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growth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34초

화재안전설비 작동 시나리오에 따른 화재위험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according to the Operation Scenario of Fire Safety Equipment)

  • 진승현;구인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9-140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fire risk assessment. In the existing fire risk assessment, the operation of fire safety facilities is not considered.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data on the fire growth rate to predict the spread of fir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build a fire scenario using fire statistics data. In addition, the fire growth rate is to b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or area of burnout and the cause of fire.

  • PDF

건축물 제배연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구획실 발열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in Compartment of Building for Scenario of Smoke Management)

  • 김정엽;신현준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8-403
    • /
    • 2009
  • The theoretical bases on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in compartment of building for scenario of smoke management are introduced and the numerical applications to simple compartment model are carried out. The growth stage which is important for smoke management design is modelled as t-squared fire curve including fire growth coefficient with related to growth rate. The conditions for the happening of flashover is presented such as $600^{\circ}C$ of temperature or $20kW/m^2$ of radiation heat flux. After the flashover happen, the fire in compartment changes to fully developed fi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controlled fire. As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to simple compartment model, the time to reach 900K under ceiling for condition of medium growth is twice for condition of fast growth.

  • PDF

건축물 실내화재의 단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building room fire development stages)

  • 차종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69-172
    • /
    • 2008
  • 기존의 문헌들은 화재시 화재단계, 피난, 건물구조, 화재감지 등을 별개의 개념으로 정리하였으나 이 논문에서는 건축물 실내화재의 단계를 초기-성장기-Flash Over-감쇠기로 나누고 그에 해당되는 화재의 단계, 연소의 진행특성, 인간의 대응 특성, 화재의 동적방호, 화재감지를 정리하고 그로 인하여 인명보호, 재산보호를 실현할 수 있고, 나아가 경제성 측면에서도 검측할 수 있도록 연구를 하였다.

  • PDF

화염 전파모델을 이용한 소파화재 설계화원구성의 적용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Fire Scenario Design of a Couch Burning through a Fire Spread Model)

  • 김성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37-42
    • /
    • 2016
  • 본 연구는 화재전파해석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 위험성 평가에 적용되는 설계화재 구성의 적용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화재전파해석을 위해 열중량분석과 시편연소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실험에서 얻어진 물성을 FDS 열해리 모델에 적용하여 격자크기에 따른 화재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전체적인 화재성장특성은 실화재 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으나 초기 피크 발열량과 전체 방출 열에너지는 약 30% 이내에서 유사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해석모델은 화재성장율이나 최대발열량 도달시간 등과 같은 화재성장특성을 예측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적인 모델의 개선 및 재료 물성의 상세연구를 통해 설계화재시나리오 구성에 있어서 화재모델의 적용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가연물의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 측정 -주거 및 사무공간 가연물을 중심으로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Combustibles in Residential and Office Spaces)

  • 남동군;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29-36
    • /
    • 2017
  • 가연물의 열발생률에 근거한 설계화원은 성능위주설계의 화재안전성 평가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성능위주설계에서는 국내 가연물의 화재정보의 부족으로 인하여 제한된 외국 문헌정보가 추가 검증이 없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능위주설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주거 및 사무공간 가연물을 대상으로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4가지의 단일 및 다수 가연물에 대한 화재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가연물의 최대 열발생률은 36 kW~1,092 kW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화재성장률은 주거용 가연물이 $0.003kW/s^2{\sim}0.0287kW/s^2$이고, 사무용 가연물이 $0.003kW/s^2{\sim}0.0838kW/s^2$ 범위를 갖는다. 특히 소파는 최대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의 관점에서 가장 높은 화재 위험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가연물들의 최대 열발생률과 노출 표면적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공간 내의 최대 열발생률을 산출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새로운 Chung's equation-XII에 의한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지수 및 등급 평가 (Fire Risk Index and Grade Evaluation of Combustible Materials by the New Chung's Equation-XII)

  • 정영진;진의
    • 공업화학
    • /
    • 제34권4호
    • /
    • pp.388-396
    • /
    • 2023
  • 연소성 물질의 화재위험성 평가를 하기 위하여 Chung's equations-X, Chung's equations-XI, 그리고 Chung's equation-XII 를 새로 정립하였다. 화재위험성지수-XII (fire risk index-XII, FRI-XII)와 화재위험성등급(fire risk rating, FRR)을 산정하였다. 시험편은 녹나무, 벚나무, 고무나무, 느릅나무를 선택하였다.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사용하여 시험편에 대한 연소 특성을 시험하였다. Chung's equations에 의해 산정된 화재성능지수-X (fire performance index-X, FPI-X)과 화재성장지수-X (fire growth index-X, FGI-X)은 각각 89.34~1696.75 s2/kW와 0.0006~0.0107 kW/s2 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성능지수-XI (fire performance index-XI, FPI-XI)과 화재성장지수-XI (fire growth index-XI, FGI-XI)은 각각 0.08~1.48과 0.67~11.89으로 나타났다. 화재위험성 등급인 화재위험성지수-XII (FRI-XII)는 녹나무가 148.63 (화재위험성등급: G)으로 화재위험성이 매우 높은 목재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연소성 물질은 FPI-X과 FPI-XI이 낮아지고, FGI-X과 FGI-XI이 높아짐에 의하여 FRI-XII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닐절연전선의 산화물 성장 특성과 화재조사에의 적용 (Copper Oxide Growing Characteristics of PVC Insulated Wire and Application to the Fire Investigation)

  • 김향곤;최충석;김동욱;최효상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6권1호
    • /
    • pp.37-44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characteristics for copper oxide growth of polyvinyl chloride(PVC) insulated wires by series arc. In this experiment, 600V IV wires were used, and characteristics of oxide growth and ignition process were analyzed in case load was 300W, 460W and 600W, respectively. In the result of experiment, covering materials were molten, carbonized and ignited, whereas, oxidized materials were grown in conducting material. During copper oxide was growing, contact voltages and power dissipations increased. When there is copper oxide growth, the waveform of current showed sinusoidal waveform, and the waveform of voltage showed modified waveform. Oxidized materials were heated at about $905^{\circ}C$, surface structure showed irregular shapes, and cross-section showed multiple cracks. An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applied to the fire cause analysis of fire evidence collected at the fire scene.

성장화재통계 기반 건축물 용도별 화재위험도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Fire Risk by Building Use based Growth Fire Statistics)

  • 서동구;이종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8-219
    • /
    • 2020
  • The risk of a fire in a build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usage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all fires that occur in a building are not risky to safety of human life, and it is associated with the combustion area and the increase of total floor area of the build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safety of human life in terms of the statistics of fire with considering the aspect of growing fires and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f fire for 10 years. As for the analysis on fire, the time of occurrence by usages of buildings, frequency of occurrence and the ratio of casualties etc. were analyzed. It is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evaluations on a variety of parts in terms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buildings.

  • PDF

창고 모델 실물화재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rehouse Mock-up Fire Test)

  • 권오상;유용호;김흥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47-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창고 화재 사고의 위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중규모 실물 화재 실험 장비인 룸코너 시험기(Room Corner Tester)를 통해 구축된 단위 구성품의 화재 특성 DB를 바탕으로 화재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는 의류 창고를 실험 모델로 구성하여 실물 화재실험 장비인 라지 스케일 칼로리미터(Large Scale Calorimeter)에서 실물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창고 모델의($3m{\times}3m{\times}2.4m$) 벽체는 불연등급의 그라스울과 일반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열방출률은 그라스울 샌드위치 패널 창고모델에서 5MW, 스티로폼 샌드위치 패널 창고모델에서 11MW를 나타내었다.

구급대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양현모;전혁진;강보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3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mpowering leadership effects on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to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s: The study was based on seventy six paramedics and seventy EMTs-basic who were working at the fire station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prove connec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growth needs,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Conclusion: This analysis is empirically applied to study the empowering leadership focused on the empowerment act of leader to a leading role to empowerment in fire service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