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arts educat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9초

미국 공영방송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육성정책 연구 - PBS 「Art 21C」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Arts Program Development Policy of US Public Broadcasting - Focused on PBS 「Art 21c」)

  • 최종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99-411
    • /
    • 2019
  • 본 연구는 현재 미국 공영방송 PBS TV에서 방영되고 있는 "Art 21C(Art in the 21st Century)"의 작품분석, Art 21 재단과 전담 제작진, 전략과 정책, 프로그램 역사, 활용방안과 교육 등의 사례연구를 통해 문화매체인 TV를 통한 예술교육의 정책적 지향과 전략적 방향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한다. 먼저, 국내 관련 선행연구 점검을 필두로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유럽지역의 공영방송을 통한 문화예술 교육 현황을 살펴본다. 편집원칙과 재원 그리고 의미와 가능성 등을 파악해 유럽을 아우르고 있는 예술교육 매체로서 TV방송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예술 교육의 든든한 지원자로 자임하고 있는 "Art 21C"의 시즌 별 작품연구, 제반 편집규정 그리고 운영정책 및 제작전략 등을 실제 제작진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면밀히 살펴, 국내 TV 매체를 통한 문화예술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이 주 연구의 목적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TV를 통한 문화예술 교육은 국가성장동력 차원의 체계적이고 단계적 그리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예술 리터러시 교육이 정책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세부 실천 사항으로 먼저, 토대구축 단계로써 전문인력양성, TV 예술 리터러시 교육 그리고 확장성장 단계로써 멀티 플랫폼, 국지전략(지역친화형)확립 마지막 세번째 장기구조 단계로써 TV를 활용한 예술교육 정책과 매체 제도 확립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공교육 중심의 해외 교육시장 진출 사례 분석: G러닝(게임 기반 교수학습 방법)의 미국 공교육 진출 (A Case Analysis of Entry in Global Education Market focused on Public Education : The Entry of G-Learning(Game Based Learning) into a Public School System in USA)

  • 위정현;원은석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9-128
    • /
    • 2013
  • 콘텐츠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내 문화콘텐츠의 해외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게임, 음악, 영화 등의 분야와는 달리 교육콘텐츠의 경우 해외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교육콘텐츠의 해외 진출 사례로 C연구소의 G러닝 미국 공교육 진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사례에서 C연구소는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LA라발로나 초등학교에서 5학년 정규 과정 G러닝 수학수업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성적을 향상시켰다. 본 사례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성공이 가능했던 이유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제품의 차별성이고, 둘째, 현지 인력을 중심으로 지원조직을 구성하여 현지 인적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으며, 셋째,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정보 공유를 통해 연쇄적인 설득과정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

충남지역 고학년 초등학생 학부모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 떡, 한과, 전통음료를 중심으로 -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ChungNam Area - Focusing on Tteok, Hankwa, Korean traditional drink -)

  • 강민정;지옥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0-249
    • /
    • 2014
  • In terms of awareness of Korean traditional food, elementary students are most affected by their par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ental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Chungnam Area. In a survey of 126 parents, 58% of subjects we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foo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bout 87% of parents thought that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needed. The reasons for inheritance of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To stick to styl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68.2%), 'Palatable' (21.8%), 'Education for children' (6.4%), and 'Beautiful and fine custom' (3.6%). The awareness point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easy for cooking'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p<0.01). In all age groups, subjects highly recogniz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s are good for heal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preferences for Tteok and Hankwa (r=0.351, p=0.001), Hankwa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r=0.374, p=0.001), and Korean traditional drink and Tteok (r=0.406, p=0.001). As a result, preferences for other items also increased when preference for one of the three traditional foods increased. Therefore,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s necessary in order to satisfy parental preferences.

앤트리를 활용한 색채대비 수업의 효용성 (Usefulness of Color Contrast Class Using Entry Software)

  • 전수연;허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3-80
    • /
    • 2020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50명을 대상으로 색채대비에 관련된 실습 수업을 종이 활동지를 활용한 전통적인 방식과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활동지 수업을 진행한 후 학습자들의 수업 결과물과 설문지를 통해 미디어 프로그램인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의 효용가치를 이해도, 활용도, 만족도, 흥미도 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업 결과물 경우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에서 재료로 인한 색채의 제한이 없어 학생들이 이론에 부합하는 다양한 색채를 사용했다. 둘째,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활동지 수업은 종이 활동지를 활용한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이해도 영역을 제외한 활용도, 만족도, 흥미도 면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나왔다. 이에 본 연구는 색채 관리 수업에서 엔트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습 활동의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초등학교(國民學校) 교과서별(敎科書別) 구강보건(口腔保健)에 관(關)한 실태분석(實態分析) (Analysis of the Dental Health in Primary School Textbooks)

  • 최희연;정연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6-68
    • /
    • 1993
  • The primary school age are important period that the children exchange the deciduous teeth for permanent teeth, there are so many outbreak of dental caries which is major oral diseases periodontal disease begins, and malocclusion may be brought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ndamental data for enforcement of dental health in primary school age as analyzing the curriculum contents and amount on dental health in primary school course. The data were investigated from 103 volumes of 139 textbooks of second semester in 1992 and first semester i 1993 except some subjects that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impossible such as arithmetic a problem in arithmetic, observation, music, fine arts and so on. The contents of all textbooks were analyzed separating into paragraph and picture, the contents for dental health were classified into amount, item, teaching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ragraphs on public health were 3.992 among total paragraphs 69,789 as 5.72%. And the picture were 7.41% as 923 pieces of total 12,457 ones. 2) For dental health, there were 73 paragraphs of 69.789 ones (0.10%) and 42 pieces of 12.457 pictures (0.34%). 3)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curriculum that had the paragraphs related to dental health the most, it turned out to be in order of physical education nature. Right life story, and right life story, righ life, physical education for the picture. And for the grade, it appeared to be in order of sixth, third first grade for the paragraphs and first, third, sixth grade for the pictures. 4) In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item for dental health by grade, it turned out that the paragraph was 76.71%, the behaviour was 23.29%. On the other hand, the knowledge was 35.17% and the attitude was 64.28% for the picture. 5) At the commentary of curriculum in primary school, the goal of health education by each grade was just keep clean and strong teeth, know the role of teeth and the cause of dacayed teeth, and prevent it in second and third grade.

  • PDF

Perspectives of Medical Oncologists regarding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Cancer in Turkey - Can Musicology be Integrated into Psycho-oncology?

  • Tanriverdi, Ozgur;Aydemir, Nil Fat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537-6540
    • /
    • 2013
  • Background: Music therapy is a comm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addition to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cancer. If music therapy, which is known has a positive effect on human emotions and behaviors, is a useful additional therapy, it should be more integrated into pyscho-oncology.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medical oncologist attitudes to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cancer and knowledge about musicology and music therapy in Turke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urvey study included questions about participant attitudes and knowledge regarding music therapy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ere 402 physicians working in medical oncology in Turkey and the sample covered 112 participants in the the survey.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chi-square test, Fischer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analysis are applied. Results: In our study the rate for medical oncologists who were interested in music therapy was 28% (n=112). Some 30% (n=34) of medical oncologists recommended music therapy for their patients and 55% (n=61) recommended music therapy to prevent anxiety in patients with cancer. Conclusions: In this study, for more harmony with patients and in order to ensure management of adverse effect, it was concluded that music therapy should be regrded as an additional therapy in oncology clinics.

라이프 드로잉(life Drawing)의 두뇌 기반 교수-학습 전략 연구 - 애니메이션 전공 중심으로 (Brain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Design about Life Drawing - Focusing on Animation Major Drawing)

  • 박성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71-91
    • /
    • 2015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전문적인 특성을 고려한 라이프 드로잉 교수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두뇌의 창작 기제를 고려한 전략을 적용한 모형과 교수방법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전문분야의 교육방법에 대한 대안적인 논의로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융합적 교수법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즉, 뇌의 창의기제를 기반으로 한 융합적 교육은 미술과 드로잉 교육뿐만 아니라, 예술전반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라이프 드로잉은 인체에 대한 구조적 지식을 넘어서 인지적 감각, 창의성, 그리고 동작을 통한 대상과의 소통방식을 이해한 생동감 표현법 등을 숙련할 수 있는 종합적인 교수법을 요하는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앞선 단계에서 분석된 창의, 학습기제와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라이프 드로잉 숙련을 위한 전략과 방법 그것을 정리한 교육모형 구조도를 설계하여 본다. 그 결과 이전 연구의 결과물인 뇌의 창의, 학습 기제를 기반으로 한 라이프드로잉의 능력요소와 두뇌기반 촉진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해서는 5단계 인지전략단계인 뇌 활성화 준비단계, 대뇌피질 기능 활성화, 고등사고촉진단계, 고등사고단계, 통합단계를 거쳤을 때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또한 이를 실행하기위한 전략적 방법으로는 브레인짐(brain gym), 우뇌활성화드로잉, HSP(고차인지)트레이닝으로 설계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설계된 교수학습모형 구조도는 이후의 연구에서 해당 회기 동안의 교수학습지도안 설계로 이어진다.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Change of High School of the Arts Students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 김희정;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6-283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시적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이전과 비교하여 개념이 변화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 변화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학생들에게 어떤 과학의 본성 요소가 변화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의 본성 검사(VNOS-C)를 실시한 결과 실험탐구 집단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및 '과학지식의 잠정성'의 요소가, 과학사 집단은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의 요소가 유의미한 개념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수업의 구체적 내용과 관련된 변화이며, 각각의 수업 전략이 강조하는 점이 과학의 본성 요소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과학의 본성 요소의 개념 변화를 가져온 구체적 원인을 밝히기 위해 10명의 초점학생들을 선별하여 면담을 진행하였고, 과학의 본성 요소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명시적 수업의 효과로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의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개념 변화가 있었으나,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의 요소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론과 법칙의 차이'의 요소에 대해 피상적으로,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 역시 불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상상력의 특징'의 요소에 대해서 학생들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창의성의 정의에 따라 창의성이 관여하는 탐구 단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술 고등학생들에게 실험탐구와 과학사 전략을 적절히 사용함으로 각기 다른 과학의 본성 요소를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 양적 질적 측면에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하여 예술 고등학생들이 구성주의적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 학생들의 개념생태와 수업전략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에 대한 과학 교육 과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하겠다.

여자 유도 허리후리기 기술의 운동학적 특성분석 (A Kinematic Analysis of Harai-Goshi(Hip Throw) in Judo)

  • 김갑선;박철홍;이일구;정남주;김동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kinematic analysis of Harai-goshi(hip throw) in superior female judo players. From our analysis, it appeared desirable for the player to shorten the duration of the technique for maximum results. It was also desirable for the player to draw the opponent backward while simultaneously maneuvering her close to her own body. A turning movement of the body toward the left side was found to be required for the technique, during which the player must lower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During the subsequent angular change of the elbow, the player winds the elbow and, by moving the left shoulder, pulls the opponent toward her. The player lowers the body center by bending the left knee and letting the right knee extend, while turning the upper body and bending the hip joint. The player then draws the opponent in, contacts the opponent closely, turns, and stretches the right knee and hip joint rapidly and concisely, completing the move; it was also found to be desirable for the angular velocity to be increased for maximum efficacy.

디자인 스튜디오 교육을 위한 CALM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가구디자인 교육을 위한 시청각 기자재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ving products using heat and color conversion treated woods)

  • 인치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7-479
    • /
    • 2009
  • The high-tech computer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greatly affected the area of design education. Starting from the mid 80s, innovations in visual presentation methods have heightened with 2D computer graphic programs, CAD & 3D modeling, and Rapid Prototype that allows dimensional generation. The specialty and quality in design studio education have advanced due to the development in presentation methods such as Power Point and Keynote. But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the current method of presenting the visual outcome in a data format using beam projectors, which is a vertical presenting method compared to the old studio study method of conducting discussions and reviews based on the substantial outcome. The essence of studio study that allows for comparisons and analysis by horizontally opening up the various work outcomes is being offset. Also the requirement for manual idea sketching work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itial design phase continuing to decrease due to the digital working process dependence and cumbersome procedures in the presentation.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e CALM system (Class Applied LCD Modular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replaces the method of attaching the sketches or renderings on the wall with a digital multi-display system. In a nutshell, individuals will upload the outcomes online and display them on the CALM system studio that is composed of 32 LCD (Columns: 4 $\times$ Rows: 8) monitors that are 19 inches in size so that various personnel can openly study the design outcomes. Also the central 42 inch PDP monitor that offers touch pad capability allows each design outcome to be described and examined by expanding. The concept phase of this development process has elevated to the production of an operating prototype that is being reviewed of its practical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this system will decrease the extreme tendency of depending on digital operation but achieve revitalization of a more realistic and opened studio study environment compared to the individual consulting method of the old study approa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