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ability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6초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Physiological Fun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 홍택근;이용림;임무현;정낙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4-99
    • /
    • 2004
  • 솔잎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솔잎발효추출물(PEE)과 에탄올추출물(PE 80, PE 50)로 효소적 저해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솔잎발효 추출물인 PEE가 솔잎 에탄을 추출물 PE 80과 PE 50에 비해 약 5∼38%정도 저해 활성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XOase 저해효과는 PFE가 62.77%, PE 80이 64.90%, PE 50이 55.9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ACE 저해효과는 PFE가 78.02%, PE 80이 69.82%, PE 50이 21.75%의 순으로 솔잎발효 추출물인 PFE가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솔잎추출물 모두 pH 3.0이하에서 높은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PFE, PE 80, PE 50의 세 시료 모두 항산화작용에 관여하는 ascorb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시료별 ascorbic acid의 함량은 솔잎 발효추출물인 PF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역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Sea Mustard)

  • 강혜민;이신호;박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10-817
    • /
    • 2013
  • 청국장의 품질 향상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역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역 첨가 청국장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사한 미생물수를 나타내었고, 청국장의 pH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으며, 발효 72시간에는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의 pH가 높았다.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초기에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보다는 미역첨가 청국장이 더욱 높았으며, 발효 72시간에는 SM5에는 $397.13{\mu}g/mL$로 가장 높았다. 발효 종료 후 청국장의 점질물의 양은 SM5가 6.53%로 가장 높았다. 발효 48시간째 SM5, SM10, SM15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91, 80.72, 79.40%를 나타내어 대조구(68.09%)에 비해 높았다. 발효 종료 후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266.46{\mu}g/mL$인데 반해, 미역첨가 청국장은 $352.87{\sim}396.07{\mu}g/mL$를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SM5, SM10, SM15 각각 89.01, 91.32, 92.27%로 대조구(86.66%)보다 높았다. 미역 청국장의 관능검사 결과, 맛은 SM5가 3.40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2.88로 가장 낮았다.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도 SM-5가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효조건을 달리한 달맞이꽃 발효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enothera biennis Juice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Sugar Concentrations)

  • 안유복;강경명;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46-751
    • /
    • 2015
  • 달맞이꽃과 당도(50, 60, $70^{\circ}Brix$)를 달리한 설탕용액과 혼합물의 발효 중 품질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발효과정 중 당도와 pH의 변화는 발효기간 동안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circ}C$군보다 $30^{\circ}C$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미생물의 변화는 총 균수와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처리구에 관계없이 발효 4일까지 증가하였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균군의 경우 발효 2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여 발효 10일 이후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액의 효소 활성은 발효 6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30^{\circ}C$ $50^{\circ}Brix$구가 발효 6일째 가장 높은 효소 활성(invertase 53.3 unit, amylase 12 unit, cellulase 12.5 unit)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10일째 $30^{\circ}C$ $50^{\circ}Brix$ 구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7.1 mg TAE/mL)과 DPPH radical 소거능(58.6%)을 나타내었다.

젖산 발효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actic Acid Fermented-Potato Juice)

  • 김남조;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42-549
    • /
    • 2013
  • 본 연구는 일반감자와 내부에 적색 또는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를 함유하는 유색감자에 probiotic 기능을 가진 젖산균을 이용하여 칼로리가 낮고 영양성과 기능성이 뛰어난 젖산발효 감자주스를 제조하여 이들 감자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자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발효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glucose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다. 감자주스의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tataric acid, citr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하령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면 수미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능성 아미노산인 ${\gamma}$-aminobutyric acid(GABA)가 모든 감자주스에서 높은 함량 검출되었고 특히 자영에서 발효 전후 각각 232.9와 214.7 mg/100 mL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 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유색감자 중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았고 하령과 자영에서는 발효에 의해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수미와 홍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자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에 의해 소거능이 크게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자영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령을 제외하고 발효 후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모든 감자주스에서 약 45%로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감소율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 발효 후 감자주스의 유리아미노산 함량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영양성과 기능성이 잘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써 기능성 probiotic 효과와 항산화 활성을 갖춘 기능성 음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머루주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Wild Grape Wine)

  • 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24-37
    • /
    • 2008
  • 산머루 발효주 제조를 위하여 산머루에 자생하고 있는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는 산머루에서 분리한 SMR-3이 알코올 발효력이 우수하고 산도, 잔당, 유기산 함량 및 fusel oil 등의 함량이 낮아 품질면에서 다른 균주로 발효한 산머루주보다 우수하였다. SMR-3을 이용하여 산머루주 제조 최적화를 위한 반응표면 분석결과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은 배양조건으로 온도 $21.91^{\circ}C$, 당함량 $21.48^{\circ}brix$, 발효시간 14.65일의 조건에서 알코올 함량 10.61%가 예상되었고, 잔당함량은 $24.48^{\circ}C$, $12.78^{\circ}brix$, 발효시간 9.02일의 조건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의 결과 발효온도 $20.23^{\circ}C$, 초기당도 $25.30^{\circ}brix$, 발효시간 5.94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이 대부분이었고, fusel oil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서 산머루주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자별 산머루주의 알코올 함량, fusel oil, ethyl alcohol 함량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최적 발효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발효온도 $24{\sim}28^{\circ}C$, 초기당도 $20{\sim}24^{\circ}brix$ 및 발효시간 $12{\sim}14$일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Allergenicity Changes in Raw Shrimp (Acetes japonicus) and Saeu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in Cabbage Kimchi due to Fermentation Conditions

  • Park, Jin-Gyu;Saeki, Hiroki;Nakamura, Atsushi;Kim, Koth-Bong-Woo-Ri;Lee, Ju-Woon;Byun, Myung-Woo;Kim, Seong-Mi;Lim, Sung-Mee;Ahn, D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11-1017
    • /
    • 2007
  • Saeu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and kimchi are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Even though shrimp have often induced severe allergic reactions in sensitized individual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llergenicity of shrim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pH and allergenicity of raw shrimp (Acetes japonicus) and saeujeot i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using competitive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Ci-ELISA).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at different temperatures (25, 15, and $5^{\circ}C$). The pH of cabbage kimchi added with raw shrimp or saeujeot slowly decreased at lower temperature ($5^{\circ}C$) at the end stage of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binding ability of serum obtained from patients allergic to raw shrimp against shrimp tropomyosin and saeujeot in kimchi rapidly decreased during longer fermentation periods and higher temperature ($25^{\circ}C$). In conclusion, the allergenicity of both raw shrimp and saeujeot in kimchi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the decrease in allergenicity of saeujeot was greater than observed for raw shrimp.

약용 식물 첨가 된장의 숙성 중 생리기능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Doenjang)

  • 이대형;김재호;윤병하;이가순;최신양;이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3-218
    • /
    • 2003
  • 재래식 된장의 품질을 고급화하기 위해 재래식 된장과 각종 한약제와 약초류를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두 종류의 약용 된장들을 6개월간 숙성시키면서 성인병에 관련된 몇 가지 생리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약용 된장들의 고혈압을 예방하는 엔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숙성 6개월 후에 39.0%∼51.7%을 보였고 혈전용해활성은 숙성 6개월후에 10.4∼11.3 U를 보였다. 약용 된장들의 전자공여능은 제조직후 95%∼97%을 보였고 숙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숙성 6개월 후에 모두 10% 내외를 보였다. 약용 된장(I)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숙성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숙성 6개월 후에 상온물 추출물에서 97.6%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6개월 숙성된약용 된장들의 조단백질과 총당 함량은 각각 14%와 33%로 재래식 된장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