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itrothion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5초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a)에 대한 몇 가지 살충제의 활성과 아치사농도에 의한 영향 (Activity and sublethal effects of several insecticides to the rice skipper, Parnara guttata Bremer et Grey (Lepidoptera : Hesperiidae))

  • 오홍규;이영수;이상계;박형만;최용석;류갑희;장영덕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7-263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살충제 12종에 대한 줄점팔랑나비 (Parnara guttata)의 발육 단계별 약제감수성 및 아치사농도가 암컷성충의 수명, 산란전기, 산란수, 그리고 차세대의 부화율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fenitrothion과 fenthion, cartap hyochloride, imidacloprid, ethofenprox가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에 사용한 모든 약제는 $1{\sim}2$령 유충에 대해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령 유충에 높은 살충활성을 보인 약제는 fenitrothion, fenthion, ethofenprox, fipronil, methoxyfenozide, tebufenozide and Bt. var. kurstaki였다. $3{\sim}4$령기에 $LC_{40}$ 수준의 약제처리 후 생존한 유충으로부터 우화한 성충과 그 차세대에 대한 영향은 대부분의 약제에서 관찰되었다. Fenthion, tebufenozide, cartap hydrochloride, methoxyfenozide, ethofenprox, imidacloprid, apronil은 암컷성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PMC, imidacloprid, ethofenprox, fipronil, methoxyfenozide는 암컷성충의 산란전기를 지연시키고 산란수를 감소시켰는데, ethofenprox가 처리된 경우는 전혀 산란을 하지 않았다. 알의 부화율은 fenitrothion을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감소하였으며, 그 중 imidacloprid와 fipronil의 경우 알은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또한, IGR제인 methoxyfenozide와 tebufenozide는 차세대 유충의 발육에도 영향을 주었다.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 중 잔류농약 제거효과 연구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s in red pepper powder by UV irradiation)

  • 정유정;엄미나;정일형;손종성;김경아;신상운;오상헌;김봉렬;채경석;윤미혜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0
    • /
    • 2012
  • 고춧가루에 잔류되어 검출 빈도가 높은 농약인 Endosulfan(${\alpha}$-, ${\beta}$-체) Cypermethrin, Fenitrothion, Hexaconazole, EPN을 고춧가루에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뒤 365, 254 nm 파장에서 조사거리와 조사시간을 달리하여 잔존률을 조사하여 자외선 조사로 인한 농약의 제거효과를 알아보았다. 365 nm의 경우 조사거리 20 cm, 조사시간이 5분일 때 ${\alpha}$-Endosulfan 73.4%, ${\beta}$-Endosulfan 69.6%, Cypermethrin 60.8%, Fenitrothion 92.7%, Hexaconazole 73.8%, EPN 90.5%의 잔존률을 나타내었으며, 254 nm의 경우 조사거리 5 cm, 조사시간 36시간 일 때 ${\alpha}$-Endosulfan 74.6%, ${\beta}$-Endosulfan 64.5%, Cypermethrin 71.1%, Fenitrothion 79.1%, Hexaconazole 79.4%, EPN 64.7%의 잔존률을 나타냈다.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의 화학적 방제와 골프장의 금잔디(Zoysia matrella) 및 새로운 기주의 피해 (Chemical Control of Popillia quadriguttata(Coleoptera: Scarabaeidae) and Damage of Zoysia matrella and Newly Recorded Host Plants in Golf Courses)

  • 이동운;추호렬;신홍균;최병귀;이근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4
    • /
    • 2003
  •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는 우리 나라골프장의 중요해충 중의 하나이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은 활엽수나 초본류의 잎을 먹고, 유충은 잔디의 뿌리를 가해한다.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화학적 방제를 위하여 골프장 잔디 해충방제용으로 고시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chlorpyrifos-methyl EC, deltamethrin EC, ethofenprox WP, etofenprox+diazinon WP, etofenprox+tebufenozide EC, fenitrothion EC, imidacloprid SC, pyraclofos WP, tralomethrin EC의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한 효과를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조사한 결과, 실내와 온실실험에서 carbaryl+phosalone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 etofenprox+diazinon WP, fenitrothion EC가 기준량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에 대하여 95% 이상의 치사율을 보였고, field 실험에서는 carbaryl 40%+phosalone 20% WP와 fenitrothion 50% EC 처리에서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보정사충율이 각각 95.2%와 80.9%였다. 전착제 첨가는 carbaryl+phosalon 20% EC를 제외하고는 약효의 증대와 상승을 나타내었다. 경남 진해 용원골프장의 조경수인 칸나(Canna generalis)와 경기도 군포의 안양 베네스트골프장에의 조경수인살구나무(Prunus ameriaca var. ansu)와 자두나무(P. Salicina)에서 녹색콩풍뎅이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어 녹색콩풍뎅이의 기주식물은 총 19과 26속 29종이 된다. 2002년 10월과 2003년 3월에 안양베네스트골프장 페어웨이와 러프의 금잔디(Zoysia matrella)에서는 녹색콩풍뎅이의 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녹색콩풍뎅이 유충의 피해를 받은 금잔디는 황화되거나 시들음 증상이 있었고, 이듬해 봄에는 잔디의 회복이 지연되었다.

수세 방법에 따른 깻잎의 잔류농약 제거율 연구 (Removal Rate of Residual Pesticides in Perilla Leaves with Various Washing Methods)

  • 이종미;이혜란;남상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86-590
    • /
    • 2003
  • 고여 있는 물 세척으로 chlorpyrifos-methyl은 20.05%, fenitrothion은 17.70% 제거되었고 흐르는 물 세척으로 각각 44.28%, 39.10%가 제거되었다. 활성탄을 첨가한 고여 있는 물 세척으로 chlorpyrifos-methyl은 19.14%, fenitrothion은 15.43%, 활성탄을 첨가하고 물리적 힘을 가한 경우 각각 25.29%, 23.80%가 제거되었다. 또한 중성세제 용액 세척으로 81.52%와 76.56%가 제거되었고 알칼리 및 산성 용액 세척으로 각각 53.51%, 50.62%과 30.25%, 28.09%가 제거되었다. 농약의 종류에 관계없이 고여 있는 물보다 흐르는 물에 의한 제거 효과가 높았으며 중성세제 용액에 의한 세척이 잔류농약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밝혀졌다. Cheong은 농약 성분이 잔류하더라도 극미량으로 체내에서 대사 분해될 수 있으면 안전한 농산물로 평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농산물의 저장 운반 등 유통기간 동안 자연 감소하는 것을 감안할 때 농약이 처리기준에 맞게 사용된다면 안전상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채소류의 잔류농약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중성세제와 충분한 양의 물로 횟수를 많이, 시간을 길게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농약의 부작용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농약 제조 판매자, 취급자 및 사용자 모두가 농약에 대한 올바른 이해로 바르게 취급, 관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자연상태에서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되어 생태계균형과 질서를 파괴하지 않는 농약의 개발 연구가 계속되어야겠다.

살아있는 세포에서 전기화학적 흑연 연필심 전극을 사용한 살균제의 실시간 분석 (Real-time Pesticide Assay on Live Tissue Using Electrochemical Graphite Pencil Electrode)

  • 이수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08-215
    • /
    • 2006
  • 간편하게 만들어진 흑연연필심 작업전극을 사용한 순환전압전류법과 사각파형 벗김 전압 전류법으로 살충제 페니트로치온을 정량하였다. 최적분석조건을 연구한 결과 기존의 전기화학적 분석법들 보다 정밀하고 낮은 검출한계에 도달하였으며 이들 조건은 다음과 같다. 수소이온농도: 3.7 pH, 벗김 사각파형 주파수: 500 Hz, 벗김 사각파형 증폭률: 0.1V, 벗김파형 상승전위: 0.005V, 석출전위: -0.9V, 석출시간: 500초에서 벗김전압전류법과 순환전압전류법의 페니트로치온 농도 검출한계는: 6.0 ngL1 (2.164×1011 molL-1) 이었다. 상대표준편차는 10 ugL-1을 15번 반복측정하여 0.30%의 정밀도 였으며. 위 최적 조건에서 실시간 살아있는 세포에서 분석 응용하였다.

밤바구미 방제를 위한 살충제의 탐색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Chestnut Curculio (Curculio sikkimensis))

  • 김영재;한종빈;서동규;김연태;박병규;최광식;김철수;신상철;이상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7-352
    • /
    • 2004
  • 시판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 중 밤바구미 성충(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우수 살충제를 탐색하고, 선발된 약제로 야외포장에서 잔효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검정에서 39종의 살충제 중 100%의 살충율을 나타낸 약제는 chlorpyrifos, fenitrothion,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 carb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lambda$-cyhalothrin, deltamethrin, clothianidin, acetamiprid+bifenthrin, etofenprox+diazinon, esfenvalerate+fenitrothion, furathiocarb+diflubenzuron, fipronil 등 16종이었다. 잔효성 시험에서는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가 1일째까지는 80%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로는 급속히 떨어졌다. 그 외 약제들도 잔효성은 낮았다. 야외포장 방제효과 시험에서는 phenthoate, thiodicarb, fipronil, acetamiprid+bifenthri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 1일째부터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애집개미 (Monomorium pharaonis) 일개미에 대한 농업용 살충제의 독성평가 (Toxicity Evaluation of Agricultural Insecticides on Workers of Pharaoh Ant, Monomorium pharaonis (Hyme-noptera : Formicidae))

  • 강신호;한종빈;박신섭;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8-224
    • /
    • 2006
  • 시판되고 있는 살충제 34종과 개미전문약제 2종에 대해 독이법으로 애집개미 (Monomorium pharaonis) 일개미의 속효성 살충제를 탐색하고, 활성이 있는 약제의 독성을 비교하였다. 식이법에서 100%의 살충 속효성을 나타낸 약제로는 bifenthrin,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cypermethrin, dichlorvos, fenthion, fenitrothion, methidathion, pirimifos-methyl, phenthoate 등 10종이었으며, 선발약제의 $LC_{50}$ (ppm) 값은 pirimifos-methyl (0.33), chlorpyrifos-methyl (0.76), phenthoate (1.70), bifenthrin (1.78), dichlorvos (2.50), cypermethrin (9.92), chlorpyrifos (22.21), fenitrothion (36.58), fenthion (40.96), methidathion (64.34) 순으로 나타났다. Dichlorvos, benfuracarb, cypermethrin의 $LT_{50}$ (일)은 각각 0.25, 0.38, 0.27로 속효성이었으며, boric acid와 hydramethylnon은 각각 3.4와 2.6로 지효성이었다. 지속효과 실험에서 처리후 13일째까지 90%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낸 약제는 chlorpyrifos-methyl, fenthion, methidathion이었다.

권연벌레와 어리쌀바구미에 대한 26종 살충제의 접촉독성 및 잔효성 (Contact and Residual Toxicities of 26 Insecticides Against the Cigarette Beetle, Lasioderma serricorne and the Maize Weevil, Sitophilus zeamais)

  • 조선란;신윤호;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0-316
    • /
    • 2011
  • 시판되고 있는 2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권연벌레(Lasioderma serricorne)와 어리쌀바구미(Sitophilus zeamais) 성충에 접촉독성 방법인 약제감수성 잔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권연벌레 성충에 100%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 cypermethrin, ${\alpha}$-cyhalothrin등 7종이었으며,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pyrifo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등 5종이었다. 이들 약제의 반수치사농도($LC_{50}$ ppm)를 구한 결과, 권연벌레는 ${\alpha}$-cyhalothrin이 1.46, 어리쌀바구미는 chlorpyrifos-methyl이 0.64로 가장 낮아 독성이 높았다. 잔효성은 권연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alpha}$-cyhalothrin이 처리 후 9일 경과까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어리쌀바구미 성충에 대해서는 chlorpyrifos-methyl이 처리 후 90일, phenthoate가 27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농약(農藥)의 살포방법(撒布方法)이 수도체부위별(水稻體部位別) 부착량(附着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Pesticide Deposit on Rice Plants Sprayed with Various Dilution and Dosage)

  • 오병렬;정영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3호
    • /
    • pp.181-185
    • /
    • 1981
  • 농예(農藝)의 살포방법(撒布方法)에 따른 수도체(水稻體) 부위별(部位別) 잔류량(殘留量)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밀양(密陽) 23호(號)와 아끼바레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fenitrothion(유제(乳劑), 50%), Imidan(수화제(水和劑), 50%), diazinon(유제(乳劑), 34%), phenthoate(유제(乳劑), 47.5%) 및 neoasozin(액제(液劑), 6.5%)에 대(對)하여 시험(試驗)하였다. fenitrothion과 imidan은 고농도(高農度), 소량살포(小量撒布)(500배액(倍液), 60l/10a)가 저농도(低濃度), 다량살포(多量撒布)(1,000배액(倍液), 120l/10a)가 수도체(水稻體) 하반부중(下半部中) 잔류농도(殘留濃度) 및 부착량(附着量)을 증가(增加)시켰다. Imidan은 예제살포(藝劑撒布) 6일후(日後), fenitrothion은 15일후(日後)에 수도체상(水稻體上), 하반부(下半部)의 잔류량(殘留量)이 동일(同一)하였다. diazinon, phenthoate, neoasozin의 수도체(水稻體) 상반부중(上半部中) 잔류분포비율(殘留分布比率)은 일반품종(一般品種)(아끼바레)에서 보다 신품종(新品種) (밀양(密陽)23호(號))이 높았다.

  • PDF

흡착제에 의한 잔류농약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Effect of Residual Pesticide on Adsorbent)

  • 안중혁;김준범;권영두;전충;박광하
    • 공업화학
    • /
    • 제18권6호
    • /
    • pp.537-544
    • /
    • 2007
  • 본 연구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잔류농약의 흡착특성을 살펴보았다. 흡착제는 $bauxsol^{TM}$과 맥반석을 사용하였다. 잔류농약의 분석은 GC/NPD와 $GC/{\mu}ECD$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농약은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pendimethalin,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이고 회수율은 97% 이상으로 나타났다. $Bauxsol^{TM}$과 맥반석 흡착제의 흡착율은 endosulfan, chlorpyrifosmethyl, pendimethalin, fenitrothion의 내림차순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유기염소계 농약이 다른 농약에 비해 높은 제거율을 보여주었다. $Bauxsol^{TM}$은 농약의 화학적 분해와 물리흡착이 동시에 발생하였고, 맥반석은 물리흡착만이 발생하였다. 흡착제 용출액의 높은 pH와 농약구조의 염소이온은 화학적 분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흡착제의 물리흡착은 광물의 많은 다공성에 의해 농약 제거율을 높여 주었다. 흡착제는 골프장의 연못 등 수질에 잔류농약제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