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Related to Serum Level of Carbohydrate Antigen 19-9 and Cancer Antigen 125 in Healthy Rural Populations in Korea

일부 농촌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 Lee, S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KY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ang, D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Q (Department of Clinical Pat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C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수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유근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수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진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Published : 1998.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s of carbohydrate antigen 19-9(CA19-9) and cancer antigen 125(CA125) in serum and its related factors in healthy Korean population. Although CA19-9 and CA125 have been widely used tumor markers for gastroenteric cancers and ovarian cancer in Western countries, there are no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serum levels of CA19-9 and CA125 in healthy popula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s of these tumor marker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CA19-9 and CA125 among 76 healthy males and 95 healthy females in Korea. CA19-9 and CA125 were quantitated using solid-phase radioimmunoassay kits. Informations on the factors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levels of these marker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e.g., smoking, alcohol consumption, menstruation, oral pill use, breast-feeding history, etc.).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CA19-9 concentration between men(10.4 u/ml) and women(10.1 u/ml), whereas the mean of CA125 levels(11.2 u/ml) was higher in women than that(2.5 u/ml) in men. Al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A19-9 and average number of cigarette consumed per day(r=0.59, p=0.026) and total number of cigarettes consumed in women(r=0.74, p=0.003), the significance disappear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age and body mass index. Later age of menopause(p=0.035) and longer duration of breast-feeding(p=0.05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A125 levels in wome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age and body mass index. In conclusion, CA19-9 can be used as a stable tumor marker in clinical practices, however, menstruation and breast-feed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CA125 is used in women.

우리 나라의 일부 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과 CA125 농도의 분포를 관찰함으로써 경계치 설정 이전에 미리 예비적 자료를 확보하고, 두 종양표지자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특히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시적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1995년에 일부 농촌지역 성인 171명(남자 76명, 여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혈청 검사를 통해 개개인의 음주, 흡연습관 및 생식요인에 관한 정보 및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A19-9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남녀 각각 $10.4{\pm}11.1{\mu}/ml$, $10.1{\pm}10.0{\mu}/ml$로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CA125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각각 $2.5{\pm}12.2{\mu}/ml$, $11.2{\pm}7.4{\mu}/ml$로 여자에서 높았다. 한편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양성판정치를 근거로 하여 판정한 혈청 CA19-9 및 CA125 양성률은 각각 2.9%, 1.8%이었으며, 각각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CA19-9 농도는 일일 흡연량(r=0.23, p=0.054) 및 총 흡연량(r=0.28, p=0.0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여자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일일흡연량 r=0.59, p=.0.026 ; 총흡연량 r=0.74, p=0.003). 3)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시작연령(r=0.51, p=0.000) 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흡연기간(r=-0.23, p=0.051) 및 총흡연량(r=-0.23, p=0.057)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성별로는 남자에서만 흡연시작연령(r=0.28, p=0.0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혈청 CA125 농도는 여자에서 연령(r=-0.20, p=0.058), 생리중단 연령(r=-0.28, p=0.030), 총수유기간(r=-0.29, p=0.014)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는 비만, 학력, 그리고 음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여자에서는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 p=0.047). 6) 연령 및 비만의 교란효과를 통제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혈청 CA19-9 농도와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전체대상례에선 흡연시작연령이 빠르거나(p=0.000), 총 흡연기간이 길거나(p=0.001), 총흡연량이 많거나(p=0.020), 생리중단연령이 늦거나(p=0.035), 수유를 오래 할수록(p=0.0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 여자에서 흡연인자들의 유의한 회귀관계가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적으로, 혈청 CA19-9 농도는 흡연, 음주, 월경-출산관련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않는 것으로 보여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 이들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도 이용될 수 있는 비교적 안정된 종양표지자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령과 비만지수에 따라 흡연량이 교란영향을 받고 있는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폐경연령과 총수유기간이 유의한 관계를 보여 향후 정상치역 결정시 생리, 수유 등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