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 rehabilitation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7초

손가락 경직을 모사하는 로봇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경직도 검진의 신뢰도 평가 (Reliability of Modified Ashworth Scale Using a Haptic Robot Finger Simulating Finger Spasticity)

  • 하도경;박형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2호
    • /
    • pp.125-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손가락 경직을 모사하는 손가락 시뮬레이터를 통해 손가락 경직도 검진에서의 검진자간 신뢰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시뮬레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경직에서 나타나는 토크를 간단하게 모델링 하고 손가락 경직 환자로부터 간단한 측정 모듈을 이용해 각각의 Modified Ashworth Scale(MAS) 등급에 맞는 파라미터를 얻어냈다. 또한 중수지 관절에 모터가 위치한 손가락 형태의 로봇을 설계하여 경직 토크 모델을 따르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이 시뮬레이터를 통해 일곱 명의 재활의학과 전문의들의 검진 결과를 평가해본 결과 중수지 관절에서 0.619, 근위지간 관절에서 0.514의 Cohen's Kappa 값을 보였다. 검진자간의 Fleiss' Kappa 값은 중수지 관절에서 0.513, 근위지간 관절에서 0.486으로 나타났다. 또한 검진자들은 각각의 주관적인 MAS 검진 기준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같은 환자에 대한 MAS 검진 신뢰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개발된 로봇 시뮬레이터는 검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용 도구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가열식 화침(火鍼)을 이용한 방아쇠수지 치험 2례 (A Case Study of 2 Trigger Finger Patients using Burning Acupuncture Therapy)

  • 이철휘;박민규;강일아;신민근;서상경;윤광식;이창희;이재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169-175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burning acupuncture therapy on the trigger finger. Methods : 2 patients were treated by burning acupuncture therapy to recover from trigger finger. The symptoms were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VAS) and Tanaka score. Results : In both cases, VAS decreased to 0 and 1. Patient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and good by Tanaka score. Conclusions : Burning acupuncture therapy is effective to trigger finger.

손상(損傷) 인대(靭帶) 부위 아시혈(阿是穴)의 직접구(直接灸)를 이용한 부위별 염좌치험(捻挫治驗) 3례 (A Case Report about the Sprain Treated with Direct Moxibustion on Painful Point of Injured Ligament)

  • 조윤철;나경원;정원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3-169
    • /
    • 2005
  • Objective : Direct moxibustion applied on painful point of injured ligament, not acu-point, is effective method to treat acute pain and chronic weakness of injured ligaments. We recently experienced 3 case of sprain treated with direct moxibustion on painful point of ligaments. Methods : Patients who injured in lateral collated ligament,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and collateral ligament of finger were treated by direct moxibustion on tender points of injured ligaments. Results and conclusion : There was successful results that pain and ROM was improved. It seems that burns due to moxibustion facilitate repair of ligament and control inflammation.

뇌졸중 환자를 위한 착용형 손 재활훈련기기, DULEX (DULEX, A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Device for Stroke Survivals)

  • 김영민;문인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19-926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wearable hand rehabilitation device, DULEX, for persons with functional paralysis of upper-limbs after stoke. DULEX has three degrees of freedom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wrist and fingers except the thumb. The main function of DULEX is to extend the range of motions of finger and wrist being contracture. DULEX is designed by using a parallel mechanism, and its parameters such as length and location of links are determined by kinematic analysis. The motion trajectory of the designed DULEX is aligned to human hand to prevent a slip. To reduce total weight of DULEX, artificial air muscles are used for actuating each joint motion. In feedback control, each joint angle is indirectly estimated from the relations of the input air pressure and the output muscle length.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DULEX is feasible in hand rehabilitation for stroke survivals.

지능형 로봇손을 위한 손가락 힘센서 개발 (Development of Force Sensors for the Fingers of an Intelligent Robot's Hand)

  • 김갑순
    • 센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3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and manufacture of a two-axis force sensor and a single-axis force sensor for the fingers of an intelligent robot's hand. The robot's finger is composed of a two-axis force sensor, a first knuckle, a single-axis force sensor, a second knuckle, a spring, a motor of first knuckle, a motor of second knuckle, and so on. The two-axis force sensor attached to the first knuckle and the single-axis force sensor attached to the second knuckle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characteristics test of two sensors was carried out. As a test results, the interference error of the two-axis force sensor was less than 0.68%, the repeatability error of each sensor was less than 0.02%, and then the non-linearity was less than 0.03%. It is thought that the sensors can be used for the fingers of the intelligent robot's hand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finger patients.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반영 할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손가락 보조기 디자인 제안 - FDM 방식의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 (Proposal of finger splint design using design guidelines to reflect user requirements - Using FDM 3D printing technology -)

  • 신이열;오광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4
    • /
    • 2019
  • 국내에서 제작되고 판매되는 일반적인 손가락 보조기는 신체 기관의 손상으로 장애를 가지는 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보조기의 착용은 감추고 싶은 착용자의 장애를 환기시키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착용자의 심리적 측면에서 자괴감, 우울함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착용자가 착용을 꺼리거나 거부하게 된다면, 보조기는 재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잘 반영할 수 있는 3D프린터를 이용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각각의 연구들이 가지는 특징과 기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보조기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의료용 손가락 보조기를 조사하고 각각의 보조기의 사용자 조사를 종합 및 해석하여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 기준을 토대로 FDM 방식의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손가락 보조기 제작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맞추어 손가락보조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3축 힘센서를 이용한 구물체 잡기 손가락 힘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inger-force measuring system with three-axis force sensor for measuring a spherical-object grasping force)

  • 김현민;김갑순
    • 센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8-245
    • /
    • 2010
  • Stroke patients can't use their hands because of the paralysis of their fingers. Their fingers are recovered by rehabilitating training, and the rehabilitating extent can be judged by grasping a spherical object. At present, the object used in hospital is only a spherical object, and can't measure the force of fingers. Therefore, doctors judge the rehabilitating extent by touching and watching at their fingers. So, the spherical object measuring system which can measure the force of their finger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paper, the finger-force measuring system with a three-axis force sensor which can measure the spherical-object grasping force is developed. The three-axis force sensor is designed and fabricated, and the force measuring device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using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Also, the grasping force test of men is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finger-force measuring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force of men was about 120 N.

뇌졸중 환자용 동력보조형 상지재활훈련기의 설계 (Design of Upper-limb Rehabilitation Device with Power-assist Function for Stroke Survivals)

  • 배주환;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9-85
    • /
    • 2011
  • 본 논문은 뇌졸중에 의한 상지 편마비 환자의 재활훈련을 위한 동력보조형 상지재활훈련기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상지재활훈련기는 3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검지와 손목은 독립적으로, 그리고 나머지 손가락은 하나의 모듈로 굽힘과 폄 동작이 가능하다. 손목 기구는 복동식 공암실린더를, 손가락 기구에는 두 개의 전동식 선형구동기를 적용하여 동작을 보조하도록 하였다. 설계를 기반으로 프로토타입 상지재활훈련기를 제작하였으며, 0.8mm이내의 오차로 정상상태에 수렴하도록 위치제어기를 구현하였다. 실험의 결과로부터 동력보조용 상지훈련기가 실현가능함을 보였다.

손가락 비율을 이용한 장애인 특성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person with disability using ratio of the lengths of the second to fourth digits)

  • 김성진;신현욱;이병순;최지원;최경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145-1154
    • /
    • 2012
  • 태아기의 성 호르몬의 차이가 두 번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 길이의 비율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생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된 이후 관련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손가락 비율 비교 및 장애인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장애인과 일반학생 모두에 있어 남자의 손가락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여자보다 낮아, 남녀별 성차가 있다는 일반적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남자와 여자 장애인 모두에서 나이대별 손가락 길이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인도 성장과정에서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크게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자와 여자 지적 장애인 모두에 대하여 장애등급별 손가락 길이 비율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바, 이로부터 손가락 검지와 약지 길이 비율이 장애여부와 관계가 있다는 점에 근거하면 현재의 장애등급 구분은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이상적인 목발 길이와 목발 길이 추정법들간의 비교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veral Crutch-Length-Estimation Techniques and Ideal Crutch Length)

  • 김민정;박윤수;이충휘;김현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of several crutch-fitting techniques best predicts ideal crutch length. Ideal crutch length is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crutch, including accessories, obtained during stance when the crutch tip is 6 inches (15.2 cm) lateral and 6 inches(15.2 cm) anterior to the fifth toe and the axillary pad is 2.5 inches(6.4 cm) below the axillary fold. Forty four volunteers were measured for crutches using each of the following methods:(1) 77% of actual height, (2) actual height minus 40.6 cm, (3) actual height minus 45.7 cm, (4) olecranon to opposite third finger tip, (5) olecranon to opposite fifth finger tip, (6) 77% of arm span, (7) arm span minus 40.6 cm, (8)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9)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10) ideal crutch length. Of the techniques studied, the two involving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were found to be good predictors: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5.1 cm and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plus 10.2 cm. Finally, two additional length estimates were deriv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se estimates provided the best overall predictors based on anterior axillary fold to heel and actual h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