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print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모바일 단말기에서 지문 지우기를 활용한 스머지 공격 방지를 위한 보안 키패드 설계 (Design of a Secure Keypads to prevent Smudge Attack using Fingerprint Erasing in Mobile Devices)

  • 문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7-123
    • /
    • 2023
  • 핀테크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 폰을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에서의 안전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인증하기 위해 PIN이나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완료 버튼을 터치한 순간 서버에 인증정보를 전달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하지만 카메라 등을 이용한 레코딩 공격, 엿보기 공격이 아니더라도 터치스크린 사용 흔적인 스머지가 남게 되어 사후 공격이 가능하다. 스머지 공격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는 인증 후 사용자는 지문을 지워야 한다. 본 연구에서 지문 지우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기법은 PIN를 입력한 다음에 터치한 흔적인 지문 지우기를 수행하고, 지우기 여부를 판단되면 자동으로 입력 완료 버튼 대신에 처리하는 보안 키패드를 설계하였다. 패스워드 입력시 반드시 지문을 지우는 동작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을 통해 사용자는 반드시 지문 지우기를 해야만 서비스 요청이 완료되어 스머지 공격을 차단할 수 있다.

웹서비스를 위한 지문인증 모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Module for Web Services)

  • 오윤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3-262
    • /
    • 2007
  • 인터넷 환경이 다양한 서비스 분야로 응용됨에 따라 보안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웹서비스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증 방식은 본인의 확인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뢰성, 안전성, 보안성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거나 인증키를 사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기존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워드 및 인증키는 문자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인증정보 유출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해커들이 컴퓨터 해킹을 통해 인증정보를 쉽게 빼낼 수 있어 보안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고유한 생체 인식으로 이용되는 지문을 활용하여 웹서비스에 적용하는 모듈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듈은 사람의 고유한 특징인 지문인증을 사용하기 때문에 웹서비스 사용자의 본인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 인증정보 유출이나 해커들의 해킹으로부터 보안성이 철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식이 웹서비스에 적용되는 기존의 패스워드나 인증번호 방식보다 보안성이 우수하다.

  • PDF

지문 정보를 이용한 공개키 기반의 전자입찰시스템 (Public Key Infrastructure of Electronic Bidding System us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 박소아;채철주;조한진;이재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9-77
    • /
    • 2012
  • 현재 전자입찰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은 패스워드 기반의 PKI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패스워드 기반 PKI 기술의 경우 개인키를 사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패스워드 노출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자입찰시스템에서 타인의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불법적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 인식을 이용한 PKI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바이오 정보를 템플릿으로 변환하게 되면 기존의 인증 기술보다 보안성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방식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 인식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지문보안토큰에 사용자 지문 정보와 인증서를 저장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전자입찰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지문 정보를 이용한 공개키 기반의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 인증 강화뿐만 아니라 전자입찰시스템에서 타인의 인증서를 이용한 대리인 입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퍼지볼트와 스테가노그래피를 이용한 스마트폰 지문 인증 시스템 (A Fingerprint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Fuzzy Vault and Steganography for Smartphone)

  • 남한솔;김애영;이상호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419-42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퍼지볼트와 스테가노그래피를 결합한 스마트폰 지문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생체정보를 이용한 인증은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생체정보는 타인에게 노출되면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안전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만약 인증을 위해 변형된 생체정보가 사용된다면, 생체정보가 노출되더라도 원래의 생체정보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스마트폰에서 지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지문 인증 시스템에 퍼지볼트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퍼지볼트로 변형된 생체정보는 스테가노그래피 기법과 결합하여 은닉되므로 정보 노출에 더욱 안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문 DB를 이용한 실험 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이 두 기법을 결합한 방법이 지문 인식 센서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증에 높은 편리성과 보안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지문 특징의 준동형 그래프를 이용한 일회용 암호키 생성기법 및 시뮬레이션 (An OTP(One Time Password) Key Generation Method and Simulation using Homomorphic Graph by the Fingerprint Features)

  • 차병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6호
    • /
    • pp.447-45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지문의 특징을 이용한 OTP의 일회용 암호 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잘 알려진 강력한 개인 인증요소인 지문 정보를 이용하여 가변적이고 안전한 일회용 암호 키를 생성하였으며, 또한 제안 기법에 대한 dendrogram을 이용한 지문 특징점의 준동형 그래프간의 가변성 그리고 지문 특징점의 분포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다.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공인인증서의 보안 요건을 만족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Electronic ID System Satisfying Security Requirements of Authentication Certificate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 이종호;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10-61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지문 인식을 이용하여 공인인증서의 보안 조건을 만족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은 지문 정보를 사용하여 위변조 불가, 기밀성, 무결성, 본인 인증 (=부인 방지)등의 기능을 가진 전자서명문을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 전송 및 검증한다. 제안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은 사용자 암호 대신에 지문을 사용하여 유출 및 탈취를 피하면서도 기존의 공인인증서와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 제안하는 전자 신분증 시스템은 HSM 디바이스, 검증 서버, CA 서버, RA 클라이언트의 4개 모듈로 설계하였으며 각 모듈의 프로토타입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현 (Hardware Implementation of the Fuzzy Fingerprint Vault System)

  • 임성진;채승훈;반성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5-21
    • /
    • 2010
  • 지문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편리함과 동시에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한개의 손가락 개수로 인해 패스워드처럼 변경을 자유롭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저장된 지문정보가 타인에게 도용된다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지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하학적 해싱 기법을 적용하여 지문 정렬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해싱 기반 지문 퍼지볼트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구조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로 통합 구성된다. 하드웨어 모듈은 등록 해시 테이블과 인증 해시 테이블의 변환 특징점의 정합을 담당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하드웨어 구조의 수행 시간은 지문 특징점의 수가 36개이고 거짓 특징점의 수가 100개 일 때 0.2초, 400개 일 때, 0.53초이다.

3차원 기하학적 해싱을 이용한 퍼지볼트에서의 지문 정합 (A fingerprint Alignment with a 3D Geometric Hashing Table based on the fuzzy Fingerprint Vault)

  • 이성주;문대성;김학재;이옥연;정용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21
    • /
    • 2008
  •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은 일반적인 패스워드 기반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높은 보안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암호학과 바이오정보 분야를 암호-바이오(crypto-biometric)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연구되고 있다. 최근 퍼지볼트라 불리는 암호-바이오 시스템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중요한 비밀키와 바이오정보를 통합하여 정당한 사용자만이 비밀키를 획득 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에서는 바이오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추가되는 거짓 특징점의 개수가 제한되어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기하학적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안성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정보 없이 보호된 지문 템플릿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3차원 지문 퍼지볼트 기법이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역변환이 불가능한 변환된 영역상에서 자동으로 지문 정렬을 수행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TM 보안 강화를 위한 생체인식기술 분석 (Biometric technology comparison analysis for the security reinforcement of the ATM)

  • 권용관;차재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6-2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ATM(Automated Teller Machine: 금융자동화기기) 보안 강화를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생체인식기술 중 지문인식, 홍채인식, 정맥인식 방식에 대하여 특징과 ATM 적용 사례 및 세부 사양 등을 분석하였다. ATM에서 생체인증을 도입할 경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건들을 기술하고, 이 요건들을 기준으로 각 생체인증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증정확도에 있어 한계를 갖는 지문인식방식과 사용자 편의성에 있어 큰 약점이 있는 홍채인식방식 보다는, 인증정확도 및 은닉성이 우수하면서도 위생적이라는 장점이 있는 정맥 인증 방식이 향후 ATM에 적용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문인식 기반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인증 모델 (An Authentication Model based Fingerprint Recognition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 이용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8C권6호
    • /
    • pp.379-388
    • /
    • 2011
  • 의료정보는 환자에게 중요한 개인정보로써 반드시 보호돼야 한다. 특히 전자의무기록에 접근할때, 의료인의 강화된 신원확인에 대한 인증방식이 필요하다.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 인증모델은 개인키 관리, 권한위임 등 문제점으로 전자의무기록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의료인이 접근하는 경우 지문인식 기반 인증 모델을 적용하여 강화된 인증방식을 제안한다. 전자의무기록의 지문인증 모델은 의료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키 관리, 권한위임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