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back on assessment result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2초

수학교육에서 평가결과에 기초한 개별화 학습과정의 위계도 (Diagramming for Individualized Learning Process Based on Assess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 변두원;정인철;박달원;노영순;김승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70-85
    • /
    • 2004
  • Comparing to the other subject, hierarchy among mathematical contents is strong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order as grades go up. That is, the knowledge that students already have learned, are learning and will learn are closed related from grade to grade. We expect students to be proactive and creative in studying mathematics, which is the goal of 21th century, analyzing their. knowledge structure based on the hierarchy of knowledge through assessment. Especially, using computer system we provide students with substantial feedback for the assessment as well as objective validity is increased along with speedy and exact process in a bid to help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grow.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assessment data by applying knowledge spaces to computer system and develops efficient method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o diagram each student's knowledge structure.

  • PDF

예비초등교사들의 평가전략에 대한 인식 조사 (Recognition of Assessment Strategi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고은성;박미미;이은정;박민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291-312
    • /
    • 2017
  • 최근 평가 관련 연구들에서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도와야 한다는 형성적 목적에 주목함에 따라,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하고 적절한 평가전략 및 평가 도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평가전략 및 평가 도구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직접 경험하고 각각의 장단점 및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여섯 가지 평가전략(피드백의 활용, 평가 기준의 제시, 평가의 모범사례 제시, 자기평가, 동료평가, 지필평가)을 경험하도록 하고, 각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초등교사들은 한 학기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을 경험하였으며, 학기말 설문지를 통해 각 평가전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예비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인식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도움이 된 평가전략을 다르게 제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평가전략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 평가의 형성적 목적을 포함하여 평가의 목적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의 확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수피드백을 적용한 성찰일지 작성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Writing Reflection Journal with Teaching Feedback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김진영;김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03-51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이 학습동기, 학습태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8년-2019학년도 건강사정 및 실습수업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교수피드백이 적용된 성찰일지 작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사전점수를 공변량 처리하여 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t=2.10, p=.037), 학습태도(t= 4.54, p=.034)에서 시행군과 대조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대학생의 교과목에 교수의 피드백이 제공된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다면 학습동기, 학습태도 향상을 가져온다고 할 수 있겠다.

서술형 평가에서의 교사평가와 동료평가 활동 경험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 백성혜;류혜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3-59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교사평가와 동료평가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소도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2개반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평가는 10차시 수업 동안 진행되었으며, 교사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수업 중에 실시하였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소집단 별로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교사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와 학생평가에서 동일한 채점 기준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하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성취도가 하위인 학생들만 비교한 결과 교사평가를 실시한 학급보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학급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결과에서도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 평가가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별히 과학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LES를 이용한 초음속 충돌제트의 피드백 메커니즘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Feedback Mechanism of Supersonic Impinging Jet using LES)

  • 오세홍;최대경;김원태;장윤석;최청열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1-59
    • /
    • 2017
  • Steam jets ejected from a rupture zone of high energy pipes may cause damage to adjacent structures. This event could lead to more serious accidents in nuclear power plants. Therefore,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high energy pipes of nuclear power plant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ANSI / ANS 58.2 technical standard. However, the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USNRC) has recently pointed out non-conservatism in existing high energy pipe fracture evaluation methods, and required the assessment of the unsteady load of the jet caused by a potential feedback mechanism as well as the impact range of steam jet, the jet impact loads and the blast wave effects at the initial breakage stage. The potential feedback mechanism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vortex formed by impingement jets amplifies vortex itself and induces jet vibration in a shear layer. In this study, CFD methodology using the LES turbulence model is established and nume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ynamic behavior of impingement jets and the potential feedback mechanism during jet impingement. Obtained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an empirical correlation and experiment.

컴퓨터 기반 과학 수행평가 문항 개발 : 전류계와 전압계 회로 연결 실험 (The Development of Science Item on the Computer-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 Experiment on Constructing Circuits with an Ammeter and a Voltmeter)

  • 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48-358
    • /
    • 2013
  • 과학교육에서 컴퓨터는 교수 학습 뿐 아니라 평가의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죽, 컴퓨터의 장점을 살린 컴퓨터 기반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는 주로 과정 중심이 아닌 결과 중심의 평가이며, 피험자의 수만큼 컴퓨터가 있어야 하므로 학교의 정규 시험으로 활용하기 곤란하다. 그러나 수행평가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가 과제가 미리 공개되므로 학급별 또는 학생별로 평가 시간이 다르게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험기구를 사용한 실험평가를 대체할 수 있는 컴퓨터 기반 수행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물리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육에 있어 이러한 기능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및 어려운 점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반영하여 전류계와 전압계를 포함한 회로를 구성을 하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컴퓨터 기반 문항은 실제의 실험기구를 사용하여 진행되는 평가와 유사하게 구성하였으며 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행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수행 결과를 자동적으로 채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가 학생들의 수행 결과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이러닝 협동학습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ollaborative e-Learning Evaluation Model)

  • 오양가 체렝검버;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5-14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valuation model that enables cooperative learning using e-Learning system. Even i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re no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the team project deliverable submitted by the student to the online system can be viewed by the teacher, enabling the teacher to assess the student not only based on the project but also in many other aspects. The proposed e-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model allows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factors, using such factors in assessment of the student's activities which are performed through the e-learning system, and the feedback of the results to the student so that the student is further motivated for learning. The teacher perform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uch factors, which is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student's assessment.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n various e-learning systems such as Moodle is expected to motivate the student for learning, produces better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provides greater convenience of assessment to the teacher, and improves fairness of assessment by showing the student's activities in real time.

System dynamics simulation of the thermal dynamic processes in nuclear power plants

  • El-Sefy, Mohamed;Ezzeldin, Mohamed;El-Dakhakhni, Wael;Wiebe, Lydell;Nagasaki, Shiny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1540-1553
    • /
    • 2019
  • A nuclear power plant (NPP) is a highly complex system-of-systems as manifested through its internal systems interdependence. The negative impact of such interdependence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2011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As such, there is a critical need for new strateg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risk assessment techniques (e.g. the use of static event and fault tree schemes), particularly through simulation of the nonlinear dynamic feedback mechanisms between the different NPP systems/components. As the first and key step towards developing an integrated NPP dynamic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latform that can account for such feedback mechanisms, the current study adopts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approach to model the thermal dynamic processes in: the reactor core; the secondary coolant system; and the pressurized water reactor. The reactor core and secondary coolant system parameters used to develop system dynamics models are based on those of the Palo Verde Nuclear Generating Station. These three system dynamics models are subsequently validated, using results from published work, under different system perturbations including the change in reactivity, the steam valve coefficient, the primary coolant flow, and others. Moving forward, the developed system dynamics models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interacting processes within a NPP to form the basis of a dynamic system-level (systemic) risk assessment tool.

성취기준 통합 데이터 모델을 통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an Achievement Evaluation Support System Us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Integrated Data Model)

  • 정현숙;김정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5-125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성취평가제의 적용과 확산으로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 평가에서 있어서 경쟁적인 상대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각각의 평가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학업 성취를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설계와 수행 및 평가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성취수준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료, 수업설계 자료, 학습내용 자료, 평가설계 자료, 평가결과분석 자료 및 피드백 자료들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기반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한 통합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대쉬보드 웹페이지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학생평가지원포털과의 검색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퀄리티를 평가하였다.

동료평가의 현황과 전망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s of Peer Assessment)

  • 박주용;박정애
    • 인지과학
    • /
    • 제29권2호
    • /
    • pp.85-104
    • /
    • 2018
  • 동료평가란 학생들이 다른 학생의 글, 발표, 집단 활동과 같은 평가 대상이 될 수 있는 모든 결과물이나 수행 과정에 대해 점수를 매기거나 의견을 제공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동료평가는 채점부담으로 인해 잘 활용되지 않는 글쓰기 기회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가를 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관 논문에서는, 주요 동료평가 시스템과 동료평가를 사용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소개한 다음, 동료평가 확산의 장애 요인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동료평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고 동료평가가 실제 교육 장면에서 활용되어, 우리나라의 평가와 수업 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