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garlic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4초

유산균 발효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이 첨가된 조미간장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이인선;송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13-62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Soy sauce was prepared with acid-hydrolyzed soy sauce, brewed soy sauce, honey, ginger, garlic, dried red pepp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enriched sea tangle fermented in lactic acid, and 1% or 3% S. japonica powder by soy sauce volume. The color, pH, microbiology, amino nitrogen, free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soy sauce were evalu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addition of FSP to the soy sauce enhanced the delicate flavor. Furthermore, soy sauce containing FSP had higher levels of GABA (50 mg/100 mL), a biofunctional ingredi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easoning soy sauc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seems possible.

파쇄김치의 발효중 조건에 따른 항돌연변이 활성변화 (Changes in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rush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Different Conditions)

  • 김순동;우철주;이창호;김미경;김일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2-227
    • /
    • 2000
  • Antimutagenic activity of crushed kimchi fermented with starter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5-20$^{\circ}C$), salt concentration(2-10%), addition rate of starter (0-20%) was investigated. The kimchi was fermented with crushed Chinese cabbage without salting, red pepper powder, crushed garlic, crushed ginger, anchovy juice and starter. Well fermented kimchi juice(fermented at 10$^{\circ}C$ for 15 days) and sterilized radish juice was used as a sourc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tarter medium, respectively. Antimutagenic activity showed the highest in the crushed kimchi fermented at 15$^{\circ}C$ for 15 days, 4% salt concentration, 5% starter added, respectively. The inhibition rate of mutagenic activity of the kimchi against S. typhimurium TA98 induced by NQO and S. typhimurium TA100 induced by MNNG was 56.41% and 60.11%, respectivel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kimchi juice showed 56-60% per 100ul.

  • PDF

김치의 숙성 및 발효중 오염지표미생물과 유산균의 변화-제1보 (Changes of Index Microorganism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orean Fermented Vegetables (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Part 1)

  • 김종규;윤준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85
    • /
    • 200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index microorganisms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vegetables (kimchi) during the ripening and fermentation period. A type of kimchi, baechoo-kimchi, was prepared and stored at $10^{\circ}C$ for 8 days. The numbers of the total aerobic bacteria, psychrotrophil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in the kimchi and also in raw materials of the kimchi (Chinese cabbage, green onion, ginger, garlic, and red pepper) were counted using appropriate media. The highest number of aerobic bacteria was detected from ginger, then red pepper, then garlic, then Chinese cabbage, and lowest number from green onion. The highest number of psychrotrophilic bacteria was detected from red pepper, then Chinese cabbage, then garlic, then ginger, and the lowest number from green onion. Coliforms and E. coli were not detected from all of the raw materials of kimchi. Total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the kimchi showed gradually increasing during ripening and fermentation. The number of psychrotrophilic bacteria showed a similar level in the kimchi.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at the 3rd, 4th, and 5th day of the kimchi fermentation period, although they were not detected from the raw materials of the kimchi. However, the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he kimchi after 6 days. E. coli was not detected in all kimchi samples. The pH value of the kimchi gradually decreased, and acidity increased over fermentation perio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was contamination of coliform bacteria during the process of kimchi preparation, and lactic acid bacteria proliferated in the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hibited the growth of coliforms. Mo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each raw materials of kimchi.

Bacillus subtilis K-20에 의한 청국장의 향미성분 및 기능성식품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Flavor and Functionality of Bacillus subtilis K-20 Chunggukjang)

  • 김영숙;정혁준;박영숙;유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5-478
    • /
    • 2003
  • 청국장의 이취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K-20에 의하여 제조된 청국장을 분리 배양하여 마늘, 양파 등의 재료를 균질화시킨 후 재료성분이 다른 조건으로 발효 및 후숙하였다. 본 실험의 청국장과 시중 M제품의 향미를 관능 평가한 결과 K-20d, K-20e, K-20f로부터 청국장 특유의 냄새가 저해되었다. 특히 볶은 마늘과 양파를 첨가한 시료에서는 피자향의 우수한 향미 성분을 얻었다. 기능성 청국장은 위생적인 균주 개발이 중요한데, 본 실험의 청국장이 시중 M-청국장보다 contamination이 낮게 나타났다. 청국장의 이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재료를 볶지않은 구룹, 볶은 구룹을 비교한 결과 총균수에는 별다른 형태와 차이가 없었다. 분리정제한 Bacillus subtilis K-20의 청국장과 시중 M-청국장을 비교할 때 10배이상 높은 균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한 청국장은 기능성을 보유하면서 냄새를 억제시켜 또한 향미를 부여하였으므로 기능성 식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금후의 연구는 Bacillus subtilis K-20이 혈전용해효소인 fibrin과 apoptosis의 생화학적인 특징인 DNA fragmentation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어낼 때 향미성이 높은 Bacillus subtilis K-20의 청국장으로부터 기능성 식품 및 의약용 개발의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늘 첨가 된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ition of Garlic during Fermentation)

  • 강재란;김경민;황초롱;조계만;황정은;김정환;김정상;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3
    • /
    • 2014
  • 마늘을 0, 10, 20 및 30%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한 후 6주간 숙성시키면서 1주 간격으로 된장의 품질 관련인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명도는 마늘 농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값이 감소하였으며, 마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낮았다. 황색도는 숙성 후기에 그 값이 감소하였는데, 대조군보다 마늘 첨가된장에서 더 낮았다. 제조 직후와 비교하여 숙성 1주차에 pH는 크게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으며, 마늘의 첨가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도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주차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숙성 5주차와 6주에는 시료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마늘의 첨가가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원당 역시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 역시 증가하였는데, 제조 직후에 비하여 숙성 6주 뒤에는 모든 시료군에서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숙성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숙성 초기에는 배당체 형태의 함량이 높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그 함량은 감소하고 비배당체 형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Bacillus는 마늘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효모수는 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었다.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원희;육근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77-484
    • /
    • 2014
  •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실험연구이다. 항균효과의 대조 항생제로서 Ampicillin $10{\mu}g$(BB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Kirby-Bauer의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CLSI에서 제시한 판독기준에 따라 감수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연구결과, 생마늘은 추출법과 관계없이 Ampicillin $10{\mu}g$에 비해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흑마늘은 제조법과 추출방법과 관계없이 4종의 균주에서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CLSI의 감수성 판독기준에 따르면 S. aureus와 E. coli에 Ampicillin $10{\mu}g$은 강력한 항균효과를 발현한 반면, 모든 균주들이 흑마늘 추출물에는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다만, 15일의 자연숙성발효한 흑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에서 성장저지환이 각각 8 mm와 7 mm로 나타나 항균효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향후 마늘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흑마늘의 다양한 추출법을 활용한 항균효과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 최신양;조경현;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79-784
    • /
    • 2006
  • 기능성 강화를 목적으로 키토산 0.2%, 송이버섯 1.0%, 석류분말 1.2%, 산사추출분말 1.0%, 실크분말 1.2%, 은행잎추출분말 0.01%, 동아분말 1.2%, 마늘유 0.2%, 홍국분말 1.2%를 각각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소재가 고추장의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5일간의 숙성 기간별 pH, 산도, 포르몰태 질소함량, 색도의 변화는 소재 첨가구와 control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활성은 0.2%의 마늘유 첨가구가 control에 비해 약 2배 증가하였고 ACE저해활성은 1.2%의 실크분말 또는 0.01%의 은행추출분말 첨가 시 control에 비해 약 2배의 효과가 있었다.

유해균 억제능을 지닌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Bacillus cereus 억제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in Doenjang Fermented with Multiple Starters Showi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athogens)

  • 이재용;심재민;이강욱;조계만;김경민;신정혜;김정상;김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4-260
    • /
    • 2016
  • Doenjang samples were prepared by inoculation of multiple starters consisting of two Bacillus spp., one yeast, and one fungus. Doenjang A was fermented with Bacillus amyloliquefaciens EMD17, B. amyloliquefaciens MJ1-4, Pichia farinosa SY80, and Rhizopus oryzae. Doenjang B and C were fermented with the same yeast and fungus but different Bacillus strains; namely, B. amyloliquefaciens EMD17 and B. subtilis CH3-5 for doenjang B, and B. amyloliquefaciens MJ1-4 and B. subtilis CH3-5 for doenjang C. Doenjang D was fermented with microorganisms present in rice straw (control). The doenjang samples were spiked with B. cereus ATCC14579 at two different levels, 104 CFU/g doenjang (I) and 107 CFU/g doenjang (II). All eight doenjang samples were fermented for 70 days at 25℃. Growth of B. cereus was inhibited in doenjang A, B, and C, with the bacterial cell count after 70 days being less than the initial 104 CFU/g added, whereas B. cereus was not inhibited in doenjang D. Doenjang B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B. cereus, with a cell count of less than 103 CFU/g after 42 days, even when B. cereus was initially added at 107 CFU/g. Some properties of the doenjang samples, such as pH, TA, and amino-type nitrogen content, were similar to those of doenjang fermented with starters only. The results indicate that carefully selected starters can effectively prevent the growth of B. cereus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통고추를 이용한 보리고추장 양조시 마늘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on the Quality of Barley Kochuzang Brewed with Whole Red Pepper)

  • 이갑상;문정옥;백승화;김동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5-232
    • /
    • 1986
  • 보리고추장 양조시 고추씨 및 마늘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숙성과정중의 효소활성도와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숙성 중 효소의 활성은 전분액화·당화효소, 중성 protease, lipase모두 증가되었고 전분액화효소를 제외하고는 숙성후기에도 효소의 잔존활성이 높았으며, 고추씨의 첨가도 효소 활성유지에 효과적이었다. pH와 적정산도는 고추씨의 첨가로 변화가 적었고, 마늘의 첨가도 숙성후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총질소, 아미노태질소, 총당, 환원당은 고추씨나 마늘의 첨가로 증가되었으며, 암모니아태질소는 이들의 첨가로 숙성중기에 증가하나 숙성후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의 생성은 고추씨나 마늘의 첨가로 적었으며, 조지방은 고추씨의 첨가로 증가하였다. 10주 숙성 고추장의 맛, 향기 및 색은 전반적으로 마늘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따라서 통고추를 이용한 보리고추장은 원료에 2%의 마늘을 첨가하므로써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 PDF

조미료, 젓갈 등이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sonings and salted-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 박우포;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42-248
    • /
    • 1991
  • 김치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부재료가 발효 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주재료인 배추에 조미료 및 젓갈의 종류와 배합량을 달리하여 담근 김치의 숙성중 발효속도, pH, 적정산도 및 ascorbic acid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절인 배추의 염농도를 3%로 조절한 다음 고추가루, 마늘 및 청파는 2%, 생강은 1% 첨가하고 설탕, M.S.G., 멸치젓, 새우젓 및 굴을 각각 1, 2, 3%씩 첨가한 김치중에서 설탕 첨가구는 24시간 이후에 발효속도가 대체적으로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졌다. M.S.G. 첨가구는 24시간경부터 발효속도와 적정산도가 다같이 높아졌다. 멸치젓 및 새우젓의 첨가시에도 발효속도 및 적정산도가 다같이 높게 나타났으나, 숙성중 ascorbic acid의 함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굴 첨가의 경우에도 발효속도 및 적정산도가 다같이 약간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