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osis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26초

LncRNA H19 Drives Proliferation of Cardiac Fibroblasts and Collagen Production via Suppression of the miR-29a-3p/miR-29b-3p-VEGFA/TGF-β Axis

  • Guo, Feng;Tang, Chengchun;Huang, Bo;Gu, Lifei;Zhou, Jun;Mo, Zongyang;Liu, Chang;Liu, Yuqi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5권3호
    • /
    • pp.122-133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ng whether lncRNA H19 promotes myocardial fibrosis by suppressing the miR-29a-3p/miR-29b-3p-VEGFA/TGF-β axis.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F) and healthy volunte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ir biochemical parameters were collected. In addition, pcDNA3.1-H19, si-H19, and miR-29a/b-3p mimic/inhibitor were transfected into cardiac fibroblasts (CFs), and proliferation of CFs was detected by MTT assay. Expression of H19 and miR-29a/b-3p were detected using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xpression of α-smooth muscle actin (α-SMA), collagen I, collagen II,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nd elastin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dual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was carried out to detect the sponging relationship between H19 and miR-29a/b-3p in CFs. Compared with healthy volunteers, the level of plasma H19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AF, while miR-29a-3p and miR-29b-3p were markedly depressed (P < 0.05). Serum expression of lncRNA H19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miR-29a-3p and miR-29b-3p among patients with AF (rs = -0.337, rs = -0.236). Moreover, up-regulation of H19 expression and down-regulation of miR-29a/b-3p expression facilitated proliferation and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ECM)-related proteins. SB431542 and si-VEGFA are able to reverse the promotion of miR-29a/b-3p on proliferation of CFs and ECM-related protein synthesi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H19 promoted CF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by suppressing the miR-29a-3p/miR-29b-3p-VEGFA/TGF-β axis, and provide support for a potential new direction for the treatment of AF.

두 개의 입구를 통한 내시경 척추 수술: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의 적용 (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for Lumba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

  • 이호진;최대정;박유진재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1-218
    • /
    • 2019
  • 추간판 탈출증이란 추간판이 정상적으로 위치해야 할 자리에서부터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나 섬유륜이 탈출하는 질환을 지칭하며, 대부분 양호한 자연 경과를 거친다. 하지만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이 있거나, 악화되는 신경 증상, 마미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수술적 치료가 권고된다. 수술 방법에는 고식적인 관혈적 방법,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 통형 견인기(tubular retractor)를 이용한 방법, 그리고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현미경적 추간판 제거술이 현재 표준 치료로 간주되고 있다.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 중에서 두 개의 입구를 통한 내시경 척추 수술(biportal endoscopic spinal surgery, BESS)의 경우, 다른 방법에 비해 수술 기구들의 독자적인 움직임이 가능하여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며, 재발된 추간판 탈출증에 대해서도 추간판 제거가 비교적 수월하게 시행되고, 작은 피부 절개로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하며, 지속적인 생리식염수의 세척으로써 습기나 안개를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술 후 감염률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기존의 관절경 및 척추 수술 기구들을 그대로 쓸 수 있다는 장점도 있으며, 약 2,700-6,700 lux의 밝은 조도 하에 최대 28-35배로 확대된 영상으로 수술하기 때문에 섬세한 조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지닌 두 개의 입구를 통한 BESS는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이상적인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황색육아종성 담낭염과 병발된 국소성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 증례 보고 (Focal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Associated with Xanthogranulomatous Cholecystitis: A Case Report)

  • 조숭문;김호균;이혜경;이병모;김기환;이경은;심재찬;황대현;이기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190-196
    • /
    • 2020
  • 황색육아종성 염증은 드문 염증 반응으로서 조직병리학적으로 지방을 함유한 큰포식세포의 집단인 황색종의 소견이 특징적이다. 이 질환은 공격적 성향을 보여 종종 주변으로 국소 침습하지만, 원격 장기를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에 극히 예외적으로 관찰된다. 우리는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주변부 침윤을 동반한 낭성 병변으로 보이는 증례에서 심한 황색육아종성 담낭염과 드물지만 국소성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을 의심하였고 수술적 절제를 통해 병리학적으로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에 연관되어 병발한 국소형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을 확진하였다. 우리가 아는 한,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에 국소성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이 병발한 경우는 이전에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MRI T2 강조 영상에서의 낭성 병변 주위로 아마도 황색육아종성 염증의 출혈과 섬유화를 반영할 것으로 추정되는 저신호 강도 주변부를 확인하였다.

담도폐쇄증의 영상 진단 (Diagnostic Imaging of Biliary Atresia)

  • 윤혜성;임현지;김지수;이미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991-1002
    • /
    • 2022
  • 담도폐쇄증은 신생아 담즙 정체의 드물지만 중요한 원인이다. 적절한 치료와 예후를 위해서는 정확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초음파 검사, MRI, 간담도 핵의학스캔, 담관조영술 등의 영상 검사에서 담도폐쇄증의 영상 소견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주요 영상의학적 소견들은 담낭의 비정상적인 모양과 크기, 간문맥 주변의 비후를 나타내는 'triangular cord' sign, 총담관이 보이지 않고, 간동맥 혈류가 증가하는 소견 등과 함께 동반된 기형의 유무들을 보이는 것이다. 담도폐쇄증의 진단을 위해 초음파 검사, MRI, 간담도 핵의학 스캔, 담관조영술 등의 여러 영상 검사들을 시행하며, 1차 영상 검사로 초음파 검사가 중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각 영상 검사들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담도폐쇄증의 소견들과 함께 조기 신생아기에서 담도폐쇄증 진단의 어려움, 그리고 간 섬유화를 예측하기 위한 영상의 역할도 검토하였다. 본 종설이 담도폐쇄증 진단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in Patients With Diabetes Without Obstructive Coronary Stenosis and Its Association With Angina

  • Yarong Yu;Wenli Yang;Xu Dai;Lihua Yu;Ziting Lan;Xiaoying Ding;Jiayin Zh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1호
    • /
    • pp.1081-1092
    • /
    • 2023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CAD) and its relationship with angina. Materials and Methods: Diabetic patients and an intermediate-to-high pretest probability of CAD were prospectively enrolled. Non-diabetic patients but with an intermediate-to-high pretest probability of CAD were retrospectively included as controls. The patients underwent dynamic computed tomography-myocardial perfusion imaging (CT-MPI) and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CTA) to quantify coronary stenosis, myocardial blood flow (MBF), and extracellular volume (ECV).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defined as any myocardial segment with a mean MBF ≤ of 100 mL/min/100 mL, in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Coronary Artery Disease-Reporting and Data System [CAD-RADS] grade 0-2 on CCTA) was determined. Various quantitative parameters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diabetes without obstructive CAD were compared. Multivariabl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and angina symptoms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Results: One hundred and fifty-two diabetic patients (mean age: 59.7 ± 10.7; 77 males) and 266 non-diabetic patients (62.0 ± 12.3; 167 males) were enrolled; CCTA revealed 113 and 155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respectively. For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the mean global MBF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ose with diabetes than for those without (152.8 mL/min/100 mL vs. 170.4 mL/min/100 mL, P < 0.001). The mean ECV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diabetic patients (27.2% vs. 25.8%, P = 0.009). Among the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the incidence of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36.3% [41/113] vs. 10.3% [16/155], P < 0.001) and interstitial fibrosis (69.9% [79/113] vs. 33.3% [8/24], P = 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patients than in the controls. The presence of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ngina symptoms (adjusted odds ratio = 3.439, P = 0.037) in diabetic patients but without obstructive CAD. Conclusion: Dynamic CT-MPI + CCTA revealed a high incidence of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obstructive CAD. Microvascular myocardial ischemia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ngina.

Late Gadolinium Enhancement of Left Ventricular Papillary Muscles in Patients with Mitral Regurgitation

  • Su Jin Lim;Hyun Jung Koo;Min Soo Cho;Gi-Byoung Nam;Joon-Won Kang;Dong Hyun Y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0호
    • /
    • pp.1609-1618
    • /
    • 2021
  • Objective: Arrhythmogenic mitral valve prolapse (MVP) is an important cause of sudden cardiac death characterized by fibrosis of the papillary muscles or left ventricle (LV) wall, and an association between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of the LV papillary muscles and ventricular arrhythmia in MVP has been reported. However, LGE of the papillary muscles may be observed in other causes of mitral regurgitation, and it is not limited to patients with MVP.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LGE of the LV papillary muscles or ventricular wall on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MR) and ventricular arrhythmia in patients with mitral regurgi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88 patie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58.3 ± 12.0 years; male, 42%) with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CMR. They were allocated to the MVP (n = 43) and non-MVP (n = 45) groups, and their LGE images on CMR, clinical characteristics, echocardiographic findings, and presence of arrhythmia were compared. Results: LV myocardial wall enhancement was more frequent in the MVP group than in the non-MVP group (28% vs. 11%, p = 0.046). Papillary muscle enhancement was observed in 7 (7.9%) patients. Of the 43 patients with MVP, 15 (34.8%) showed LGE in the papillary muscles or LV myocardium, including 12 (27.9%) with LV myocardial wall enhancement and 4 (9.3%) with papillary muscle enhancement. One patient with bilateral diffuse papillary muscle enhancement experienced sudden cardiac arrest due to ventricular fibrillation. Un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 systolic blood pressure (BP; odds ratio [OR], 1.05;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09; p = 0.027) and ventricular arrhythmia (OR, 6.84; 95% CI, 1.29-36.19; p = 0.02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GE of the papillary muscles. Conclusion: LGE of the papillary muscles was present not only in patients with MVP, but also in patients with other etiologies of mitral regurgitation, and it was associated with high systolic BP and ventricular arrhythmia. Papillary muscle enhancement on CMR should not be overlooked.

The Extent of Late Gadolinium Enhancement Can Predict Adverse Cardiac Outcomes in Patients with Non-Ischemic Cardiomyopathy with Reduc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Eun Kyoung Kim;Ga Yeon Lee;Shin Yi Jang;Sung-A Chang;Sung Mok Kim;Sung-Ji Park;Jin-Oh Choi;Seung Woo Park;Yeon Hyeon Choe;Sang-Chol Lee;Jae K. Oh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3호
    • /
    • pp.324-333
    • /
    • 2021
  • Objective: The clinical course of an individual patient with heart failure is unpredictable with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LVEF) only. We aim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of cardiac magnetic resonance (CMR)-derived myocardial fibrosis extent and to determine the cutoff value for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non-ischemic cardiomyopathy (NICM) who had severely reduced LVEF. Materials and Methods: Our p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78 NICM patients with significantly reduced LV systolic function (LVEF < 35%). CMR imag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and extent of late gadolinium enhancement (LGE). The primary outcome wa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defined as a composite of cardiac death, heart transplantation,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discharge for major arrhythmia, and hospitalization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within 5 years after enrollment. Results: A total of 80.8% (n = 63) of enrolled patients had LGE, with the median LVEF of 25.4% (19.8-32.4%). The extent of myocardial scarr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experienced MACE than in those without any cardiac events (22.0 [5.5-46.1] %LV vs. 6.7 [0-17.1] %LV, respectively, p = 0.008). During follow-up, 51.4% of patients with LGE ≥ 12.0 %LV experienced MACE, along with 20.9% of those with LGE ≤ 12.0 %LV (log-rank p = 0.001). According to multivariate analysis, LGE extent more than 12.0 %LV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CE (adjusted hazard ratio, 6.71; 95% confidence interval, 2.54-17.74; p < 0.001). Conclusion: In NICM patients with significantly reduced LV systolic function, the extent of LGE is a strong predictor for long-term adverse cardiac outcomes. Event-free survival was well discriminated with an LGE cutoff value of 12.0 %LV in these patien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Vertebral Fractures in Children with Chronic Liver Disease with and without Liver Transplantation

  • Wittayathorn Pornsiripratharn;Suporn Treepongkaruna;Phatthawit Tangkittithaworn;Niyata Chitrapaz;Chatmanee Lertudomphonwanit;Songpon Getsuwan;Pornthep Tanpowpong;Pat Mahachoklertwattan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7권3호
    • /
    • pp.158-167
    • /
    • 2024
  • Purpos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vertebral fracture (VF) in children with chronic liver disease (CLD) with and without liver transplantation (LT)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ed fa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Patients aged 3-21 years with CLD both before and after LT were enrolled in the study. Lateral thoracolumbar spine radiographs were obtained and assessed for VF using Mäkitie's method. Clinical and biochemical data were collected. Results: We enrolled 147 patients (80 females; median age 8.8 years [interquartile range 6.0-11.8]; 110 [74.8%] in the LT group and 37 [25.2%] in the non-LT group). VF was identified in 21 patients (14.3%): 17/110 (15.5%) in the LT group and 4/37 (10.8%) in the non-LT group (p=0.54). Back pain was noted in only three patients with VF. In the univariate analysis, a height z-score below -2.0 (p=0.010), pre-LT hepatopulmonary syndrome (p=0.014), elevated serum direct and total bilirubin levels (p=0.037 and p=0.049, respectively), and vitamin D deficiency at 1-year post-LT (p=0.048) were associated with VF in the LT group. In multivariate analysis, height z-score below -2.0 was the only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 (odds ratio, 5.94; 95% confidence interval, 1.49-23.76; p=0.012) for VF. All VFs in the non-LT group were reported in males. Conclusion: In children with CLD, VF is common before and after LT. Most patients with VF are asymptomatic. Screening for VF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a height z-score below -2.0 after LT.

흰쥐의 실험적 호르틴스극구흡충 감염에 있어서 장 병변에 대한 경시적 관찰 (Chronological observation of intestinal lesions of ro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chinostoma hortense)

  • 이순형;노태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45-52
    • /
    • 1990
  • 인체 기생 장흡충류의 하나인 호르텐스극구흠충(Echinostoma hortense)의 병원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흰쥐에 퍼낭유충을 실험 감염시킨 후 경시적으로 숙주의 장병변을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올챙이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Sprague-Dawley계 흰쥐 18마리에 각각 200개씩 감염시킨 후 1일, 3일, 7일, 11일, 22일 및 44일에 3마리씩 희생시키고 위 유문으로부터 1cm, 3cm, 5cm, 8cm 및 30cm 부위에서 각각 장 절편을 채취하여 병리 조직학적 관찰을 시 행하였다. 관찰 결과 충체는 감염 1∼3일에는 융모 사이 (infervillous space)에서, 감염 7일부터 44일까지는 주로 내강(lumen)에서 발견되었고 구흡반 및 복흡반으로 융모를 흡입(sucking, 파괴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장 조직의 병변은 융모 위축(villous atrophy)과 선와 증식 (crypt hyperplasia)이 특징적 소견이었다. 융모의 변화는 끝(tip)의 둔화, 유착, 소실 등이었고 융모1선와 높이의 비율 이 3 : 1에서 1 : 1까지 감소되었다. 기질의 변화로는 염증 세포의 침윤, 충혈, 부종, 섬유화 등이 관 찰되었다. 배세포는 감염 11일 경부터 점차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장 병변은 소장 상 부에서 카장 심하였고 감염 1∼3일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기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심화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횐쥐의 장 병변은 점막층에 국한되어 있으나 융모의 위축 및 파괴가 매우 심하며 감염 44일까지도 병변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 worths: Echinostoma hortense, rat intestinal pathology, villous atrophy, crypt hyperplasia로 출아묘는 이앙기간이 단축되므로 중묘보다는 다소 늦게 파종하고 이앙기는 중묘 적기에 하는 냉해의 우려도 없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6. 간장은 중묘보다 어린모 이앙재배에서 3∼4cm 기었는데 이는 천식이 되어 초기생육이 왕성하므로 과번무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지나친 천식은 태풍 등으로 도복의 위험성이 있다. 7. 수량성은 조식재배의 경우 어린모는 중묘와 비슷한 경향이며 직파재배 보다 다소 증수되었다.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희미해졌으며 담배는 500 $\mu$ E m$^{-2}$ sec$^{-1}$에서 인삼은 1000 $\mu$ E m$^{-2}$ sec$^{-1}$에서 47KD이었다.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19) 시설기구와 육성상각비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의 변동이 없고, 종신직장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늑무하고 있었다.

  • PDF

간질성 폐질환에서 p53 및 K-ras 암표지자의 발현 (p53 and K-ras Expression in Interstitial Lung Disease)

  • 오인채;김유일;김규식;유영권;김수옥;이은우;임성철;김영철;박경옥;박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201-210
    • /
    • 2001
  • 연구배경 : 환경, 작업성노출, 바이러스감염, 유전적소인, 면역학적 이상 등 다양한 원인들이 특발성폐섬유화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의 원인인자들로 추정되어지고 있으나 아직 그 원인 및 병태생려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데, IPF환자의 10-13%는 폐암으로 사망하며, IPF에서 7배정도 폐암의 발생위험도 IPF 환자의 기관지 폐포상피세포가 p53과 p21단백을 과발현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고, 만성적인 유전자 손상의 결과로 이 두가지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방 법 : 연구자는 간질성 폐질환조직에서 p53과 K-ras단백의 발현정도와 임상양상을 관찰하고자 폐생검(개흉 폐생검 : 15예, 경기관지 폐생검 : 23예)조직에서 간질성 폐질환으로 진단된 38예를 대상으로 p53과 K-ras단백의 발현여부를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 과 : 간질성 폐질환 조직에서 p53은 21.1%에서, K-ras는 65.8%에서 암표지자단백 발현이 관찰되었다. 대조군으로 시행한 10예의 정상 기관지점막 표피세포는 전 예에서 두가지 p53, K-ras단백들이 발현되지 않았다. 간질성 폐질환의 조직형에 따라 암표지자 발현율이 차이를 보였는데, p53은 NSIP의 경우 36.4%로 양성율이 높았고, BOOP, AIP, DIP, UIP의 순이었다. K-ras는 전반적으로 p53에 비해 양성율이 높게 나타나서 UIP와 AIP가 75.0%로 가장 높았고, BOOP, DIP, NSIP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환기간과 암표지자 발현율과의 관계는 p53의 경우 증상이 오래 지속될수록 양성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K-ras의 경우는 증상의 기간과 관계없이 58-68%의 일정한 발현율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p53보다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정상인의 상피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간질성 폐질환의 상피세포에서 p53과 K-ras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세포성장 또는 세포고사 조절인자들의 발현이 간질성 폐질환의 병태생리에 어떠한 역할을 하며 폐암의 발생과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으며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