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bility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글루콘산 나트륨의 생산 (The Production of Sodium Gluconate by Aspergillus niger)

  • 이현철;정봉우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65-70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글루콘산 및 그 유도체 생산에 관 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글루콘산나 트륨의 생산조건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발효가 진행 됨에 따라 생성되는 글루콘산을 수산화나트륨을 이 용하여 중화시킴으로써 글루콘산나트륨으로 전환하였으며 이때 초기 당농도 및 pH의 영향을 정량적으 로 검토하여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Aspergillus niger를 이용한 글루콘산나트륨 발효 에서 초기 농도 및 초기 pH가 발효 특성치에 미치 는 영향은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최대비생성속도는 초기 당농도 110g/$\ell$ 에서 $0.20hr^{-1}$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였으며 균체 빛 글루콘산나트륨 수율은 저농도 기질인 당놓도 26/$\ell$. 에서 0.24, 0.49로서 최대값을 나타내였고 잔당 농도는 5g/$\ell$. 미만이었다. 또한 총괄 글루콘산나트륨 생산성은 고농도 기질인 11Og/$\ell$에서 1.18g/$\ell$/hr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발효를 위한 최척 pH는 5.5이었다. 산업체 발효조 척용, 간헐 첨가 회분배양(intermittent feeding fed-batch)의 결과, 36시간 경과 후의 글루콘산나트륨 의 농도는 255g/l 이였으며 산업적 생산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 PDF

Seibel 백포도즙 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during Seibel White Grape Must Fermentation by Different Yeast Strains)

  • 고경희;장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7-493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확한 양조용 Seibel 백포도품종을 이용, S. cerevisiae, S. cerevisiae+Schizosaccharomyces pombe의 혼합 균주,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12^{\circ}C$에서 발효시켰을 때 화학성분 변화와 효모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를 포도즙에 접종하여 사과산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사과산의 감소는 발효 4일부터 시작되어, 발효 말기에는 Sch. pombe가 56% 이상의 사과산을 감소시켰다. 젖산의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S. cerevisiae+Sch. pombe, Sch. pombe의 알코올의 생성량은 각각 11.5%, 11.2%, 10.0%로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발효 속도가 약간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뒷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각 균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맛에 있어서 Sch. pombe가 S. cerevisiae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 PDF

추출발효에 의한 알콜제조 공정개발(I) - 수성이상계 구성 고분자의 영향 - (Process Development for Alcohol Production by Extractive Fermentation( I ) - Effect of Phase Forming Polymer -)

  • 김진한;허병기목영일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95-100
    • /
    • 1990
  • 균주 K.fragilis에 의한 이눌린의 PEG/Dextran 수성 이상계 알콜발효실험에서 알콜발효특성, 알콜 및 이눌린의 분배특성에 미치는 PEG분자량. PEG농도, Dextran농도의 영향을 구명하여 보았다. Dextran농도 1내지 3wt%범위에서 에탄올 발효능과 에탄올 생산성은 PET분자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균체수율과 균체생산성은 그 반대 경향을 나타내었다. PEG농도 6내지 10wt%범위에서 윗상에서의 에탄올 배수율은 아랫상의 Dextran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눌린 분배계수는 PEG분자량 증가에 따라 미세하게 감소하였으며, PEG농도에 영향을 받는 이눌린 분배특성은 분배계수, 분배수율 및 분배비이였으며. Dectran농도 증가에 따라 분배계수와 아랫상에서의 이눌린 분배수율은 증가하는 반면 이눌린 분배비는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로 부터의 알콜 생산을 위한 균주 선발 (Selection of Yeast Strains for Alcohol Production from Jerusalem Artichoke Tubers (Helianthus tuberosus L.))

  • 유연우;김철호;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119-124
    • /
    • 1983
  • 돼지감자 괴경에서의 알콜 생산을 위한 균주 선발에서, 먼저 11종의 효모를 YNB-inulin 배지에서 inulase 생성에 대한 실험 결과 K. fragilis와 K. marxianus가 각각 0.124unit/ml와 0.116unit/ml로 가장 양호하였으며, 다음으로 돼지감자 괴경착즙액에서 36시간 알콜 발효 실험을 행한 결과 알콜 발효능이 70% 이상인 균주는 K. fragilis, K. marxianus 및 T. colliculosa였으며, 이중 K. fragilis가 82.8%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위 세 균주 및 S. cerevisiae의 알콜 발효 kinetic parameter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K. fragilis가 가장 좋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즉, 균체 수득율$(Y_{x/s})$은 0.07g/g으로 다른 균주에 비하여 가장 적었으며, 알콜 수득율은 0.45(이론치의 88%)로 S. cerevisiae의 0.47(이론치의 92%)보다 낮았으나, 알콜 생성속도$(q_p)$, 알콜 발효 속도(Q) 및 알콜 발효능(F) 값은 각각 1.53g/g-hr, 2.35g/l-hr 및 77%로 다른 균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 PDF

Nutrient composition and in vitro fermentability of corn grain and stover harvested at different periods in Goesan, a mountainous area

  • Nogoy, Kim Margarette;Zhang, Yan;Lee, Ye Hyun;Li, Xiang Zi;Seong, Hyun A;Choi, Seong 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1호
    • /
    • pp.18-27
    • /
    • 2019
  • With South Korea's limited capability of feed product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cultivable area, the country is pushed to depend on foreign feed imports despite the immensely fluctuating price of corn. Hence, intensive efforts to increase the total cultivable area in Korea like extending of farming to mountainous area is being practiced. Corn was planted in Goesan County, a mountainous area in the country. Grain and stover were harvested separately in three harvest periods: early-harvest (Aug 8), mid-harvest (Aug 18), and late-harvest (Aug 28). The nutrient composition such as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EE), organic matter (O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on-fibrous carbohydrates (NFC) was determined after harvest.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the major nutrients (DM, NDF, ADF, and CP) were measured through in vitro fermentation of rumen fluid from Hanwoo (Korean cattle). pH, ammonia-N concentration,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and gas production were periodically measured at 0, 3, 6, 12, 24, 48, and 72 h. Corn grain showed higher nutrient content and ED than stover. It also had higher gas production but its pH, ammonia-N, and total VFA concentration were lower than corn stover.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corn grain was observed in early-harvest (high CP, EE, NDF, OM, NFC, and low ADF). Early-harvest of corn grain also had high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effective degrada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EDNDF), effective degradability of acid detergent fiber (EDADF), and total VFA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best nutrient composition of stover was observed in mid-harvest (high DM, CP, NDF, and low ADF). EDDM, EDNDF, and EDADF were pronounced in early-harvest and mid-harvest of stover but the latter showed high total VFA concentration. Hence, early and mid-harvested corn stover and grain in a mountainous area preserved their nutrients, which led to the effective degradation of major nutrients and high VFA production.

Evaluating feed value of native Jeju bamboo (Sasa quelpaertensis Nakai) for beef cattle

  • Seul, Lee;Youl Chang, Baek;Mingyung, Lee;Seoyoung, Jeon;Han Tae, Bang;Seongwon, Se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2호
    • /
    • pp.238-247
    • /
    • 2023
  • Objective: Recently, indigenous Korean grass Sasa quelpaertensis Nakai (SQ) has garnered much interest as a roughage source for livestock to mitigate its adverse effects on habitat diversity. Thu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uminal fermentation, palatabi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SQ for Korean native beef cattle (Hanwoo) using in vitro rumen fermentation, in situ rumen degradability, and in vivo feeding trials. Methods: Using in vitro tests with rumen fluid as the inoculum for 48 h, ruminal fermentation of SQ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other roughage sources commonly used in Korea (i.e., rice straw, Timothy hay, and Italian ryegrass [IRG]). Additionally, an in situ trial 96 h was performed using three cannulated Hanwoo steers. Further, an in vivo trial was performed using eight Hanwoo steers to compare the palatability of SQ with rice straw in total mixed ration (TMR) and forage-concentrate separate feeding conditions. Finally, an in vivo digestibility trial of SQ fed as TMR of two particle sizes was performed with four Hanwoo steers. Results: In vitro and in situ trials revealed that SQ was comparable or superior to rice straw in terms of the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H, gas produc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 content, and effective ruminal dry matter digestibility (DMD), although its fermentability was lower than that of Timothy hay and IRG. In the palatability test, steers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SQ when given as TMR. The total tract DMD of SQ fed as TMR was 75.9%±1.37%, and it did not differ by particle size. Conclusion: The feed value of SQ as a roughage source for Hanwoo steers is comparable or superior to that of rice straw, particularly when provided as TMR.

Evaluation of Megasphaera elsdenii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producti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health of ruminants: a meta-analysis

  • Irwan Susanto;Komang G. Wiryawan;Sri Suharti;Yuli Retnani;Rika Zahera;Anuraga Jayanegara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79-890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use of Megasphaera elsdenii (M. elsdenii) as a probiotic on rumen fermentation, producti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health of ruminants by integrating data from various related studies using meta-analysis. Methods: A total of 32 studies (consisted of 136 data points) were obtained and integrated into a database. The parameters integrated were fermentation products, rumen microbes, production performance, carcass quality, animal health, blood and urine metabolit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mpiled database used a mixed model methodology. Different studies were considered random effects, while M. elsdenii supplementation doses were considered fixed effects. p-values and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were employed as model statistics. The model was deemed significant at p<0.05 or had a tendency to be significant when p-value between 0.05<p<0.10. Results: Supplementation with M. elsdenii increased (p<0.05) some proportion of fermented rumen products such as propionate, butyrate, isobutyrate, and valerate, and significantly reduced (p<0.05) lactic acid concentration, acetate proportion, total bacterial population and methane emission. Furthermore, the probiotic supplementation enhanced (p<0.05) livestock production performance, especially in the average daily gain and body condition score. Regarding the carcass quality, hot carcass weight and carcass gain were elevated (p< 0.05) due to the M. elsdenii supplementation. Animal health also showed improvement as indicated by the lower (p<0.05) diarrhoea and bloat incidences as well as the liver abscess. However, M. elsdenii supplementation had negligible effects on blood and urine metabolites of ruminants.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M. elsdenii is capable of decreasing ruminal lactic acid concentration, enhancing rumen health, elevating some favourable rumen fermentation products, and in turn, increasing production performance of ruminants.

K. fragilis에 의한 돼지감자의 에탄올 발효에 관한 연구 (Ethanol Fermentation by K. fragilis from Jerusalem Artichoke)

  • 허병기;유진선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4권1호
    • /
    • pp.48-56
    • /
    • 1989
  • K.fragilis를 이용한 돼지감자의 알콜발효에서 초기 당농도 및 초기 pH가 발효특성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최대 비성장속도($\mu$$_{max})는 초기 당농도 65g/l에서 0.40$hr^-1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2) 최대 비알콜생성속도(V$_{max})는 초기당농도 105g/1에서 1.68g/ghr로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빠른 균체의 성장이 곧 빠른 생성물 생성의 조건이 아님을 뜻한다고 여겨지며, 저농도 기질에서 기질 및 생성물의 저해를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3)균체(Y$_{x/s})및 메탄올수율(Y$_{p/s})은 저농도 기질인 당농도 26g/1에서 각각 0.14, 0.49로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4)알콜발효능(F)는 기질농도 26, 45g/1에서 97%로서 가장높았고, 잔당의 농도도 5g/1미만이 였다. 5)총팔에탄올생성율(Q)은 고농도 기질인 당농도 215g/1에서 2.78/ghr로서 가장 높았다. 6)효모 K.fragilis가 분비하는 lnulinase의 생성최적 p$^{H}인 5.5에서 최대 비성장속도 0.40, 최대 비알콜 생성속도 1.60, 균체수율 0.096, 에탄올수율 0.49로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고온내성 에탄올 생산 효모균주의 개발을 위한 Saccharomyces와 Kluyveromyces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Saccharomyces and Kluyveromyces to Develop Thermotolerant Ethanol-Producing Yeast Strains)

  • 김민수;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0-86
    • /
    • 2000
  • $30^{\circ}C$에서 에탄올 발효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와 $42^{\circ}C$에서 성장력이 우수한 Kluyveromyces maxianus를 원형질체 융합을 통하여 고온에서도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 균주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을 위해 원형질체 형성율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는데, 두 균주 모 두 삼투안정제는 1.2M KCl, 세포벽 분해 효소의 농도와 처리 시간은 각각 200 (unit/ml)와 90분으로 동일하였고, 전처리용액으로서 EDTA와 mercaptoethanol의 농도, 그리고 최적 pH는 두 균주가 차이를 보여 S. carlsbergensis가 각각 10-20 mM/ml, $4.0\mu$l/ml, 그리고 7.0이었고, K. marxianus의 경우 20mM/ml, 2.5-4 $\mu$l/ml, 그리고 8.0이었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한 최적 조건하에서 원형질체 형성을 S. carlsbergensis의 경우 92.94%, K marxianus는 98%였으며, 두 균주의 원형질체 융합율은 $1.4\times10^{-6}-4.8$\times10^{-7}$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를 융합시킨 결과 SG배지$ 30^{\circ}C$에서 6-8일 배양 후에 27주의 융합주들을 획득하였고, 이 중에서$ 42^{\circ}C$에서 성장을 보인 융합주는 6주이었다. $42^{\circ}C$ 그리고 16%(w/v) 포도당이 함유된ㄴ 배지에서 3일 발효 후 모균주들이 3.2-3.4%(w/v)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는데 비해 융합주 SK41-4와 SK53-22는 같은 조건에서 모두 5.2%(w/v)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고온내성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SK53-22 경우 세포 분열이 거듭됨에 따라 안정성이 감소하였으나, SK41-4는 30세대 세포분열 후 100.0%로서 안정성이 매우 높았다.

  • PDF

Saccharomyces bayanus를 이용한 벌꿀 발효주의 양조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Honey Wine by Saccharomyces bayanus)

  • 정순택;임종환;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44-1049
    • /
    • 1999
  • 벌꿀 발효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벌꿀 희석액의 알코을 발효에는 Saccharomyces bayanus가 저온에서 발효력이 우수하였고 알코올 생성도 많았다. 벌꿀 발효주의 생산 최적조건은 pH 4.0, $20^{\circ}C$이었으며, 최적 발효액의 당도는 $24{\sim}27^{\circ}Brix$이었다. 벌꿀 희석액은 발효시 pH와 산도의 변화는 적었으나 과실 삼투압 추출액에서는 산도의 저하가 심하였다. 발효중 환원당은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알코올은 증가하여 발효 종료후 가용성 고형분은 $8.5{\sim}9.1^{\circ}Brix$로 저하 하였으며 잔류환원당은 $1.90{\sim}2.32%$, 발효율은 $90{\sim}92%$이었다. 21일 발효후 알코올은 잡화꿀에서 13.3%, 아카시아 꿀에서 13.7%로 아카시아 꿀이 알코올 생성이 높았으나 벌꿀 종류에 따른 차이는 적었다. 과실의 벌꿀삼투압 추출액은 13일 발효 후 pH는 $2.92{\sim}2.97$로 급격히 저하하였으나 산도는 벌꿀 감귤주에서 0.30%로 벌꿀 매실주 0.53%에 비하여 적었다. 발효 후 잔류 환원당은 $2.03{\sim}2.87%$이었고 알코올생성은 벌꿀 감귤주가 13.1%로 벌꿀 매실주의 12.5% 보다 높았으며 발효도 벌꿀주에 비하여 양호하여 벌꿀 과실추출액이 벌꿀 희석액보다 벌꿀발효주 제조에 유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