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 width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미꾸라지, Misgurnus nazolepis의 지느러미에 기생한 포자충,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에 관하여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 infection on the fin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 권세련;김형준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7-171
    • /
    • 2011
  • 2010년 9월에 서해안 지역에서 양식중인 미꾸라지 중체표와 꼬리지느러미에 직경 약 2mm 크기의 유백색 포낭이 여러 개가 형성되어 상품으로 보기 흉한 미꾸라지 1미를 발견하여 포낭을 조사한 바, 점액포자충, Thelohanellus misgurni (Kudo, 1919)의 기생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슴지느러미 기부와 꼬리지느러미에 다량의 포낭이 형성됨으로써 지느러미의 가능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병어는 점차 쇠약해져서 폐사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발유형별 여자 버선 원형의 보정에 관한 연구 -세장형 광단형 편평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sions of Basic Women's Beosun for Foot Types -on Slender, Broad, Flat Type of Foot-)

  • 문명옥
    • 복식
    • /
    • 제34권
    • /
    • pp.67-78
    • /
    • 1997
  • We executed the wearing test in order to revise the basic Beosun pattern for five kinds of foot type. And we took sensory test to evaluated that revision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slender foot is that the foot circumference III is short as compared with foot length. So Kou of basic Beosun is sharp-pointed Hoimok and beosunmok are broad. For slender foot we took down ou of Beosun and use foot cir-cumference III/2-1.5cm as Hoimok like the part shown in dotted line of Fin 6. 2. The characteristics of broad foot is that the foot circumference III is long as comparison with foot length. So Kou of ba-sic Beosun is stubby Hoimok and Beosunmok are narrow. For broad foot we took up Kou of Beosun put foot circum-ferenceI /2-1.5cm for the width of Apbol and circumfernce III 2/-1.5cm for Hoimok like the part shown in dotted line of Fig. 8. 3. because the arch of flat foot is flat the sole of basic Beosun is not suitable to the flat foot. It developes on wrinkles of Duichuk and sole. For flat foot we took down Hom of the basic Beousun like the part shown in dotted line of Fig. 10. 4 We evaluated the revisions of basic Beousun for foot types were useful in senso-ry test.

  • PDF

New Record of the Birdbeak Burrfish Cyclichthys orbicularis (Pisces: Diodontidae), in Korea

  • Lee, Won-Chan;Kim, Jeong Bae;Kim, Hyong Chul;Bae, Seung Eun;Ryu, Jung-Hwa;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91-496
    • /
    • 2014
  • A total of six specimens (57.03-100.72 mm in standard length) belonging to the family Diodontidae were collected around Jeju Island, Korea between July and August 2013.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we identified the specimens as Cyclichthys orbicularis (Bloch, 1785), a new record to the Korean fish fauna. Morphologically,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nine caudal fin rays, immovable spines on the head and body except the caudal peduncle, and small black spots dorsally. Some morphometric characters changed disproportionately with growth, which was a new finding. Caudal peduncle length, body width and preanus length to standard length tend to grow at a rate different from that of overall growth. When the 601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sequences of our specime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diodontid fishes, our specimens clustered tightly around C. orbicularis (d = 0.000-0.002) in an NJ tree, with a high bootstrap value (99%). We herein describe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raits of the specimens, and propose a new Korean name, "gud-ga-si-bok-sok" for the genus Cyclichthys, and "dung-geun-gud-ga-si-bok" for C. orbicularis.

Fuzzy Distance Estimation for a Fish Robot

  • Shin, Daejung;Na, Seung-You;Kim, Ji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16-321
    • /
    • 2005
  • We designed and implemented fish robot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utonomous navigation, maneuverability control, posture balancing and improvement of quick turns in a tank of 120 X 120 X 180cm size. Typically, fish robots have 30-50 X 15-25 X 10-20cm dimensions; length, width and height, respectively. It is essential to have the ability of quick and smooth turning to avoid collision with obstacles or walls of the water pool at a close distance. Infrared distance sensors are used to detect obstacles, magneto-resistive sensors are used to read direction information, and a two-axis accelerometer is mounted to compensate output of direction sensors. Because of the swing action of its head due to the tail fin movement, the outputs of an infrared distance sensor contain a huge amount of noise around true distances. With the information from accelerometers and e-compass, much improved distance data can be obtained by fuzzy logic based estimation. Successful swimming and smooth turns without collision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distance estimation.

액화가스용 대기식 기화기의 외측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Outside Surface of Ambient Vaporizer)

  • 강승모;서동민;고동국;최준호;박외철;임익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0
    • /
    • 2017
  • This paper analyze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mbient air vaporizer which received the heat from the air through natural convection by using numer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The working fluid was a liquid nitrogen. The experimental variables were the length (2,000 mm, 1,800 mm, 1,600 mm) and width of the vaporizer fin and the fluid flow ($6.7m^3/h$, $7.1m^3/h$, $7.5m^3/h$).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experiments,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calculated. Numerical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find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the range of Nusselt number which was difficult to get the data from experiments. The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Nusselt number and Rayleigh number were suggested using both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data.

  • PDF

한국산 양태속 어류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Platycephalus (Platycephalidae) from Korea)

  • 이충렬;김종환;김지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8
    • /
    • 1999
  • 한국산 Platycephalus속 어류 2 종의 분류학적 위치관계를 면밀히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의 주요 형태적 특징과 근단백질 전기영동 및 LDH, MDH isozyme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슴지느러미의 연조수에서 P. indicus 에서는 18~20개 (P. sp.에서는 16~19개), 측선 린수는 70~80개 (83~100개), 두장에 대한 안경의 비율은 10.2~13.1% (10.9~15.5%)이었고, 양안간격은 14.5~18.1% (11.8~17.8%)였으며, 이 외에도 문단의 형태, 체색 그리고 가슴 및 배지느러미의 색깔 등에서 잘 구분되었다. 한편 전기 영동상에 의한 근 단백질 band 수는 P. indicus에서 16개, P. sp.에서 18개로 분리되었다. LDH isozyme은 P. indicus에서는 2개, P. sp.에서는 1개로 나타났고, MDH isozyme은 P. indicus에서 5개, P. sp.에서 4개로 분리되었다. 이 외에도 각 band의 이동거리, 활성도 등에서도 두 종간에 상이하게 나타났었다. 따라서 한국에 서식하고 있는 양태속 어류에 속하는 P. indicus와 P. sp.는 서로 다른 종으로 간주된다.

  • PDF

남중국해산 홍어과 (연골어강, 홍어과) 어류 신종, Okamejei mengae sp. nov. (A New Species of Skate (Chondrichthyes : Rajidae), Okamejei mengae from the South China Sea)

  • 정충훈;中坊徹次;오한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5
    • /
    • 2007
  • 중국 상해수산대학에 소장된 어류 표본 중에 남중국해에서 채집된 1개체의 표본(295 mm TL)을 근거로 하여 홍어속(Okamejei) 어류의 신종을 기재하였다. 홍어속 어류는 북서태평양에 6종, 인도양에 3종이 서식하여 전세계에 9종이 유효하다. 호주 해역에는 홍어속의 미기재종 1종과 근연종으로 살홍어속(Dipturus)으로 소속이 변경된 3종이 서식한다. Okamejei mengae sp. nov.는 문연골 길이가 두장의 54.3%로 주둥이가 짧고, 꼬리부가 전장의 48.5%로 길고, 미극이 3열, 신경두개의 상생체공의 전단부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점 등으로 홍어속에 포함된다. 이 종은 복추골이 23개로서 적고, 등지느러미 앞까지의 미추골이 50개로 많으며, 가슴지느러미의 복사연골이 96개로 많은 특징 등으로 동일속의 9종 및 근연종 등 13종과 명확히 구별된다. 또한 뾰족하게 돌출된 주둥이, 양안간격이 6.7배로 긴 두장, 넓은 꼬리, 좁은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의 거리, 짧은 제2등지느러미 뒤의 길이, 체반 등쪽에 작고 짙은 갈색 반점이 전체적으로 분포하지만 큰 반점은 없고, 배쪽의 로렌치니 병상 기관은 가슴지느러미의 후담기연골(metapterygium)의 뒤까지 분포하며, 견갑오훼연골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신종과 전 세계 홍어속 및 근연종 등 13종과의 특징 비교표를 작성하였으며, 북서태평양에 서식하는 7종에 대한 새로운 분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종간 자연잡종 출현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pseudosericeus and R. notatus in Sangcheon Stream of the Han River, Korea)

  • 곽영호;김근용;김근식;송하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3호
    • /
    • pp.275-285
    • /
    • 2020
  • 한강수계 상천천에서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와 떡납줄갱이 R. notatus의 잡종으로 추정되는 2개체를 채집하였다. 자연잡종 개체의 체색은 황갈색으로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지만, 전반적으로 떡납줄갱이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계수 및 계측형질에서 등지느러미 기조수, 뒷지느러미 기조수, 종렬비늘 수의 3가지 형질은 hybrid index (HI) 값이 0으로 나타나 떡납줄갱이의 형질을 따랐다. 체장에 대한 등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4.6), 뒷지느러미 기점 거리 (HI=75.3), 배지느러미 기점 거리 (HI =77.6)는 한강납줄개의 형질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파수(HI=55.3), 체장에 대한 체고(HI=67.9), 두장에 대한 문장(HI=43.4), 양안간격(HI=44.8)의 4가지 형질은 한강납줄개와 떡납줄갱이의 중간형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가지 형질은 0과 100 사이를 벗어나 잡종개체만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냈다. Recombination activating gene 1 (RAG1) 분석결과 잡종개체는 부모종의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나 자연잡종으로 판별되었으며, cytochrome b gene (COB)를 분석한 결과 한 개체는 한강납줄개를 모계로, 또 다른 한 개체는 떡납줄갱이가 모계로 나타났다.

기판 전압이 n-채널 무접합 MuGFET 의 Z-RAM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ubstrate bias on the Z-RAM characteristics in n-channel junctionless MuGFETs)

  • 이승민;박종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657-16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다중게이트 구조인 n-채널 무접합(junctionless) MuGFET 의 기판 전압이 zero capacitor RAM(Z-RAM)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핀 폭이 50nm 이고, 핀 수가 1인 무접합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3.5V, 기판에 0V 가 인가된 경우, 메모리 윈도우는 0.34V 이며 센싱 마진 은 $1.8{\times}10^4$ 의 특성을 보였다. 양의 기판 전압이 인가되면 충격 이온화가 증가하여 메모리 윈도우와 센싱 마진 특성이 개선되었다. 기판 전압이 0V에서 10V로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윈도우 값은 0.34V 에서 0.96V 로 증가하였고, 센싱 마진 또한 소폭 증가하였다. 기판 전압에 따른 무접합 트랜지스터의 메모리 윈도우 민감도가 반전 모드 트랜지스터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Gate Induced Drain Leakage(GIDL) 전류가 작은 무접합 소자의 경우 반전모드 소자에 비해서 보유시간 특성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Z-RAM의 동작 신뢰도 평가를 위해서 셋/리셋 전압 및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호암천에서 처음 채집된 둑중개 개체군의 특성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 of First Record on the Cottus koreanus from Hoam Stream, Korea)

  • 변화근;이병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6-173
    • /
    • 2017
  • 호암천에 분포하는 둑중개의 형태적 및 개체군의 특징 조사를 2015년 10월과 2016년 4월에 실시를 하였다. 호암천 상류역(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대종천 상류)이 둑중개(Cottus koreanus)의 새로운 서식지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삼척오십천 이남의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둑중개가 분포하는 범위는 기림사에서 용연폭포에 이르는 약 1.2 km 구간이었으며 수역은 약 $3,600m^2$ 이었다. 개체군 크기는 총 1,656개체, $100m^2$ 당 46개체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분포역이 매우 제한적이며 좁았다. 호암천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한강 개체군에 비해 머리길이(head length), 배지느러미 길이(VFR-L), 가슴지느러미 길이(PFR-L), 입의 폭(MW) 등이 짧았으며 그 외의 형질은 일치하였다. 전장이 만 1년생은 40~59 mm, 만 2년생은 60~79 mm, 만 3년생은 80 mm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포란수는 239~468개이었으며 평균 361개 이었다. 성숙란의 직경은 $2.6mm{\pm}0.21$(2.3~3.1)로 대란형에 속하였다.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BW = 0.00001TL3.01로 상수 a는 0.00001을, 매개변수 b는 3.01 이었고, 평균 1.26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