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ature detector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컨볼루셔널 신경망과 케스케이드 안면 특징점 검출기를 이용한 얼굴의 특징점 분류 (Facial Point Classifier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and Cascade Facial Point Detector)

  • 유제훈;고광은;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41-246
    • /
    • 2016
  • Nowadays many people have an interest in facial expression and the behavior of people. These are human-robot interaction (HRI) researchers utilize digital image processing,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for their studies.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algorithms are very important for face recognition, gaze tracking, expression, and emotion recognition. In this paper, a cascade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is used for finding facial feature points such as the eyes, nose and mouth. However, the detector has difficulty extracting the feature points from several images, because images have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size, color, brightness, etc.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using a modified cascade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structure of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is based on LeNet-5 of Yann LeCun. For input data of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outputs from a cascade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that have color and gray images were used. The images were resized to $32{\times}32$. In addition, the gray images were made into the YUV format. The gray and color images are the basis for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Then, we classified about 1,200 testing images that show subject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a cascade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because the algorithm provides modified results from the cascade facial feature point detector.

그레디언트 행렬 고유치의 기하 평균을 이용한 특징점 검출 (Feature Detection using Geometric Mean of Eigenvalues of Gradient Matrix)

  • 예철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69-776
    • /
    • 2014
  • 동일 대상에 대한 두 영상의 등록을 위해서는 두 영상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특징점 간의 대응관계를 찾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화소의 밝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그레디언트 행렬의 고유치 기하평균에 기반한 새로운 특징점 검출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특징점 검출기는 그레디언트 행렬의 두 고유치의 기하평균 크기에 비례하고 기하 평균 크기가 동일한 경유 두 고유치의 상대적인 차이에 비례하여 가변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제안한 특징점 검출기의 성능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코너가 존재하는 합성 영상과 항공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사용하여 코너 검출의 위치 오차를 분석하였다. 제안한 검출기의 위치 오차는 Gaussian smoothing scale 조건하에서 대표적인 코너 검출기인 Harris detector의 위치 오차보다 작은 결과가 얻어졌다.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한 강인한 형상 검출기 개발 (Development of Robust Feature Detector Using Sonar Data)

  • 이세진;임종환;조동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5-42
    • /
    • 2008
  • This study introduces a robust feature detector for sonar data from a general fixed-type of sonar ring. The detector is composed of a data association filter and a feature extractor. The data association filter removes false returns provided frequently from sonar sensors, and classifies set of data from various objects and robot positions into a group in which all the data are from the same object. The feature extractor calculates the geometries of the feature for the group. We show the possibility of extracting circle feature as well as a line and a point features.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real home environment with a real robot.

Complexity based Sensing Strategy for Spectrum Sensing in Cognitive Radio Networks

  • Huang, Kewen;Liu, Yimin;Hong, Yuanquan;Mu, Juns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9호
    • /
    • pp.4372-4389
    • /
    • 2019
  • Spectrum sens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dle spectrum detection in Cognitive Radio Networks. However, specialized discussion is on complexity-based sensing strategy for spectrum sensing seldom considered. Motivated by this, this paper is devoted to complexity-based sensing strategy for spectrum sensing. Firstly, three efficiency functions are defined to estimate sensing efficiency of a spectrum scheme. Then a novel sensing strategy is proposed given sensing performance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After that, the proposed sensing strategy is extended to energy detector, Cyclostationary feature detector, covariance matrix detector and cooperative spectrum detector. The proposed sensing strategy provides a novel insight into sensing performance estimation for its consideration of both sensing capacity and sensing complexity. Simulations analyze three efficiency functions and optimal sensing strategy of energy detector, Cyclostationary feature detector and covariance matrix detector.

Comparative Study of Corner and Feature Extractors for Real-Time Object Recognition in Image Processing

  • Mohapatra, Arpita;Sarangi, Sunita;Patnaik, Srikanta;Sabut, Sukant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4호
    • /
    • pp.263-270
    • /
    • 2014
  • Corner det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re essential aspects of computer vision problems such as object recognition and tracking. Feature detectors such as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yields high quality features but computationally intensive for use in real-time applications. The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FAST) detector provides faster feature computation by extracting only corner information in recognising an object.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efficient object detection algorithms with respect to efficiency, quality and robustness by comparing characteristics of image detectors for corner detector and feature extractors. The simulated result shows that compared to conventional SIFT algorithm, the object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FAST corner detector yields increased speed and low performance degradation. The average time to find keypoints in SIFT method is about 0.116 seconds for extracting 2169 keypoints. Similarly the average time to find corner points was 0.651 seconds for detecting 1714 keypoints in FAST methods at threshold 30. Thus the FAST method detects corner points faster with better quality images for object recognition.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특징점 정합 (Matching Of Feature Points using Dynamic Programming)

  • 김동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1호
    • /
    • pp.73-8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기준영상과 탐색영상 사이의 대응되는 특징 점을 정합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두 영상에서 특징 점을 찾기 위하여 Harris의 코너 점 검출기를 사용하였다. 기준영상의 각 특징 점에 대해, 정규상관계수가 임계치 이상인 탐색영상의 특징 점들로 후보 정합 점을 구한다. 최종적으로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후보 정합 점들 중에서 대응되는 특징 점을 구한다. 실험으로 인위적인 영상과 실제 영상에서 특징 점을 정합 하는 결과를 보였다.

눈 검출에서의 픽셀 선택을 이용한 신뢰 척도 (A New Confidence Measure for Eye Detection Using Pixel Selection)

  • 이용걸;최상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7호
    • /
    • pp.291-29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눈 검출에서의 픽셀 선택 방법을 이용한 편향 판별 분석(BDA) 기반의 신뢰 척도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hybrid 눈 검출기를 설계한다. 이를 위해 눈 조각 영상에서 먼저 판별 분석에 유용한 픽셀들을 선택하여 부분 영상을 만들고, 부분 영상에 BDA를 적용하여 신뢰 척도를 위한 특징 공간을 구성한다. Hybrid 눈 검출기를 구성하는 기본 검출기로는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가진 HFED와 MFED를 사용하였다. 주어진 영상에 대해, 기본 검출기들에 의해 생성된 눈 좌표를 가지고 생성한 눈 조각 영상의 부분 영상들을 BDA 특징공간에 투영하여 positive 샘플의 평균과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그 정확성을 측정하고, 기본 검출기의 결과들 중에서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최종 눈 검출 결과로 사용한다. 다양한 얼굴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한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은 검출된 눈 좌표의 정확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검출된 눈 좌표를 이용한 얼굴 인식 성능에서도 다른 방법들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미지 검색을 위한 Haar 웨이블릿 특징 검출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Haar Wavelet Feature Detector for Image Retrieval)

  • 팽소호;김현수;뮤잠멜;김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60-170
    • /
    • 2010
  • 본 논문은 Haar 웨이브릿변환과 평균 박스필터에 기반을 둔 Haar 웨이브릿 특징 검출자를 제안한다. 원 영상을 Haar 웨이브릿 변환을 통해 분해하여 영상의 분산정보를 얻고 영상 식별을 위한 특징정보를 추출한다. 영역을 나타내는 주위영역들 중에 분산이 가장 큰 영역의 관심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국부 분산정보를 비교하는 평균 박스필터를 적용하고 빠른 계산을 위한 적분영상 기법을 사용한다. Haar 웨이브릿 변환과 평균 박스필터를 이용하여 제안한 검출자는 밝기 변화, 스케일 변화, 영상의 회전에 민감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적은 관심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의 DoG 검출자와 Harris corner 검출자에 비해 더 높은 repeatability와 효율성 그리고 매칭정확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컬러와 형태 특징을 이용한 블로치 검출 (Blotch Detection using Color and Shape feature)

  • 김병근;김경태;김은이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547-551
    • /
    • 2009
  • 최근, 필름복원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출현과 영상보존의 중요성으로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다. 블로치(blotch)는 오래된 영상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손상요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의 컬러특징과 방향분포 변화를 이용한 블로치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두가지 모듈로 구성 된다. 블로치의 불연속적인 특징을 이용한 SROD 검출기로 불로치의 후보지를 검출하고, 후보지로부터 블로치의 컬러와 형태 특징을 이용한 신경망으로 블로치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평가 하기 위해 실제 오래된 영상으로부터 실험 하였다.

  • PDF

3차원 단백질 분자 인식을 위한 복합 추출기 (Hybrid Retrieval Machine for Recognizing 3-D Protein Molecules)

  • 이항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9권5호
    • /
    • pp.990-995
    • /
    • 2010
  • Harris corner detector is commonly used to detect feature points for recognizing 2-D or 3-D objects. However, the feature points calculated from both of query and target objects need to be same positions to guarantee accurate recognitions. In order to check the positions of calculated feature points, we generate a Huffman tree which is based on adjacent feature values as inputs. However, the structures of two Huffman trees will be same as long as both of a query and targets have same feature values no matter how different their positions are. In this paper, we sort feature values and calculate the Euclidean distances of coordinates between two adjacent feature values. The Huffman Tree is generated with these Euclidean distances. As a result, the information of point locations can be included in the generated Huffman tree. This is the main strategy for accurate recognitions. We call this system as the HRM(Hybrid Retrieval Machine). This system works very well even when artificial random noises are added to original data. HRM can be used to recognize biological data such as proteins, and it will curtail the costs which are required to biological exper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