일반화재와 방화화재의 연소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화재모형 실험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방화화재 방재대책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수기 화재발생 사례를 통한 재현실험 (Mechanism analysis through Water fire case)

  • 이정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3-618
    • /
    • 2011
  • Development of the economy and the growing income of people interested in the leisure and health has been focused. Past the town common wells and groundwater around the water, but health is a priority these days to solve the drinking water directly from tap water, but most people work from home, through the water purifier has been resolved. Depending on seasonal changes and personal taste of coffee, if you can enjoy a snack and water purifier is a restaurant, lounge, public areas and focusing on the rapid spread of the fire, water purifier a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fires increased by 0.03% per year trend on, but the washrooms fire and fire-related research data and case studies with analysis of the exact cause lack of proper preventive measures are insufficient reality. In this study, focusing on electrical energy using a water cool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fire, the fire revealed the mechanism is vulnerable to the consideration of factors, the exact cause of the fire investigation and the Assistant, manufacturing defects, and to contribute to fire prevention review should.

  • PDF

공장건물의 화재리스크 경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y Building Fire Risk Reduction Management)

  • 정의수;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3-53
    • /
    • 2008
  •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the fire safety of the factory building, the fire risk reduction measure in compliance with an example approached in fire risk reduction systematically, contribute to reduce the fire risk. The analytical fire risk process of discovering, identifying, estimating and evaluating risk and control measure as risk reduction measures are core concept, applies loss prevention with loss control techniques. The painting process in the workplace where the fire hazard and death accident accompanies coexists. Loss prevention problem of creation prevention of dangerous atmosphere at workplace is health and human services problem of normal circumstances, must be inspected with problem of combustible gases at the time of fire explosion. Static electricity measure accomplished the risk control process thoroughly as the fire risk reduction process model with the ignition sources measure which is presented. Fire risk from within organizing will be able to classify with each field by detailedly but risk treatment process will be able to apply basically all the same concept. Consequently about risk management example from before, this study is proposed risk management techniques that standardized rightly in the actual condition of organization with one plan, with discovery of fire risk, the feedback process in compliance with a fire risk reduction and the review which control the result is joint responsibility of engineer, technical expert and manager as part of safety management to practice with the fact must be supervised.

자율예방체계의 구축 -규제개혁의 차원에서 보험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Self-regulating Fire Prevention System in Korea: with the Focus on the Role of Insurance System)

  • 김태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5
    • /
    • 2001
  • 본 논문은 민간의 자율성과 책임에 입각한 자율예방체계를 현행 관주도의 소방예방체계의 대안적 틀로서 제시하고, 그 구체적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 후 자율예방체계의 구축을 위한 조건 내지는 과제로서, 화재보험으로 대표되는 보험시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율예방체계는 당사자가 책임을 지고 화제 등의 예방과 관련된 조치를 자발적으로 취하는 가운데서 국가적 소방예방체계가 구축되는 소방예방의 큰 틀로서 자기책임의 원칙, 공공재로서의 소방서비스, 자기결정주의로 구성된다. 이러한 원칙에 입각하여 현행 소방예방행정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자체점검업 시장의 합리화 및 자체점검 유예제도 도입, 화재보험의 제도와 기능의 활용, 예방검사의 유예와 강호 및 탄력적인 운용, 경방조사 위주의 소방검사, 정보수집과 전파를 위한 특별조사의 선용, 소방시스템평가제도의 도입, 건축허가 동의 절차의 실질화, 소방감리제도의 실질화, 화재원인조사를 위한 연구개발역량 확충, 소방안전대상/소방안전마크/모범 방화관리가 시상제도 등의 도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들중에서 핵심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화재보험제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l장에서 결정되는 보험요율이 실질적인 경쟁가격이 아니라는 점에서 큰 한계를 안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험시장이 개방되고 국내 손해보험업계의 과점성이 완화되면, 보험이 자율예방체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커질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