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cal microbial popul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2초

자돈에 투여한 Lactobacillus reutri BSA-131의 생균제 효과 (Probiotic Effect of Lactobacillus reutri BSA-131 on Piglets)

  • 장영효;김종근;김홍중;김원용;김영배;박용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13
    • /
    • 2000
  •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obiotic effect of Lactobacillus reuteri BSA-131 by investigating the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microbial population of piglets. Five dietary treatment groups, the basal diet (control, BD), basal diet with antibiotics(BA), basal diet with 2$\times$106/g of probiotics (BP6), 2$\times$108/g of probiotics (BP8) and basal diet with antibiotics and 2$\times$108/g probiot-ics(BAP8) were divised. Each dietary treatment group was consisted of 1 month of age piglets(male 13, female 12). Fecal micro-flora, body weights and feed consumption were measured at before, after and stop feeding of probio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FU of fecal Enterobacteriaceae of piglets of the group BA, BP6, BP8 and BAP8, were reduced (P<0.05) compared to control BA. On the contrary, Lactobacillus counts were increased significan시 (P<0.001) in all groups fed probiotics dites, but not antibiotics. Body weight of probiotics treated piglets were improved 5% (p<0.001) in BP6 group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antibiotic treated piglets BAP group was 27% (P<0.001) higher than BA group. The amount of feed consumption value of probiotics treated piglets showed 21-30% (P<0.001) lower intake than the control group, whereas antibiotic treated piglets BAP was 20% (P<0.001) higher than BA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weights and feed to gain ratios were improves 19% when compared to control piglets for groups fed diets probiotic. It is very suggestive that productivity of probiotic piglets would be economical in pig farming.

  • PDF

Intestinal Microbial Dysbiosis in Beagles Naturally Infected with Canine Parvovirus

  • Park, Jun Seok;Guevarra, Robin B.;Kim, Bo-Ra;Lee, Jun Hyung;Lee, Sun Hee;Cho, Jae Hyoung;Kim, Hyeri;Cho, Jin Ho;Song, Minho;Lee, Ju-Hoon;Isaacson, Richard E.;Song, Kun Ho;Kim, Hyeun Bu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391-1400
    • /
    • 2019
  • Canine parvoviral enteritis (PVE) is an important intestinal disease of the puppies; however, the potential impact of the canine parvovirus (CPV) on the gut microbiota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gut microbial shifts in puppies naturally infected with CPV.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healthy dogs and those diagnosed with PVE at 4, 6, 8, and 12 weeks of age. The distal gut microbiota of dogs was characterized using Illumina MiSeq sequencing of the bacterial 16S rRNA genes. The sequ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QIIME with an Operational Taxonomic Unit definition at a similarity cutoff of 97%.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PV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icrobial dysbiosis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Alpha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and evenness in dogs with PVE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healthy dogs. At the phylum level, the proportion of Proteobacteria was significantly enriched in dogs with PVE while Bacteroidetes was significantly more abundant in healthy dogs (p < 0.05). In dogs with PVE, Enterobacteriaceae was the most abundant bacterial family accounting for 36.44% of the total bacterial population compared to only 0.21% in healthy puppies. The two most abundant genera in healthy dogs were Prevotella and Lactobacillus and their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of dogs with PVE (p < 0.05).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disturbances of gut microbial communities were associated with PVE in young dogs. Evaluation of the roles of these bacterial groups in the pathophysiology of PVE warrants further studies.

자돈 및 비육돈에 있어 생균제의 첨가가 생산성 및 분내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Gas Emmission in Nursing and Finishing Pig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김지훈;민병준;이원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05-314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돈시기에 있어서는 열 안정성을 갖는 Saccharomyces cerevisiae (SC)를 첨가하여 성장 및 분중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비육돈시기에 있어서는 복합생균제 (complex probiotic : CPB, Phichia anomala ST, Galactomyces geotrichum SR59, Thiobacillus sp.)를 첨가하여 성장 및 분중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은 3원 교잡종 자돈 72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 체중은 10.53${\pm}$0.02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건조유청-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대조구 (CON; 기초사료), 대조구 사료내 SC를 0.2% (SC0.2)와 0.4% 첨가한 구 (SC0.4)로 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양시험 개시 후, 7일과 14일에 채취한 분내 젖산균 균수에 있어서는 SC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분내 젖산균 균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inear effect, P$<$0.01). 또한, 대장균수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개시 후 7일령에서 SC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inear effect, P$<$0.02; quadratic effect, P$<$0.03). 시험 2는 3원 교잡종 비육돈 45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 체중은 49.71${\pm}$0.45kg이었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대조구 (CON; 기초사료), 대조구 사료내 CPB를 0.2% (CPB0.2)와 0.3% 첨가한 구 (CPB0.3)로 3개 처리로 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CPB0.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일당증체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CPB0.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있어서는 CPB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으며 (P$<$0.05), 휘발성 지방산중 propionic acid에 있어서는 CPB0.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P$<$0.05). 결론적으로, 생균제 (SC)의 첨가는 자돈시기에 있어서는 분내 젖산균수의 증가와 대장균수의 감소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CPB는 비육돈 시기에 있어서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분내 가스 발생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난황항체(IgY) 급여가 Holstein 송아지의 성장능력 및 면역관련 혈액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unoglobulin Y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Holstein Calves)

  • 정희승;정근기;장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21-328
    • /
    • 2009
  • 본 연구는 초유 급여를 마친 갓 태어난 Holstein 송아지 14두를 대조구(Con) 및 시험구(IgY)로 나누어 49일 동안 대용유를 급여하면서 난황항체(IgY구)를 1주일 동안 투여하여 사양성적, 분변 상태 및 미생물 균총, 혈액내 생화학적 성분 및 면역관련 지표인 백혈구 성상을 조사하여 가장 바람직한 송아지 포유 및 육성 방법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로서 포유 송아지에게 IgY 투여시 체중 및 증체는 대조구(Con) 및 시험구(IgY)간에 유의적 차이 없이 모두 비슷한 성적을 보였다. 송아지 분변의 대장균(E. coli) 및 유산균 총균수를 조사한 결과 IgY 투여에 따른 대장균 및 유산균 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분의 상태는 시험구에서 7주째 유의적으로(P<0.05) 고형상태로 배설되었다. 송아지 혈액의 백혈구 감별계수(%)를 조사한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염기구 등의 상대적 %는 모든 구에서 정상적인 백혈구 감별 계수를 보여 IgY 투여에 따른 면역 반응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혈액내 존재하는 총 단백질, albumin 및 IgG 등에서도 대조구 및 시험구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포유 송아지에서 1주 동안 IgY 투여는 증체, 면역작용 및 분변 미생물의 균총에는 특이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어, 송아지에게 생후 24시간 이내 초유를 정확하게 급여하고 사양관리에 충실 할 경우 송아지의 포유 및 육성은 성공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posure to low concentrations of mycotoxins triggers unique responses from the pig gut microbiome

  • Moon, Sung-Hyun;Koh, Sang-Eog;Oh, Yeonsu;Cho, Ho-Se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9-44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gut microbiome shifts when pigs were exposed with low concentrations of mycotoxins, deoxynivalenol (DON) and zearalenone (ZEN) in feed. Fifteen of pigs, 15 kg in weight which were negative for PRRSV and PCV2 were purchased, acclimatized until 20 kg in weight, and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the DON group (DON treated), the ZEN group (ZEN treated) and the CTL (untreated negative control). DON and ZEN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30 days at 0.8 mg/kg (800 ppb) and 0.20 mg/kg (200 ppb) in feed, respectively. After extraction of microbial DNA from intestine and fecal samples, sequenc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the Ion PGM using an Ion 316 V2 chip and Ion PGM sequencing 400 ki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duodenum, jejunum and ileum of the DON and ZEN groups presented low-abundant OTUs compared with the CTL group. OTUs in cecum, colon and feces were determined more than in small intestine of all three groups. However, the CTL group yielded more OTUs than other two groups in inter-group comparison. It is not fully clarified how the richness and abundance in microbiome functions in the health condition of animals, however, the exposure to DON and ZEN has caused microbial population shifts representing microbial succession and changes following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porcine gut microbiome. The metabolomic analysis correlate with microbiome analysis is needed for further study.

Enhancing Mulberry Leaf Meal with Urea by Pelleting to Improve Rumen Fermentation in Cattle

  • Tan, N.D.;Wanapat, M.;Uriyapongson, S.;Cherdthong, A.;Pilaju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52-461
    • /
    • 2012
  • Four, ruminally fistulated crossbred (Brahman${\times}$native) beef cattle with initial body weight of $420{\pm}15kg$ were randomly assigned according to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mulberry leaf pellet (MUP) supplementation at 0, 200, 400 and 600 g/hd/d with rice straw fed to allow ad libitum intake. All steers were kept in individual pens and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at 5 g/kg of body weight daily. The experiment was 4 periods, and each lasted 21 d. During the first 14 d, all steer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ad libitum and during the last 7 d, they were moved to metabolism crates for total urine and fecal collection.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MUP levels resulted in linearly increasing rice straw and total intakes (p<0.05). Ruminal temperature and pH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UP supplementation while $NH_3$-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p<0.05) and maintained at a high level (18.5 mg/dl) with supplementation of MUP at 600 g/hd/d. Similarly, viable total bacteria in the rumen and cellulolytic bacteria were enriched by MUP supplementation at 600 g/hd/d. However, the rumen microbial diversity determined with a PCR-DGGE technique showed similar methanogenic diversity between treatments and sampling times and were similar at a 69% genetic relationship as determined by a UPGMA method. Based on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MUP at 600 g/hd/d improved DM intake, ruminal $NH_3$-N, and cellulolytic bacteria thus iimproving rumen ecology in beef cattle fed with rice straw.

사료내 Natufermen® 첨가가 이유 자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fermen® Supplementation to the Diet on the Perfermance of Weanling Pigs)

  • 임희석;김병한;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81-988
    • /
    • 2004
  • 자돈사료내 Aspergillers oryzae를 주 균주로 하는 생균제제인Natufermen$^{(R)}$을 첨가시 생산성 및 분중 암모니아 발생량, 영양소 소화율, 혈청내 IgG, 분중 미생물 균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6주간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유자돈 48두(3원교잡종(Y${\times}$L${\times}$D), 평균 초기체중 7kg$\pm$0.05)를 4처리 4반복 반복당 3두씩 배치하여 6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처리는 대조구(C), $C^+$Natufermen$^{(R)}$ 0.1%, $C^+$Natufermen$^{(R)}$ 0.2%, $C^+$Natufermen$^{(R)}$ 0.3% 이었다. 6주간의 사양성적에서 일당 증체량은 Natufermen$^{(R)}$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사료효율은 0.2% Natufermen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건물, 회분, 인의 소화율이 Natufermen$^{(R)}$ 첨가구들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조단백질 소화율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혈청내 IgG 농도는 Natufermen$^{(R)}$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 3주째 Natufermen$^{(R)}$ 0.1%, 0.2%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분중 Lactobacilli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자돈사료내 Natufermen$^{(R)}$ 첨가는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며 건물, 조회분, 인의 소화율을 증가시키며, 분중 Lactobacilli 균총을 증가시켰다. 혈액내 IgG 수준은 Natufermenv$^{(R)}$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전라북도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온도와 수질에 따른 농업용수의 병원성대장균 O157:H7 밀도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in Jeollabuk-do and the Population Changes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Agricultural Water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 황인준;함현희;박대수;채효빈;김세리;김황용;김현주;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4-261
    • /
    • 2019
  • 농업용수는 채소류의 식중독세균 오염의 주요 경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서 2018년 4월, 7월, 10월에 31지점에서 수집한 지표수 시료와 2018년 4월 7월에 20지점에서 수집한 지하수 시료의 위생지표세균 밀도를 조사하였다. 지표수에서는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2.7±0.55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9±0.71 log CFU/100 mL, 대장균 1.4±0.58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7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1.9±0.58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4±0.37 log CFU/100 mL, 대장균 1.0±0.33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조사시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질소량(T-N), 질산성질소(NO3-N) 등 유기물 함량이 높은 용수에서 E. coli O157:H7의 생존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서의 E. coli O157:H7 감소율은 25℃>35℃>5℃>1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북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수질과 온도가 E. coli O157:H7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예측하고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모돈 사료 내 Portulaca oleracea L.의 첨가가 번식성적,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and Fecal Microflora in Multiparous Sows)

  • 오승민;최요한;정현정;전세민;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77-284
    • /
    • 2020
  • 본 실험은 모돈 사료 내 Portulaca oleracea L.(POL)의 첨가가 번식성적,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총 20두의 모돈(Landrace×Yorkshire; 229.2±1.15 kg)을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에 기반하여, 2처리 10반복, 반복당 1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기초사료 내 POL을 0.05% 첨가한 처리구가 포함되었으며, 분만 직후부터 포유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사료 내 POL을 첨가하였을 때, 모돈의 체중, 등지방두께 및 번식성적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혈액성상에서 사료 내 POL의 첨가하였을 때, 모돈의 림프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면역반응에서 사료 내 POL을 첨가하였을 때 포유모돈의 혈 중 IL-1β의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IgG는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0.051). 분 중 미생물에서는 POL 처리구에서 포유모돈의 coliforms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p=0.063). 본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사료 내 POL의 첨가는 번식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모돈의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Physiology of Small and Large Intestine of Swine - Review -

  • 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608-619
    • /
    • 1998
  • The small and the large intestine of swine represent the organs that extract nutrients from feedstuffs through digestion and fermentation and that allow their absorption and incorporation into the blood circulation. Special attention is directed towards the small intestine of young pigs since the transition to a solid diet at weaning exerts major impacts o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integrity of the small intestine. Dietary factors involved in postweaning changes of gut morphology and biochemistry such as removal of bioactive compounds in sows milk at weaning, anti-nutritional factors in weaner diets, dietary fiber and the role of voluntary feed intake will be elucidated. The microbial function of the large intestine which is carried out by a diverse population of microorganisms is dependent on substrate availability. Short chain fatty acids as main fermentation products contribute to the energy supply of the host but they are also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integrity of the epithelium in the colon. As a result of bacterial nitrogen assimilation in the large intestine, nitrogen is shifted from the urinary to the fecal excretion route thus saving metabolic energy to the pig because less ammonia would become available for conversion to u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