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ing practice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4초

젖소의 우유 중 단백질과 요소태질소 측정에 의한 사료의 에너지와 단백질 균형 상태 예측 (Prediction of Dietary Protein-Energy Balance by Milk Urea Nitrogen and Protein Contents in Dairy Cow)

  • 문진산;주이석;강현미;장금찬;김종만;이보균;박용호;손창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73-584
    • /
    • 2002
  • 젖소의 에너지 및 단백질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MP와 MUN을 측정하여 농장의 사료급여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서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국 4,856개 목장, 132,636두를 대상으로 유성분을 측정하였다. 조사된 개체유의 평균 MP와 MUN 수준은 각각 3.30${\pm}$0.35%와 16.0${\pm}$5.2mg/dl였으며, MP에 있어서는 3.10${\sim}$3.20%를 중심으로, MUN은 15.0mg/dl을 중심으로 하는 정규곡선을 나타내었다. 계절별 MP와 MUN의 수준은 외기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는 MP의 함량이 3.2% 이하로 감소한 반면, MUN 수준은 16.5mg/dl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반대로 동절기에는 MP가 3.35%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MUN 수준은 15.0mg/ dl 이하로 가장 낮았다. MP 함량과 MUN 농도와의 관계에서는 MP가 정상 기준보다 낮은 2.90% 미만에서는 MUN 농도가 전체 평균보다도 높았고(17.3${\pm}$5.2mg/dl), MP가 정상 기준보다도 높은 3.70% 이상에서는 전체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개체유 및 집합유를 대상으로 MP 및 MUN 측정에 의한 사료내 에너지와 단백질 균형상태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단백질은 부족보다는 과다가, 그리고 에너지는 과다보다는 부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비유초기에는 에너지 부족이, 비유말기에는 단백질 과다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국내의 경우 무엇보다도 에너지 및 단백질의 균형적인 사료공급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Evaluation of different milking practices for optimum production performance in Sahiwal cows

  • Aslam, Naveed;Abdullah, Muhammad;Fiaz, Muhammad;Bhatti, Jalees Ahmad;Iqbal, Zeeshan Muhammad;Bangulzai, Nasrullah;Choi, Chang Weon;Jo, Ik Hw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6권4호
    • /
    • pp.13.1-13.5
    • /
    • 2014
  •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multiparous lactating Sahiwal cows (n = 24) was evaluated according to both milking frequency and method. Selected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aining six animals each under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ows in groups A & B were milked by the hand milking method three times per day, respectively. Similarly, cows in groups C & D were milked by the machine milking method two and three times per day, respectively. All animals were maintained under uniform feeding and management conditions. Dry matter intake was high in animal groups milked three times per day, and it remained unchanged between the hand and machine milking methods. Milk yield was higher (P < 0.05) in cows milked three times compared to those milked twice per day, and it did not differ between hand and machine milking methods. Milk fat percentage was higher (P < 0.05) in cows milked twice per day compared to those milked three times using both machine and hand milking methods. The percentage of total solids showed a similar pattern as the fat percentage. However, percentages of protein, lactose, and non-fat solids in milk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mong the treatment groups. Coll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milking three times per day instead of twice at 8-hour intervals can enhance milk yield in Sahiwal cows using both hand and machine milking methods.

Effect of Inorganic and Organic Trace Mineral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ecal Mineral Excretion of Phase-fed, Grow-finish Swine

  • Burkett, J.L.;Stalder, K.J.;Powers, W.J.;Bregendahl, K.;Pierce, J.L.;Baas, T.J.;Bailey, T.;Shafer, B.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279-1287
    • /
    • 2009
  • Concentrated livestock production has led to soil nutrient accumulation concern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urrent recommended livestock feeding practic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race minera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carcass composition, and fecal mineral excretion of phase-fed, grow-finish pigs. Crossbred pigs (Experiment 1 (Exp. 1), (n = 528); Experiment 2 (Exp. 2), (n = 560)) were housed in totally-slatted, confinement barns, blocked by weight, penned by sex, and randomly assigned to pens at approximately 18 kg BW. Treatments were allocat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12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with 9 to 12 pigs per pen throughout the grow-finish period. In Exp. 1, the control diet (Io100) contained Cu as $CuSO_{4}$, Fe as $FeSO_{4}$, and Zn (of which 25% was ZnO and 75% was $ZnO_{4}$) at concentrations of 63 and 378 mg/kg, respectively. Treatment 2 (O100) contained supplemental Cu, Fe, and Zn from organic sources (Bioplex, Alltech Inc., Nicholasville, KY) at concentrations of 19, 131, and 91 mg/kg, respectively, which are the commercially recommended dietary inclusion levels for these organic trace minerals. Organic Cu, Fe, and Zn concentrations from O100 were reduced by 25% and 50% to form treatments 3 (O75) and 4 (O50-1), respectively. In Exp. 2, treatment 5 (Io25) contained 25% of the Cu, Fe, and Zn (inorganic sources) concentrations found in Io100. Treatment 6 (O50-2) was identical to the O50-1 diet from Exp. 1. Treatment 7 (O25) contained the experimental microminerals reduced by 75% from concentrations found in O100. Treatment 8 (O0) contained no trace mineral supplementation and served as a negative control for Exp. 2. In Exp. 1, tenth-rib backfat, loin muscle area and ADG did not differ (p>0.05) between treatments. Pigs fed the control diet (Io100) consumed less feed (p<0.01) compared to pigs fed diets containing organic trace minerals, thus, G:F was greater (p = 0.03). In Exp. 2,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 means for loin muscle area, but pigs fed the reduced organic trace mineral diets consumed less (p<0.05) feed and tended (p = 0.10) to have less tenth-rib backfat compared to pigs fed the reduced inorganic trace mineral diet. Considering that performance and feed intake of pigs was not affected by lower dietary trace mineral inclusion, mineral excretion could be reduced during the grow-finish phase by reducing dietary trace mineral concentration.

Effects of Animal Welfare-Certified Rearing Systems on the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ilers at the Farm Level in Korea

  • Jeon, Jin-Joo;Kim, Hee-Jin;Kim, Hye-Jin;Kang, Hwan-Ku;Kim, Chan-Ho;Kim, Hyun-Soo;Kang, Bo-Seok;Kim, Sang-Ho;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8-141
    • /
    • 2022
  •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arms (CF) rearing of broilers, the rearing management of animal welfare-certified farms (AF) must provide low stocking density, perch, air regulation, and feeding plant-based protei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rearing management in CF and AF on blood parameters, meat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in Ross 308 broiler chickens at the farm level before transportation to slaughterhouses. Blood and meat samples were obtained at 28-35-dayold chickens from three CF and three AF. In blood samples,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05), triglyceride (p<0.001), glucose (p<0.01), total protein (p<0.001), albumin (p<0.01), and white blood cell (p<0.001) levels as well as the heterophil/ lymphocyte ratio [stress index (SI), p<0.001] were lower in broilers from AF than in CF. In meat samples, shear force (p<0.001, p<0.05), and carnosine contents (p<0.001, p<0.05)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from AF were higher than those in meat from CF. The contents of linoleic acid (p<0.001), α-linolenic acid (p<0.001), and eicosapentaenoic acid (p<0.05) were higher in the samples from AF than those from CF. This study reveals that such differences ar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rearing factors in nutrition, housing, and management practices between CF and AF. Supplementation of plant-based protein and enough space to move due to lower stocking density accounts for th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showing that the AF system reduces the SI and enhances carnosine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evels in chicken meat at the farm level before transportation.

Saudi Experts Consensus 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Functional Constipation

  • Alshehri, Dhafer B.;Sindi, Haifa Hasan;AlMusalami, Ibrahim Mohamod;Rozi, Ibrahim Hosamuddin;Shagrani, Mohamed;Kamal, Naglaa M.;Alahmadi, Najat Saeid;Alfuraikh, Samia Saud;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3호
    • /
    • pp.163-179
    • /
    • 2022
  • Althoug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s) are very common in pediatric patients, there is a scarcity of published epidemiologic data,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atterns from Saudi Arabia, which is the 2nd largest Arabic country in terms of area and the 6th largest Arabic country in terms of population, with 10% of its population aged <5 years. Functional constipation (FC) is an FGID that has shown a rising prevalence among Saudi infants and children in the last few years, which urges us to update our clinical practices. Nine pediatric consultants attended two advisory board meetings to discuss and address current challenges, provide solutions, and reach a Saudi national consensus for the management of pediatric constipation. The pediatric consultants agreed that pediatr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any alarming signs (red flags) found during history taking or physical examinations. They also agreed that the Rome IV criteria are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pediatric FC. Different therapeutic options are available for pediatric patients with FC. Dietary treatment is recommended for infants with constipation for up to six months of age. Whe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ail to improve FC symptoms, pharmacological treatment with laxatives is indicated. First, the treatment is aimed at disimpaction to remove fecal masses. This is achieved by administering a high dose of oral polyethylene glycol (PEG) or lactulose for a few days. Subsequently, maintenance therapy with PEG should be initiated to prevent the re-accumulation of feces. In addition to PEG, several other options may be used, such as Mg-rich formulas or stimulant laxatives. However, rectal enemas and suppositories are usually reserved for cases that require acute pain relief. In contrast, infant formulas that contain prebiotics or probiotics have not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nfant constipation, while the use of partially hydrolyzed formula is inconclusive. These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are intended to be adopted by pediatrician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across Saudi Arabia.

신생아집중간호단위 환경과 저체중출생아의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for Lowbirth Weight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the United States)

  • 한경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59-176
    • /
    • 1998
  • In effort to conduct comparative study on the caregiving environment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in both U. S and Korea, this study was been conducted first in the U.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direct caregiving practices to lowbirth weight infants in NICU in the US. It also aims to examine the NICU outcome status and behavioral reponses of lowbirth weight infants. Methods : A study design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as been conducted through an observational, field method. A sample of 15 preform infants admitted to NICU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those with birth weight between 1,000 gm to 1,500 gm, born at the gestation period of 27 to 33 weeks, and without any chromosomal or other genetic anomalies, major congenital infections, or maternal illness. Thirty minutes observation(three times of ten minutes of continuous observation)of the infant's behavior and physiological status, and an four-hour observ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direct care giving procedures were been conducted on the 3rd and 10th day after birth, and on the day of discharge from the NICU or at 34weeks postconception. The data to be collected were in four areas : the demograghic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are giving procedures, the frequency of the infant's designated behavior and physiological response, and NICU outcome variables. A descriptive analysis and Kruskal-Wallis, Pearson r were been applied according to variable characteristics. Results : 1. Mother's mean age was 29.47. The sample consisted of 6 males and 9 females. Mean gestational ages were 29.17 weeks. Mean birth weight was 1236.33g. Mean Apgar scores at one minute were 6.6, and 7.8 at five minutes. 2. The location for the incubator was i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X-ray screens and nursing station, in proximity to side-lamp, telephone and faucet on the third day after birth. The location for the incubator was in the distance from the light and radio on the tenth day and in proximity to nursing station on the day of dischage from the NICU or at 34weeks postconception. 3. Nesting was the most applying aids to the infants. And foot roll, shielding and plastic frame were frequently using by nurses for facilitating well modulated restful posture.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tterns of physical environment included locating the infant's incubator and bedding, specific aids to self regulation on the 3rd and 10th day after birth, and on the day of discharge from the NICU or at 34weeks postconception. 5.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appeared in the patterns of direct caregiving procedure to the infants included stress inducing or reducing manipulations on the 3rd and 10th day after birth, and on the day of discharge from the NICU or at 34weeks postconception. 6. The stress response of the infants in NICU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 the infants grow older. 7.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envronment and the stress responses of the infants in NICU. 8.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 caregiving procedure to the infants and the stress response of the infants in NICU in the second and third observation on the day three. 9. Average weight gain per day from birth to discharge was 38.73g, number of days in the hospital was 42.60, number of days before bottle feeding was 3.6. Postconception age starting bottle feed ing was 31/sup +5/ weeks. Number of days on mechanical ventilator was average 7.64, 11.42 was an average number of days of oxygen need. Conclusion : It, thus, appears that to minimize the sensorymotor stimulation for the low birthweight preterm infant in NICU, manipulation of care giving practices to the babies whatever the stress inducing or reducing procedures, have to be limited in the immediate early stage after birth. And it needed to be reexamine to identify the appropriate and specific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patterns of direct caregiving to the low birthweight preform infant as the infants grow older in NICU.

  • PDF

신생아 특발성 비용혈성 고빌리루빈혈증의 위험 요인에 따른 임상 양상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isk Factors of Idiopathic Nonhemolytic Hyperbilirubinemia)

  • 박숙현;강지현;권순학;김행미;김용선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24-231
    • /
    • 2010
  • 목적: 최근 출생 후 조기 퇴원과 모유수유 증가로 인해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에 의한 재입원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은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빌리루빈 뇌증을 유발하여 치명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적절한 치료와 함께 조기 예방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우리나라 신생아의 특발성 비용혈성 고빌리루빈혈증의 임상 경과와 위험 인자, 뇌 MRI 결과를 조사함으로써 황달의 역학 조사와 치료 방침 설정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9년 9월까지 고빌리루빈혈증으로 진단받고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 중 재태연령이 35주 이상, 총혈청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면 서 용혈성 질환이 없으면서 감염, 대사 질환등 황달의 원인이 없는 7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주령은 $38^{+3}{\pm}1^{+4}$주였고 내원 당시 나이는 8.8$\pm$4.0일이었다. 내원 당시 체중은 3,105$\pm$479 g으로 출생 체중 3,174$\pm$406 g과 비교하여 평균 2.8$\pm$6.4% 감소하였다. 모유수유, 두혈종, 경막하출혈 및 ABO 부적합증과 같은 위험인자가 있는 환아와 위험인자가 없는 환아를 비교하였으며 최고 총혈청빌리루빈, 광선요법의 시행 기간 및 반응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출생 체중과 입원 당시 체중을 비교하여 체중이 증가한 군과 감소한 군의 비교에서는 재태주령, 내원 당시 연령과 최고 혈청 빌리루빈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뇌 MRI를 시행한 39명의 환아 중 21명은 T1 강조 영상에서 창백핵의 음영이 피각 및 인접한 피질척수로의 음영과 비교하여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43명의 환아가 ABR을 시행하였는데 5명의 환아에서 이상 소견이 보였다. 결론: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특발성 비용혈성 고빌리루빈혈증은 수유량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유방법에 대한 충분한 교육과 퇴원 후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많은 대상군을 포함하지 않아 더 많은 대상군과 대조군의 비교분석이 필요하고 향후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서 만성 빌리루빈 뇌증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Serum Level of Carbohydrate Antigen 19-9 and Cancer Antigen 125 in Healthy Rural Populations in Korea)

  • 이수근;유근영;박수경;강대희;김진규;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80
    • /
    • 1998
  • 우리 나라의 일부 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과 CA125 농도의 분포를 관찰함으로써 경계치 설정 이전에 미리 예비적 자료를 확보하고, 두 종양표지자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특히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시적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1995년에 일부 농촌지역 성인 171명(남자 76명, 여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혈청 검사를 통해 개개인의 음주, 흡연습관 및 생식요인에 관한 정보 및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A19-9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남녀 각각 $10.4{\pm}11.1{\mu}/ml$, $10.1{\pm}10.0{\mu}/ml$로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CA125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각각 $2.5{\pm}12.2{\mu}/ml$, $11.2{\pm}7.4{\mu}/ml$로 여자에서 높았다. 한편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양성판정치를 근거로 하여 판정한 혈청 CA19-9 및 CA125 양성률은 각각 2.9%, 1.8%이었으며, 각각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CA19-9 농도는 일일 흡연량(r=0.23, p=0.054) 및 총 흡연량(r=0.28, p=0.0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여자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일일흡연량 r=0.59, p=.0.026 ; 총흡연량 r=0.74, p=0.003). 3)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시작연령(r=0.51, p=0.000) 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흡연기간(r=-0.23, p=0.051) 및 총흡연량(r=-0.23, p=0.057)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성별로는 남자에서만 흡연시작연령(r=0.28, p=0.0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혈청 CA125 농도는 여자에서 연령(r=-0.20, p=0.058), 생리중단 연령(r=-0.28, p=0.030), 총수유기간(r=-0.29, p=0.014)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는 비만, 학력, 그리고 음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여자에서는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 p=0.047). 6) 연령 및 비만의 교란효과를 통제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혈청 CA19-9 농도와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전체대상례에선 흡연시작연령이 빠르거나(p=0.000), 총 흡연기간이 길거나(p=0.001), 총흡연량이 많거나(p=0.020), 생리중단연령이 늦거나(p=0.035), 수유를 오래 할수록(p=0.0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 여자에서 흡연인자들의 유의한 회귀관계가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적으로, 혈청 CA19-9 농도는 흡연, 음주, 월경-출산관련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않는 것으로 보여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 이들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도 이용될 수 있는 비교적 안정된 종양표지자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령과 비만지수에 따라 흡연량이 교란영향을 받고 있는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폐경연령과 총수유기간이 유의한 관계를 보여 향후 정상치역 결정시 생리, 수유 등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철결핍빈혈 영유아의 식이력 조사 및 이유지식의 평가 (Weaning food practice in children with iron deficiency anemia)

  • 장주희;정우식;전용훈;김순기;김흥식;박상규;유경하;유은선;유철주;이건수;이광철;임재영;최두영;최병규;최은진;최봉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59-166
    • /
    • 2009
  • 목 적 : IDA는 이유기 영유아에게서 흔한 영양장애이다. 본 연구는 이유기 영유아의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 등에 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2006년 3월부터 2007년 7월까지 10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6-36개월의 영유아 가운데, IDA로 진단된 129명 및 IDA가 없는 166명을 비교군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아의 부모에게서 이유식 진행 상황 및 이유지식을 묻는 문제가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 IDA군의 혈역학적 지표는 IDA가 없는 비교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생후 6개월까지 모유만 먹인 경우는 각각 85%, 34%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유식 시작시기는 각각 6.3개월, 6.4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처음으로 시작한 음식은 두 군 모두 미음, 죽, 과즙이 80% 이상을 차지하였고,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P>0.05). IDA군에서 첫 1개월 내에 여러 가지 이유식을 골고루 잘 먹게 된 경우는 40 %였고, 비교군에서는 38%였다. 두 군 모두 모유 영양아에서 철분강화 음식의 필요성을 묻는 문제의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IDA로 진단된 환아에서 ferritin이 10 ng/mL 미만인 경우는 42%였고, mean corpuscular volume (MCV)이 72 fL 미만인 경우는 92%이었다. 결 론 : IDA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 이유기 영유아에 있어 철저한 식이력 조사와, 고위험군에 대한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 또 철분이 함유된 이유식을 골고루 섭취하기까지의 적응 기간을 고려하여, 4-5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이유식 지도에 있어 모유 영양아에서 철분 강화 식이의 필요성에 대하여 보호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고려 후기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의 해석과 의미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Celadon Inlaid with Sanskrit Mantr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이준광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70-100
    • /
    • 2023
  • 불교가 융성했던 고려 사회 속에서 만들어진 청자에는 불교문화의 여러 단면이 담겨 있다. 그중 범자(梵字)가 새겨진 상감청자는 불교 중에서도 밀교와 밀접한 영향 관계에 있을 것이란 점은 익히 알려져 왔으나 판독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는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이는 전하고 있는 자료의 수가 적은 데다 잔존 범자도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강진 사당리 23호 요지에서 이루어진 4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발견하게 되었고, 이 자료들을 판독하여 기존 자료들도 몇 가지 유형에 편입시킬 수 있었다. 범자 판독과 해석을 통해 얻은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자에 상감된 범자는 진언(眞言)을 이루는 글자들이었다. 범자 한 자만 남아 있는 경우 해석을 유보해야 했지만, 그 밖의 범자들은 동심원 구조인 자륜진언(字輪眞言) 방식 속에서 '정법계진언', '육자대명진언', '감로수진언', '보루각진언', '구보살원주', '무량수여래심주', '멸악취진언'을 표기하고 있었음을 판독했다. 각 진언은 실담(悉曇, Siddham) 범자로 표기되어 있었다. 둘째, 제작 시기는 범자 배치 방식과 '감로수진언'이 40수 진언에 포함되는 양상을 근거로 13~14세기에 걸친 것으로 보았다. 특히 진언이 있는 동심원 구조의 상감청자 자료들은 제작 특징을 보아 13세기 말~14세기 전반으로 편년했다. 셋째, 상감된 진언들의 해석을 통해 모두 파지옥(破地獄)과 정토왕생(淨土往生)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 중 일부는 시아귀회(施餓鬼會)와 같은 망자(亡者)를 위한 불교 의례에 사용했으리라 판단했다. 또한 사당리 23호 요지와 '가'구역이 왕실용 자기 생산지로 추정되기 때문에 의례 또한 왕실 혹은 그 영향력 안에 있는 사찰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았다. 넷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원대 자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없었다. 그래서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원의 불교문화와 고려가 이미 품고 있던 밀교적 요소가 더해져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범자 진언명 상감청자들은 고려 후기 사회에 퍼져 있던 개인적 밀교 의례의 한 측면을 보여 주는 자료였다. 당장의 불안을 해소해 주길 바라는 데서 촉발된 밀교의 변화는 묘지(墓誌), 관등에서도 찾을 수 있었는데 파지옥과 극락왕생에 대한 염원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여섯째, 다른 공예품과 비교할 때 공통점으로 실담 범자를 사용했다는 점, '육자대명진언'을 중심적으로 활용했다는 점, 기와와 배치 방법이 유사하다는 점, 범종·목관·묘지의 진언과 의미상 상통한다는 점이 있었다. 차이점으로는 '멸악취진언'과 '감로수진언'은 다른 공예품에서 발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한 상감청자 특유의 경제성과 제작의 용이성은 다른 공예품과 차별되는 장점으로, 바로 이 점 때문에 범자 진언을 새길 기명으로 청자가 채택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판독하지 못한 자료들은 추후 잔존 상태가 양호한 자료가 보고된다면 새로운 유형을 수립하여 편입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