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liquo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초

절임 고추장 종류가 다른 박대장아찌의 저온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ngue Sole (Cynoglossus semilaevis) Jangajji with Different Types of Gochujang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이인선;박금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6-47
    • /
    • 2018
  • In this study, pH, $^{\circ}Brix$, salt concentration, sodium content, color, hardnes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s for 21 days after making tongue sole Jangajji with different types of Gochujang sauces. The pH was higher than those of samples not containing Maesil fermented liquor at all storage periods. The $^{\circ}Brix$ of the Maesil fermented liquor added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amples not added at the early stages of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with and without Maesil fermented liquor at the later stages of storage. The sodium content was lower than that of the samples not containing Maesil fermented liquor. The lightness (L) was lower in the early stages of storage than those of the Maesil fermented liquor. In the late stage of storage, however, the lightnes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samples not containing Maesil fermented liquor. The redness (a) of the GRWO sample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at all storage periods compared to the other sample groups. The yellowness (b) of the GRWO sample group was high at the early stages of storage. On the $21^{st}$ day of storage, however, the GRW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0.01). The hardness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of the later storage period was lower than that at the initial storage stage.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Maesil fermented liquor reduced the spicy, salty, bitter, and unpleasant taste. As a result of the acceptance test, the GRWO and GRW samples were evaluated as the acceptance group with color, aroma,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e brown rice Gochujang sample group.

목초액 및 보존제가 발효소시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and preservatives on the Quality of Fermented Sausages)

  • 최원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80
    • /
    • 1998
  • pH in sausages with 0.5% and 2% pyroligneous liquor was lowered rapidly respectively. Sausage with 2% pyroligneous liquor showed the lowest Aw. Antioxidant activity of 0.02% and 0.5% pyroligneous liquor was negligible but rancidity was inhibited in the sausages with 2% pyroligneous liquor and 0.02% BHA/BHT(1:1) Sensory tests showed that sausages treated with pyrolignesous liquor had lower score.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affected by pyroligneous liquor. But enterobacteria was not detected after 10 days fermentation of the sausages wit 0.02% BHA/ BHT 8 days in the 0.5% pyroligneous liquor and 6 days in the 2% pyroligneous liquor.

  • PDF

지리오갈피를 첨가한 전통 발효주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Liquor Made from Acanthopanax chilsanensis)

  • 김명석;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1-206
    • /
    • 2018
  • 지리오갈피의 소비를 촉진시키고 지역 특산품을 개발할 목적으로 지리오갈피 발효주의 제조하여 그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지리오갈피의 뿌리, 줄기 및 열매를 원료미의 10%(W/W)씩 첨가하여 $25^{\circ}C$, 13일 동안 발효시킨 결과 각각 알코올 함량이 $14.7{\pm}0.7%$, $15.3{\pm}0.9%$$15.5{\pm}0.7%$의 발효주를 얻었다. 발효주의 pH는 pH 3.9~pH 4.4, 총산은 0.72~0.75%를 나타내어 3시험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총당 함량은 발효 24시간부터 급격히 떨어져 발효 13일에는 7.1~7.5%를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지리오갈피의 뿌리와 열매를 첨가한 시험구 보다 줄기를 첨가한 시험구에서 7,045.01 ppm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발효주 중의 acanthoside-D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10%의 뿌리 및 열매로 제조한 발효주에서는 35.42 ppm 및 18.91 ppm이 검출되었으나 줄기로 제조한 발효주에서 57.06 ppm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리오갈피 발효주의 숙성 중 품질변화 (Developing the Quality of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Using Acanthopanax chiisanensis)

  • 김명석;조수정;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0-76
    • /
    • 2020
  • 지리오갈피(Acanthopanax chilsanensis)를 이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및 소비촉진을 목적으로 지리오갈피 발효주를 개발하여 5~10℃,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발효숙성주의 품질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숙성 기간 동안 발효숙성주 중의 환원당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총산의 함량은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지리오갈피 뿌리, 줄기 및 열매로 제조한 발효숙성주 중의 유기산 함량은 3종류의 숙성주 모두 lactic acid, form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그 농도가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당은 3 종류의 숙성주 모두 sucrose, glucose 및 mannose 등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중 glucose 함량이 모든 시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canthoside-D 함량은 줄기 첨가 발효숙성주에서 64.12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주와 발효숙성주의 acanthoside-D 함량을 비교해 보면 발효숙성주에서 약간 높아지기는 했으나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숙성주 중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뿌리, 줄기 및 열매의 발효숙성주에서 각각 1,858.9, 2,855.1 및 2,672.2 mg/l로 나타났다. 숙성주의 색도를 검토한 결과 뿌리와 줄기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거의 유사한 L, a, b값을 나타내어 발효숙성주의 색깔도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열매를 첨가한 숙성주에서는 L값이 낮고, a값이 높아 붉은 색을 많이 띄었다.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 양희선;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8-445
    • /
    • 2011
  •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적절한 유자즙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유자즙의 첨가량을 3, 6, 9%로 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여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은 몇몇 결과를 제외하고는 각 실험구들 간에뚜렷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그 중, 유자즙 6%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경우 이화학적 특성은 다른 실험구들과 거의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관능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유자즙을 6% 첨가한 막걸리의 제조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를 통해 유자에 함유되어 있는 hesperidin, naringin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의 섭취가 유자즙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를 통해서 가능하다고 보여지며, 유자의 활용 방안 중 한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고 생각된다.

아세트산발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 노완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5-120
    • /
    • 1978
  • 미과 제조시 폐기되는 찹쌀가루를 이용하여 주정발효를 거쳐 식초산발효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 30개 지역에서 수집한 35종의 누룩으로 부터 132균주의 곰팡이와 165주의 효모를 분리하고 그 발효능을 검사하여 최우수 균주로 M-21, M-66, M-106의 곰팡이 3균주와 Y-07, Y-26, Y-82의 효모 3균주를 선발하였다. 2)전국33개 지역에서 수집한 37종의 재래식 식초로부터 125균주의 초산균을 분리하고 그 발효능을 검사하여 최우수 균주로 Aa-19, Aa-57, Aa-93의 3균주를 선발하였다. 3) 속성 초산발효방식의 원리에 따라 실험실형 초산발효기를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4) 초산발효액을 수차에 걸쳐 발효기를 통과시킴으로서 초산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4회 회전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5) 초산발효액에 1%의 $K_2$HPO$_4$ 를 첨가하므로써 초산생성량이 증가하였으며 3회 회전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6) 초산발효액에 1%의 $K_2$HPO$_4$ 와 20%의 기성 식초를 첨가하므로써 발효가 촉진되었으며 초산생성량도 증가하여 3회 회전시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 PDF

경산반시의 미숙감 착즙액과 발효액의 화학적 특성, 항균성 및 염색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timicrobial Activity and Dyeability of Gyeongsanbansi (Persimmon kaki) Unripe Juice Extraction and Fermented Liquor)

  • 허복구;박윤점;김태춘;김현주;박수민;장홍기;김경수;이경동;윤재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38-445
    • /
    • 2009
  • 경산반시'를 8월 1일에 수확하여 신선한 즙액, $4{\sim}6^{\circ}C$에서 6개월간 저장한 것 및 상온에서 6개월간 발효시킨 것(발효액), 그리고 감식초의 특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감식초가 43.5로 다소 밝은데 비해 신선한 즙액과 발효액은 각각 33.1과 33.3으로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선한 즙액, 발효액 및 감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K($1696{\sim}2,880\;mg$/100 g), Ca($166.7{\sim}417.9\;mg$/100 g), Mg($203.9{\sim}214.4\;mg$/100 g), P($37.9{\sim}109.8\;mg$/100 g), Na($13.2{\sim}23.3\;mg$/100 g), Fe($8.4{\sim}14.2\;mg$/100 g) 순으로 많았다.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발효액과 감식초에서 저해환이 $16.0{\sim}35.0\;mm$로 높게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신선한 즙액에서 $9.0{\sim}9.5\;mm$의 저해환을 나타낸 반면에 저온 저장한 즙액은 $15.0{\sim}21.0\;mm$, 발효액에서는 $22.0{\sim}23.0\;mm$, 감식초에서는 $9.0{\sim}35.0\;mm$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색상은 YR계열을 나타내었으며, 항균성은 78.5% 이상의 정균율을 나타내었다.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and Fermented Foods Sold in Korea

  • Ryu, Dayeon;Choi, Bogyoung;Kim, Eunjoo;Park, Seri;Paeng, Hwijin;Kim, Cho-il;Lee, Jee-yeon;Yoon, Hae Jung;Koh, Eunmi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289-297
    • /
    • 2015
  • Ethyl carbamate (EC) classified as a probable human carcinogen (Group 2A) is naturally formed in alcoholic beverages and fermented foods during fermentation process and/or during stor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C in 34 food items including 14 alcoholic beverages and 20 fermented foods sold in Korea. Each food was collected from 18 supermarkets in 9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nd then made into composite. According to food composition and alcohol content, samples were divided into four matrices such as apple juice, milk, Soju (liquor containing about 20% alcohol), and rice porridge. The maximum EC value of $151.06{\mu}g/kg$ was found in Maesilju (liquor made from Maesil and Soju). Whisky and Bokbunjaju (Korean black raspberry wine) contained $9.90{\mu}g/kg$ and $6.30{\mu}g/kg$, respectively. EC was not detected in other alcoholic beverages. Of 20 fermented foods, Japanese-style soy sauce had highest level of $15.59{\mu}g/kg$ and traditional one contained $4.18{\mu}g/kg$. Soybean paste had $1.18{\mu}g/kg$, however, EC was not found in other fermented foods.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를 이용한 전통 민속주의 제조 및 생리활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 김재호;이승환;김나미;최신양;유진영;이종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67-371
    • /
    • 2000
  •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traditional liquor using dandelion,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was investigated. Etha-nol was produced maximally when 10% dandelion and 5% nuruk were added in cooked rice and fermented by S. cerevisiae at $25^{\circ}C$ for 10 days. The taste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of dandelion liqu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1%, 5%, 10%) of dandelion petal were compared. The dandelion-petal liquors which was brewed by addition of 1% dandelion petals into mash showed the best acceptability and i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also high.

  • PDF

뽕잎발효주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the Korean Rice Liquor Fermented with Mulberry leaves(Morus Alba L.))

  • 임정숙;전병훈;박윤점;김원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80-585
    • /
    • 2010
  •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rice liquor by using Mulberry leaves, the optimal condition of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addition of different concentrations (1%, 3%, and 5%) of Mulberry leaves powder in the raw rice mash. The efficiency of ethanol production of all conditioned groups were not inhibited by addition Mulberry leaves. The accept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ulberry leaves liquo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ulberry leaves powder were tested. The 3% Mulberry leaves liquor showed the best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and color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were increased according to added amount of Mulberry leaves. It was suppos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ere affected by phenolic compound extracted from Mulberry leaves with ethanol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ulberry leaves can be useful source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rice liqu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