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l material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3초

도전성 고분자의 기능성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application of conducting polymer)

  • 김종욱;김현철;정인성;김현관;구할본;김태성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7권6호
    • /
    • pp.520-526
    • /
    • 1994
  • A rectifying heterojunction consisting of polyparaphenylene(PPP) and polypyrrole(PPY) films was prepared by the electrochemical method. The photoresponse in the heterojunction of PPY and PPP is similar to the absorption spectrum of undoped PPP. This fact suggests that photoresponse depends strongly upon polyparaphenylene of semiconductor. The fill-factor was calculated from the photo current-voltage curve to be 0.19, which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polyacetylene-polythiophene heterojunctions.

  • PDF

신뢰성 기반 해석을 위한 국내 필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Fill Dam for Reliability Based Analysis)

  • 박형춘;오현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31-39
    • /
    • 2020
  • 지진 하중 하에서 필댐의 거동은 필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또는 전단 탄성계수) 분포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필댐의 전단파 속도 분포는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는 일반적으로 필댐 내부에서 공간에 따른 변동성을 가지며, 댐에서 허용되는 한정된 수의 실험에서는 이러한 재료 물성치 공간 변동성을 결정론적으로 규명할 수 없다. 따라서 실험에서 얻어진 전단파 속도 주상도는 불확실성을 가지게 되며, 재료 물성치의 불확실성은 해석결과에 불확실성을 야기하게 된다. 신뢰성 기반 해석은 이러한 재료 물성치 불확실성에 의한 해석결과의 영향을 평가 할 수 있다. 신뢰성 기반 해석에서는 변동계수를 통해 재료 물성치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에 의한 영향을 해석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COV, Coefficient Of Variation)를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에서 표면파 시험을 통해 결정된 전단파 속도 주상도들에 대해 Hwang and Park(2013)에 의해 개발된 랜덤 전단파 속도 주상도 생성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에 존재 가능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600개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통계처리를 통하여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를 결정하였다.

석탄회 자원의 채움재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Coal Ash as Fill Materials)

  • 천병식;고용일;송경율;이준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3-520
    • /
    • 1999
  • 20 million tons of coal ash has been produced in Korea annually. This caus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cost of land for ash pond. However the amount of coal ash for recycling is small because of the low level of recycling technology and the ignorance. As the coal ash has the significant engineering properties, it can be utilized as soft ground stabilizer, backfill materials and so fort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some of the recycling methods of coal ash. One is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the other is flowable fill. Optimal mixture ratio(fly ash : bottom ash) is determined for structural backfill materials and the model test is performed. The model test accompanied with physical tests were executed for identifying that the flowable fly ash can be used as fill materials such as trench back filling.

  • PDF

Failure Analysis for High via Resistance by HDP CVD System for IMD Layer

  • Kim, Sang-Yong;Chung, Hun-Sang;Seo, Yong-Jin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3권4호
    • /
    • pp.1-4
    • /
    • 2002
  • As the application of semiconductor chips into electronics increases, it requires more complete integration, which results in higher performance. And it needs minimization in device design for cost saving of manufacture. Therefore oxide gap fill has become one of the major issues in sub-micron devices. Currently HDP (High-Density Plasma) CVD system is widely used in IMD (Inter Metal Dielectric) to fill narrower space between metal lines. However, HDP-CVD system has some potential problems such as plasma charging damage, metal damage and etc. Therefore, we will introduce about one of via resistance failure by metal damage and a preventive method in this paper.

석회부산물 및 폐 EPS beads를 활용한 지반재료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Geotechnical Material Using By-Product Lime and Pieces of Waste EPS Beads)

  • Bang, Yoon-Kyung;Park, Min-Yong;Yoon, Chang-Jin;Kim, Hong-Taek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97-10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석회부산물의 재활용 방안으로 경량성토재, 뒤채움재 및 경량블록의 활용방안을 종합적인 실험연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석회부산물, 성토용 토사 및 폐 EPS 조각을 혼합한 새로운 형태의 경량성토계 및 이에 시멘트 고화제를 첨가한 경량블록을 고안하였고, 다양한 배합비로 제작된 경량혼합토 및 경량블록에 대한 시료에 대하여 종합적인 시험을 실시하여 물리적, 지반공학적 및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량블록에 대하여 국내 용출시험법(KMS Method)을 실시하여 화학성분의 농도변화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석회부산물 처분의 문제에 대하여 해결을 기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성토재 및 블록에 대하여 석회부산물의 재활용 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필댐 축조재료의 공간 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이 고려된 국내 필댐 심벽부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 (Shear Wave Velocity Profile Considering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Core Zone of Fill Dam)

  • 박형춘;나병찬;임희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1호
    • /
    • pp.51-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필댐 심벽부 전단파 속도 주상도 결정시 심벽부 내부에 존재하는 물성치 공간 변동성에 의해 발생 가능한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개별 댐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 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내 7곳의 필댐 심벽부에서 수행된 결과들을 이용하여 댐 사이에 존재하는 물성치 공간 변동성에 의해 전단파 속도 주상도 결정시 발생 가능한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개별 댐 심벽부 내부 및 댐 사이에 존재하는 물성치 공간 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이 모두 고려된 국내 필댐 심벽부를 위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Sawada-Takahashi 모델과 비교하였으며, 김종태 등에 의해 제안된 모델과 비교하였다.

가시설 H-pile의 유동화 채움재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wable Fill Materials for H-pile)

  • 정원정;임종철;김태효;주인곤;강현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39-50
    • /
    • 2011
  • 흙막이 가시설 공사에 사용되는 H-pile은 철거의 어려움으로 공사 완료 후 그대로 지중에 사장되거나 사용 후 인발된다. 이때 H-pile 외부에 공동이 있을 경우 지반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H-pile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조성 시 천공 후 공동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H-pile 회수 시 마찰을 최소화하는 채움재 개발에 있다. 일차시험에서는 연구 목적을 만족하는 배합비를 선정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이차시험에서는 사용재료와 철판의 전단시험으로 인발 시 적용성을, 압밀시험을 통해 공동 충진 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시험결과 유동화 채움재로서 우수한 성질을 보이는 배합은 벤토나이트를 기준으로 물 350%~450%, 시멘트 70%~100%, 모래 70%~100%가 포함된 배합으로 나타났다.

대형전단시험을 통한 댐제체용 조립재료의 경험적 설계정수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Empirical Design Factors of Coarse Grained Material through Large Scale Shear Test)

  • 오기대;김경열;이대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7-783
    • /
    • 2006
  • The coarse grained materials are used in various construction field such as express way back fill, Dam etc. Especially, for dam construction, a huge mount of rock fill materials are needed, so around domestic stony mountains are generally developed to produce materials. Not an accurate theory, but design criteria is based on empirical factors that were constructed in advance for design of dam especially Concrete Face Rockfill Dam(CFRD). Considering the post facts, the modified design criteria are essential in the future with mor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ways. In this study,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s are performed with various relative density conditions on coarse grained material of Yecheon area to compare test results and general CFRD design factors.

  • PDF

점성토 준설매립지반의 자중압밀과 대기건조 영역분리에 의한 표층고결 촉진공법 (Quick Surface Strengthening of Soft Dredged Clay Fill by Dividing the Layer into Self Consolidation and Desiccation)

  • 김현태;김승욱;김상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99-506
    • /
    • 2004
  • The use of dredged soft marine clay is increasing due to a shortage of coarse material available. This paper presents a stabiliza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shear strength of the surface layer of a dredged clay deposit at dates much earlier than usual. The desiccation of the upper soft 1-2m layer can be accelerated by interrupting water seeping from its bottom with impervious geotextile. Just below the geotextile, enough pervious material is provided so that the underlying deposit can be drained through it. This scheme is proved to be effective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 PDF

사력재와 석산재의 특성이 축조와 담수시 댐체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Sand/Gravel and Rock Materials on Behavior of Dam during Construction and Impounding)

  • 서민우;조성은;신동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45-55
    • /
    • 200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댐이 CFRD 형식으로 축조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형적 및 환경적 특성으로 인해 석산재를 대신하여 사력재가 댐의 주 축조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사력재를 댐의 주축조재로 이용하도록 댐이 설계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장에서 채취된 사력재 및 석산재를 대상으로 총 7 case의 대형다짐 및 삼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다짐 시험 및 삼축시험을 통해 두 재료의 다짐, 전단 강도, 변형 특성을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두 재료 사이에 존재하는 특성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전단강도에 있어서 사력재가 석산재에 비해 결코 불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나, 변형 특성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실험 결과를 이용한 댐체 거동해석에서는 주축조 영역에 강성이 큰 사력재를 사용한 경우가 석산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변형이 작게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력재의 강도 및 변형특성이 석산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석산재를 대신하여 댐의 주축조재료로 사용하여도 안정성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