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components

검색결과 880건 처리시간 0.023초

질소비료 시용량에 따른 옥로차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Nitrogen Level on Yield and Quality of Gyokuro Tea)

  • 박장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0-166
    • /
    • 2000
  • 차광재배 후 채취한 차잎으로 제다(製茶)한 옥로차의 시비량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토양은 일반토양보다 유기물($59.8g\;kg^{-1}$)과 유효인산($1,285mg\;kg^{-1}$)함량은 많았으나 pH(4.79)가 낮은 약산성토양이었다.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과도한 질소비료 시용시 수량은 증가되지 않았다.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총질소, 총아미노산, 카페인, 엽록소함량은 증가하였으나, 탄닌과 비타민 C 함량은 별 차이가 없었다.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데아닌, 아르기닌 함량은 증가하였고, 반면에 아스파틱산 세린, 글루탐산은 감소하였다. 총지방산 함량은 $2.850{\sim}3.012mg\;100g^{-1}$이었고 특히 질소 $80kg\;10a^{-1}$에서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함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았다. 질소 $80kg\;10a^{-1}$ 처리구기 다른 처리에 비해 관능평가에서 0.2~4.6점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질소 $80kg\;10a^{-1}$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수량도 양호하고 차 품질도 우수하여 차나무의 적정시비량이라 생각된다.

  • PDF

국내 육성 조와 기장 품종의 영양성분 특성 (Nutritional Compositions of Varie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Developed in Korea)

  • 최지명;곽도연;최명은;송석보;박장환;고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37-143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조 8 품종과 기장 4 품종의 영양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조 품종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함량은 73.90~77.58%, 6.39~9.57%, 3.69~4.24% 범위로 나타났고, 기장은 73.40~75.61%, 9.74~12.06%, 2.83~3.40%로 나타나 조가 기장보다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방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와 기장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품종은 단아메(조), 금실찰(기장)이고, 지방 함량이 높은 품종은 조황메(조), 만홍찰(기장)이었다. 전체 다량 무기질 함량은 조가 기장보다 높고, 측정 무기질 중 K 함량이 가장 높았다. 조 품종 중에서 경관 1호의 Ca, K 함량이 가장 높았고, 경관 2호는 Mg 함량이 높았다. 기장은 품종 간에 Ca 함량이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조, 기장 모두 leucine, phenylalanine, valine이 가장 높았으며, 조가 기장 보다 단백질 함량이 낮은 반면에 전체적인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경관1호(조), 황실찰(기장)이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이었다. 조와 기장 모두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에서 육성된 조, 기장 품종에 대한 영양성분에 관련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신품종 육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The Rol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ontrol of Fungal Growth and Mycotoxins)

  • 김지후;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28-1139
    • /
    • 2020
  • 최근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서 식품과 농산물에 Aspergillus, Fusarium 및 Penicillium속에 해당하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aflatoxins, fumonisins, ochratoxins, patulin, trichothecenes, zearalenone등의 곰팡이 독소로 인해서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 및 소브산과 같은 보존료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의 소재로부터 이를 대체할 만한 항진균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총설에서는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산균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균은 저분자 화합물인 유기산, reuterin, 단백질 유래 화합물, 하이드록시 지방산, 페놀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하여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으며, 또한 유산균의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흡착, 곰팡이 독소의 분해 및 곰팡이 독소의 생산 저해 등을 통하여 곰팡이 독소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있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유산균은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산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 갖추고 있으므로, 유산균은 식품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육을 조절하는 소재로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Plasma metabolites associated with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exes indicate the effect of caging stress on mallard ducks (Anas platyrhynchos)

  • Zheng, Chao;Wu, Yan;Liang, Zhen Hua;Pi, Jin Song;Cheng, Shi Bin;Wei, Wen Zhuo;Liu, Jing Bo;Lu, Li Zhi;Zhang, Ha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224-235
    • /
    • 2022
  • Objective: Cage rearing has critical implications for the laying duck industry because it is convenient for feeding and management. However, caging stress is a type of chronic stress that induces maladaptation. Environmental stress response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but no detailed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comprehensive changes in plasma metabolites at different stages of caging stress in ducks. We designed this experiment to analyze the effects of caging stress on performance parameters and oxidative stress indexes in ducks. Methods: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metabolites in duck plasma at 5 (CR5), 10 (CR10), and 15 (CR15) days after cage rearing and traditional breeding (TB). The associated pathways of differentially altered metabolites were analyzed using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databas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aging stress decreased performance parameters, and the plasma total superoxide dismutase levels were increased in the CR10 group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In addition, 1,431 metabolites were detected. Compared with the TB group, 134, 381, and 190 differentially produced metabolites were identified in the CR5, CR10, and CR15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 that the selected components sufficiently distinguish the TB group and CR10 group. KEGG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tially altered metabolites in duck plasma from the CR5 and TB groups were mainly associated with ovarian steroidogenesis, biosynthesi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phenylalanine metabolism.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performance, blood indexes, number of metabolites and PCA were compared to determine effect of the caging stress stage on ducks. We inferr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caging-stressed ducks were in the sensitive phase in the first 5 days after caging, caging for approximately 10 days was an important transition phase, and then the duck continually adapted.

환경요인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화학적 특성과 품질과의 관계 II. 토양수분의 영향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Oriental Tobaccos to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I.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as Affected by Soil Moisture)

  • 류명현;정형진;김용옥;이병철;유익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2-247
    • /
    • 1988
  • 향미 원료용 연초의 생육중 토양수분에 따른 잎담배의 화학성분과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초장, 최대엽의 장, 폭등 개체생장이 증대되고 개화일수가 짧았으나 건조엽의 품질은 낮았다. 2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생엽중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높고, 건조엽중 니코틴, 석유에텔 유출물, 전질소함량이 낮았으며, 회분함량 및 pH는 높아졌다. 3.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배휘발생 유기산과 고급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나 차이는 크지 않았다. 4. 토양수분이 많을수록 향미엽의 특성성분인 3-methyl pentanoic acid 등의 휘발성 유기산 함량의 감소가 컸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중성부 함량도 감소 경향이었다. 5. 토양수분이 다른 조건에서 생육한 잎담배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석유에텔 추출물, 휘발성 유기산, 휘발성 중성부, 회분함량 및 pH등을 이용한 지수가 바람직하였다.

  • PDF

율무의 등숙에 따른 종실 성분함량 변화 (Changes of Seed Chemical Component during Grain Filling in Job′s Tears)

  • 김율호;이봉호;이정일;허한순;이상철;김봉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2-97
    • /
    • 1994
  • 율무 종실의 등숙과정에 따른 성분함량의 변화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율무종실의 생리적 성숙기 구명 및 재배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조숙종인 동북종과 만숙종인 율무 001를 공시하여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중 전당함량은 출수직후부터 15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 35일까지는 감소되었으며 전분함량은 등숙이 완료될때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기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품종간의 증감 경향을 보면 단백질 함량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기름 함량은 비슷하였다. 3. 등숙에 따른 성분간의 상관관계에서 전분함량은 백립중, 기름함량, 알칼리 붕괴도, 발아율과는 고도의 정의 상관을, 전당 및 단백질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각각의 성분함량이 최대에 달하는 시기를 2차 회귀방정식에 의해 추정한 결과 전분함량은 38일, 백립중은 400, 발아율은 43일이었다. 따라서 율무종실의 생리적 성숙기는 출수후 40일경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참깨 품종개량에 관한 연구 제2보 지역차이 및 기상환경에 따른 참깨 지방산변화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II. FattyAcid Composition of Sesame Seeds under Different Climatic Conditions and Locations)

  • 이정일;이승택;오성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0-95
    • /
    • 1981
  • 참깨 재배지역 차이에 따른 품종문제를 추적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였다. 1. 참깨 재배지역에 따른 품질은 남부지역에서 생산된 것보다 중북부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리놀산함량이 많았다. 2. 러놀산함량은 등열기간 중 적산온도와 r =-0.595**의 부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613**의 정상관을 보여서 등열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일사양이 많으며 강우량도 많은 조건에서 리놀산함량 높았다. 3. 오레인산함량에서는 리놀산의 경우와 달리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참깨가 중북부산 참깨보다 오레인산함량이 더 높았다. 4. 오레인산함량은 등숙기간 중 적정평균 온도와 r=0.644**의 정상관관계를 일사량과는 r=-0.456**의 부상관 관계를 보였다. 5. 참깨 지방산중 오레인산과 리놀산함량은 이두 지방산함량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음으로 서로 상대적인 함량관계를 가지고 있는 경향이다. 6. 참깨의 유질은 주산지인 남부보다 중북부산 참깨의 품질이 더 우수하다.

  • PDF

Does supplementing laying hen diets with a herb mixture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excessive inclusion of extruded flaxseed?

  • Hossein Hosseini;Noah Esmaeili;Aref Sepehr;Mahyar Zare;Artur Rombenso;Raied Badierah;Elrashdy M. Redwan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4호
    • /
    • pp.629-641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truded flaxseed with and without herbs mixture on egg performance, yolk fatty acids (FAs), lipid components, blood biochemistry, serological enzymes, antioxidants, and immune system of Hy-Line W-36 hens for nine weeks. Methods: Two hundred forty laying hen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eight treatments, resulting in six replicates with five hens. Graded levels of dietary extruded flaxseed (0, 90, 180, and 270 g/kg) with and without herbs mixture (24 g/kg: garlic, ginger, green tea, and turmeric 6 g/kg each) were designed as treatments. Results: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that hens fed herbs mixture had a higher value of egg production, yolk high-density lipoprotein (HDL),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white blood cell and lower contents of yolk cholesterol, glucose, and blood low-density lipoprotein than those fed diets without herb mixtures (p<0.05). The Flx27 (270 g/kg flaxseed) (153.5 g/kg n-3 FAs) and Flx27+H (270 g/kg flaxseed plus 24 g/kg herbs mixture) (150.5 g/kg n-3 FAs) groups were the most promising treatments in terms of yolk n-3 FAs content. In-teraction effect (herbs- flaxseed) for blood cholesterol, HDL, malondialdehyde, glutaredoxin, alanine transaminase, (ALT), aspartate transaminase (AST), haemoglobin and immune parameters was significant (p<0.05). The results showed layers fed herbs mixture (Flx9+H, Flx18+H, and Flx27+H) had a better value of total antibody, immunoglobulin M, immunoglobulin G, ALT, AST, and blood HDL as compared with representative flaxseed levels without herbs. Conclusion: High inclusion levels of extruded flaxseed (270 g/kg) without herbs to enrich eggs with n-3 appears to impair the antioxidant system, immunohematological parameters, and sero-logical enzymes. Interestingly, the herbs mixture supplementation corrected those effects. Therefore, feeding layers with flaxseed-rich diets (270 g/kg) and herbs mixture can be a promising strategy to enrich eggs with n-3 FAs.

Effects of peripartal glucose precursor supplementation on lactation performance and metabolic health of primiparous and multiparous dairy cows

  • Muhammad Uzair Akhtar;Hifzulrahman;Talat Naseer Pasha;Muhammad Avais;Nauman Khan;Ghazanfar Ali Chishti;Mubashar Ali;Muhammad Imran;Muhammad Naeem Tahir;Muhammad Naveed-ul-Haque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69-878
    • /
    • 2023
  • Objective: Hyperketonemia remains a major metabolic issue of serious milk production and a major health concern in early lactation cows. Oral supplementation of glucose precursors (GP) can be used to prevent hyperketonemia in dairy cow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eneficial effects of orally supplementing a mixture of GP on metabolic health indicators and milk production status of primiparous (PP) and multiparous (MP) dairy cows. Methods: Twenty-eight Holstein cows were blocked by expected date of parturition, previous lactation yield, and parity. The cow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ur treatment groups (n = 7 cows/group) based on their parity and GP supplementation: i) PP cows fed basal diet only (PP-CON), ii) PP cows with oral supplementation of GP (PP-GP), iii) MP cows fed basal diet only (MP-CON), and iv) MP cows with oral supplementation of GP (MP-GP). Glucose precursor (glycoline liquid) was orally drenched (300 mL/d) in GP cows from 7 days prepartum through 7 days postpartum. Other than GP supplementation, all cows were fed similar pre- and postpartum basal diets. Results: In both pre- and postpartum periods,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hereas β-hydroxybutyrate and free fatty acids were decreased in GP cows compared with the CON cows. Milk yield and milk components were statistically not different between GP and CON cows over the first 9 week of lactation. The yield of actual milk, energy-corrected milk, 63-days cumulative milk, colostrum yield, and calf birth weight remained higher in MP cows compared with PP cows. Conclusion: Oral drenching of GP around calving can be recommended to successfully improve the metabolic health and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hyperketonemia not only in MP but also in PP dairy cows.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adipogenic activity of Smilax sieboldii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 박서현;이정아;홍성수;안은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69-378
    • /
    • 2023
  • 본 연구는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형성 억제 효과가 어떠한 작용기전에 의해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청가시덩굴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acertannin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조절인자들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형성 및 지방산 합성 관련 인자인 PPARγ, C/EBPα, ADD1/SREBP1c, FAS, aP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축적 인자의 조절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림자원의 항비만 및 고지혈증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