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control

검색결과 1,359건 처리시간 0.029초

119 구급대를 이용하여 야간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현황 분석 - 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atients who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by 119 Rescue service at night - Focused on the Emergency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윤종근;김건남;김경완;정용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7-126
    • /
    • 2004
  • In general, the patients who transferred to the hospital by 119 rescue service at night go to the emergency room(ER) of general hospital rather than that of their nearby the 1st(clinic) and 2nd(local hospital) hospital. And the hospital is mainly selected not by 119 EMST but by patients or his/her conservators. Therefore we had studied retrospectively with emergency situation diary and medical chart for 697 patients of being transferred to one emergency medical center for 6 months since January 2004, an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280 patients(42.5%) of being transferred hospital at night by 119 rescue service were not emergency case and their average staying time in hospital was about $7.15{\pm}10.06$ minutes. 2. Transfer time was distributed in each time intervals of 1819, 2021, 2223, and 2401 and patients ratio in each intervals were 15.1%, 17.8%, 16.4%, and 15.2%. 3. In response of ambulance, the average time from the spot to the hospital was $14.53{\pm}9.27min$. and average distance of that was $7.95{\pm}9.21km$. 4. Diseases rather than traffic accidents or traumatic injury were main causes of ambulance calling and its value was 533(76.5%), and accidents were mainly occurred in patients' house and its value was 479(68.7%). 5. In time of transfer by 119 rescue service, hospital was mainly selected by patient/conservator and its value was 648(93.0%). In result. the hospital was selected not by EMST but by patient/conservator. 6. The case that the 1st grade EMT was rode in ambulance was 161(23.1%), and the case that 2nd EMT and emergency team member who educated for emergency were rode in ambulance were 504(72.3%). So the number of the 1st grade EMT was short in fire station of Kwangju metropolitan city than other city. 7. The first aids for patients before reaching hospital were limited to oxygen inhalation, airway control, and BLS for maintaining limbs and spine. So it seems to be a simple patients transfer. Consequently, to establish an effici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t has been thought that it should be advanced a moderate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about the appropriate use of emergency medical system toward citizen, and also need the hospital selection by the patients categorizing standards for 119 rescue service member, securing the 1st grade EMT, appropriate first-aids education, and securing professional human power in emergency room of the Ist(clinic) and 2nd(local hospital) hospital at night.

  • PDF

고등어 염장중 N-Nitrosamine의 생성 요인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during Storage of Salt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 임채영;이수정;이일숙;김정균;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3
    • /
    • 1997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염장 가공품인 고등어를 염장하는 과정중 아질산염을 100, 500 및 100mg/kg첨가할 경우 VBN, TMAO, TMA 및 DMA와 같은 아민류와 N-nitrosamine(NA)의 생성,NA의 생성과 아질산염과의 관계 등을 구명코져 고등어 염장 중 NA의 함량 변화를 GC-TEA로 분석하였고, 동시에 조리방법이 NA의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험하였다. 고등어 염장 중 휘발성 염기 질소는 염장 중 계속해서 증가하여 염장 50일 후에는 생시료에 비해 약 23.8배의 증가를 보였다. TMAO 질소는 3.7~21.0mg%, TMA 질소는 15.0 ~20.4mg%범위였으며 , 염장 및 조리과정 중 대부분의 시료에서 TMAO 질소는 약간 감소하는 반면에 TMA 질소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DMA 질소는 염장 중 급증하는 경향을 보여 염장 50일 후에는 생시료에 비해 약 16.0배 증가하였다. 아질산염의 첨가가 DMA 질소의 생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리 과정 중에는 상당량의 증가를 보였다. NDMA는 대조구에서 1.0$\mu\textrm{g}$/kg 이하였으나, 100mg/kg의 아질산염 처리구에서는 8.1~14.6$\mu\textrm{g}$/kg, 500mg/kg 처리구에서는 24.5~45.5$\mu\textrm{g}$/kg, 1000mg/kg 처리구에서는 53.8~77.2$\mu\textrm{g}$/kg 범위였으며, 조리시료에서는 3.3~12.6$\mu\textrm{g}$/kg의 범위였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와 같은 간접적인 열원을 사용하여 조리한 경우보다 가스레인지, 연탄불과 같은 직접적인 열원으로 조리한 시료에서 그 증가폭이 가장 높았다.

  • PDF

MAKING AGRICULTURAL INSURANCE IN INDIA FARMER-FRIENDLY AND CLIMATE RESILIENT

  • Kumar, K. Nirmal Ravi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11권1호
    • /
    • pp.27-39
    • /
    • 2019
  • Agricultural risks are exacerbated by a variety of factors ranging from climatevariability and change, frequent natural disasters, uncertainties in yields and prices, weakrural infrastructure, imperfect markets and lack of financial services including limited spanand design of risk mitigation instruments such as credit and insurance. Indian agriculture has little more than half (53%) of its area still rainfed and this makes it highly sensitive to vagaries of climate causing unstable output. Besides adverse climatic factors, there are man-made disasters such as fire, sale of spurious seeds, adulteration of pesticides and fertilizers etc., and all these severely affect farmers through loss in production and farm income, and are beyond the control of farmers. Hence, crop insurance' is considered to be the promising tool to insulate the farmers from risks faced by them and to sustain them in the agri-business. This paper critically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recent crop insurance scheme viz., Pradhan Mantri Fasal Bhima Yojana (PMFBY) and its comparative performance with earlier agricultural insurance schemes implemented in the country. It is heartening that, the comparative performance of PMFBY with earlier schemes revealed that, the Government has definitely taken a leap forward in covering more number of farmers and bringing more area under crop insurance with the execution of this new scheme and on this front, it deserves the appreciation in fulfilling the objective for bringing more number of farmers under insurance cover. The use of mobile based technology, reduced number of Crop Cutting Experiments (CCEs) and smart CCEs, digitization of land record and linking them to farmers' account for faster assessment/settlement of claims are some of the steps that contributed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is new crop insurance scheme. However, inadequate claim payments, errors in loss/yield assessment, delayed claim payment, no direct linkage between insurance companies and farmers are the major shortcomings of this scheme. This calls for revamping the crop insurance program in India from time to time in tune with the dynamic changes in climatic factors on one hand and to provide a safety-net for farmers to mitigate losses arising from climatic shocks on the other. The future research avenues include: insuring the revenue of the farmer (Price × Yield) as in USA and more and more tenant farmers should be brought under insurance by doling out discounts for group coverage of farmers like in Philippines where 20 per cent discount in premium is given for a group of 5-10 farmers, 30 per cent for a group of 10-20 and 40 per cent for a group of >20 farmers.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 및 교육 현황 분석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Prehospital Emergency Care and Education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 노상균;이재국;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17-2124
    • /
    • 2012
  • 이 연구는 119구급대의 병원 전 응급처치 실태와 교육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급대원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119구급대원들의 전공분야는 응급구조학이 124명(41.5%)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관련학이 46명(15.4%), 간호학이 30명(10.0%), 보건관련학이 3명(1.0%), 기타가 96명(32.1%)이었다. 119구급대원들이 소지한 자격증으로는 1급 응급구조사가 114명(38.1%), 2급 응급구조사가 101명(33.8%), 소방 교육이수자가 42명(14.0%), 간호사가 28명(9.4%), 기타 14명(4.7%)순으로 나타났다. 시행한 응급처치 빈도로는 산소흡입(274건), 사지 고정(229건), 척추고정(229건), 외부출혈의 지혈(223건), 약물투여(7건), 정맥로 확보(4건)순으로 나타났다. 병원 전 응급처치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잘 훈련된 전문 인력의 구급차 탑승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응급구조사의 지속적인 충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무중심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 연구 : 공공과 민간 분야 전문가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n Realistic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mplementation Plan : Focusing on Differential Views in Public and Private Experts)

  • 최우철;김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25-6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민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화재, 지진 등 재난분야를 관리하는 공공 영역과 주로 재난 관련 세부기술들을 개발하는 민간 영역의 실감형 재난서비스 요구사항을 고려하기 위하여 공공과 민간 그룹별 전문가 AHP 설문분석을 진행하였다. 재난 및 공간정보 관련 분야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항목 계층 구조를 설정하였으며, 설문의 일관성 지수는 0.058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평가 결과, 1계층의 경우 재난발생 긴급대응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2계층의 경우 시민대상 상세 재난 상황 정보 알림, 관리자용 실시간 3차원 현장상황 제공, 유관기관 자동 정보연계 순으로 평가되었다. 그룹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공은 시민(1순위), 관리자(3순위), 유관기관(2순위)에 재난상황 정보의 정확성(4, 6순위)을, 민간은 미래기술을 활용한 3차원 관제(1순위, 3순위, 5순위)에 대한 중요도를 가치있게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의 안전 우선 가치와 민간의 기술혁신 가치 요구에 상응하는 3D 안전상태정보 플랫폼 기반의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테스트베드 및 상용화 단계 시 기술 적용과 세부 시나리오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실감형 재난대응 서비스의 실질적 적용 및 운영방안, 지자체 확산을 위한 재원 마련 및 정책적 지원방안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ine Accidents by Navigation Officers' Fatigue)

  • 조준영;금종수;장운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7
    • /
    • 2010
  • 최근 국내에서는 연간 약 600여건의 각종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해양사고의 발생에 관한 국 내외 많은 연구와 분석에 의하면 해양사고의 약 70~80%가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여러 인적요인 중에서도 항해사의 피로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항해사의 피로가 해양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인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해사의 피로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거의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종류별로 인적요인에 의한 발생률을 분석하고, 문헌과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항해사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5가지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ISM법을 이용하여 피로요인에 의한 해양사고 발생 위험성의 평가요소를 계층구조화하였다. 마지막으로 AHP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각 피로요인의 중요도를 구하고 항해사의 피로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해양사고의 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수면시간 0.386, 스트레스 0.302, 건강상태 0.139, 휴식시간 0.099, 음주 약물 0.074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사상사고 0.328, 충돌사고 0.308, 좌초사고 0.195, 침몰사고 0.094, 화재사고 0.075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요도가 높은 요소들을 중심으로 제어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환경센서에 기반한 스마트폰 연동형 듀얼모드 전원 스트립 제어기 구현 (Implementation of a Dual-mode Power Strip Controller Cooperating with Smartphones Based on Environmental Sensors)

  • 임재현;김종현;장민준;최연승;정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65-46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환경센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연동형 듀얼모드 전원 스트립 제어기를 구현한다. 화재현황통계에 따르면 주거시설의 미확인 전기사고화재가 23.4%를 차지하고 있다. 사용자 부주의로 발생하는 이러한 화재사고를 줄이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 스마트한 전원제어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 구현한 듀얼모드 전원 스트립 제어기는 온도, 조도, 습도센서와 같은 환경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전원 스트립의 ON-OFF 동작을 두 가지 방식(수동모드/자동모드)으로 제어한다.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표시된 환경센서 데이터를 보고 강제적으로 전원 스트립의 ON-OFF 동작을 제어하고, 자동모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둔 임계치(threshold)를 환경센서 데이터가 벗어날 경우 자동으로 전원 스트립의 ON-OFF 동작을 제어한다. 실험실 테스트를 통해 전원 스트립 제어기의 듀얼모드가 성공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PDF

렴瘡에 對한 文獻的 考察 (A literatual study on the Ecthyma)

  • 김희택;오영선;노석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09-246
    • /
    • 1997
  • In the literatual study on the Ecthym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hogenic factors of Ecthyma is divided three parts. One is exogenous pathogenic factors which including the wind evil, wind heat and toxic material produced by wetness evil. Another is endogenous pathogenic factors which including the declination of kidney-yang, impairment of the liver and kidney, the lower classes of yin-fire, accumulation of wetness-heat in the spleen asthenia, impairment of the liver and kidney, wetness-heat of three yang, asthenic heat-syndrome of three yin. The other is pathogenic factors neither endogenous nor exogenous which including the food and living, uncontrol sexual excess, anxiety and angry, injury of skin, injury of insects and animals. 2. Five viscera which was concerned with Ecthyma are liver, spleen and kidney. 3. Frequent region of Ecthyma are S-36(足三里) and C-7(陰交). External Ecthyma was rose to wetness-heat of three yang channel that cured easily. Internal Ecthyma was rose to asthenic heat-syndrome of three yin channel that cured hardly. 4. In the frequency of prescription, the most numerous prescription is Bojungikgitang(補中益氣湯) and the next are Kyukgigo(隔紙膏) and Yukmijihwanghwan(六味地滉丸). 5. In the frequency of medicine, the most medicine is Calomelas(輕粉) which included Hydrargyrum(水銀) and the next are Olibanum(乳香) and Resina Commiphorae Myrrhae(沒藥) which regulating vital energy and pain control medicine used that in order to destroy insects and remove polson. 6. In classification of the medical action, medicine of clearing away summer-heat and heat evil and activating blood circulation to dissipate blood stasis used to be very busy which in order to remove the disorder of vital energy for virulent heat-evil. 7. In classification of four characters, the most part is warm medicine, the next are cold and cool medicine and there is a few that is hot medicine. 8. In classification of five tastes, the most numerous tastes are bitter and acrid, the next are sweet, salty and sour tastes. 9. In classification of virulence of medicine, the most part is non-toxic, the next are weakly and deadly poison. 10. In classification of channel distribution, the most is the medicine that belongs to liver channel, the next are the lung, spleen, stomach and kidney channel.

  • PDF

Battle Lab에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LVC 연동방안 (The LVC Linkag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the Battle Lab)

  • 윤근호;심신우;이동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1-88
    • /
    • 2012
  • M&S 도구로서의 Battle Lab은 무기체계 획득 주기상 소요결정부터 연구개발 및 시험평가/훈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Battle Lab 구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초보적인 Battle Lab을 구축하고 있다. 전장 환경을모의함에 있어서 특히 Live, Virtual, Constructive 모델이 연동되는 M&S 도구의 활용도는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SE(체계공학)프로세스 전 과정에 걸쳐 적용 될 경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기술적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장 환경 모의시 모의 체계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도를 극대화한다.L-V 연동은 Virtual 모의기에서의 전술데이터링크 활용으로 Live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과 V-C간 연동은 Virtual/Constructive 모의기에 M&S의 표준 도구인 RTI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방공 Battle Lab으로 구축한 사례를 보인다. 방공 Battle Lab은 표적이 접근하는 경우 교전 무기체계에서 상부체계 명령을 통해 교전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Constructive인 표적과 유도탄, 레이더, 발사대 모의기와 Virtual인 중앙방공통제소, 대대, 사격통제소 모의기간에 RTI RPR-FOM 1.0 연동하고, 또한 Virtual 모의기간 전술데이터링크 Link-11B, ATDL-1을 연동하여 Live 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

미국 멕시코만 오염사고 분석을 통한 국가방제정책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Gulf of Mexico Oil Spill Incident)

  • 김상운;임창수;이완섭;하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7-264
    • /
    • 2011
  • 2010년 4월 20일, 반잠수식 시추선 Deepwater Horizon호가 폭발, 침몰하는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490만배럴(약 77.8만톤)의 원유가 미국 멕시코만으로 유출되었다. 이 사고로부터 1년 이상이 경과함에 따라 정부 측과 오염행위자 측의 각종 분석보고서와 사고로부터 얻은 교훈 등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지시로 구성된 "Deepwater Horizon 기름유출과 원해 석유시추에 관한 국가위원회"의 최종보고서와 미국 해안경비대(USCG)와 미국 에너지 관리 규제 집행국(BOEMRE) 합동조사반의 중간보고서를 바탕으로 기름오염 사고 원인과 사고대응에 대한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정부에서 유출구 봉쇄조치 지도감독 능력 강화, 현장소각과 임시방제정 프로그램의 도입검토 및 향후 미국의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국가방제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