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dietary fiber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6초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 최정숙;안훈희;남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85-892
    • /
    • 2002
  • 표준재배법으로 육성한 주요재배 장려품종 6종(화성, 추청, 오대, 일품, 일미, 동진)의 백미차 현미중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 섬유소 등)을 분석한 결과 1. 도정에 따른 전체적인 무기질의 변화를 보면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마그네슘의 경우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은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품종별로 살펴보면 백미의 경우 추청 품종은 칼슘이, 오대는 인과 마그네슘이, 일품은 나트륨, 칼륨, 아연이, 동진은 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미의 분석 결과에서는 화성은 철이, 추청은 나트륨이, 오대는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이, 동진은 칼륨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2. 쌀 품종별 지방산 조성은 백미의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C18:1이 ,33~41%로 그 비율이 높았고 현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은 백미의 경우 오대쌀을 제외하고 20~33%, 현미는 19~22%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34~44%, 현미가 ,39~45%이었으며 다중불포화지방 산은 백미가 24~42%, 현미가 33~40%를 함유하여 백미차 현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현미의 경우 쌀 품종별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정한 후 백미의 경우 쌀 품종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포가 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쌀 품종별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백미는 11.54~16.93 mg/g, 현미는 13.29~20.24 mg/g로 분석되었다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은 tryptophan이었으며 백미는 0.75~0.98 mgjg, 현미는 0.94~l.19 mg/g이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은 백미와 현미 모두 일미 품종에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도정률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niacin은 10~30%, 비타민 B$_1$은 15~60%, 비타민 B$_2$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50%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미는 일품이, 현미는 화성이 가장 높은 niacin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백미의 경우 일품이, 현미는 일품과 일미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B$_2$는 쌀 품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조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4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3배 높게 함유하였다. 조섬유의 경우 백미는 오대 품종이, 현미는 화성과 일품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고 반면 식이섬유는 백미의 경우 동진이, 현미의 경우 일미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 비율을 나타내었다.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Development and relative validity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 김소혜;이정숙;홍경희;염혜선;남연서;김주영;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103-11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 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 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Effect of seasonal changes on nutritional status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Turkish older adults

  • Ersoy, Nesli;Tasci, Ilker;Ozgurtas, Taner;Salih, Bekir;Doruk, Huseyin;Rakicioglu, Neslis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4호
    • /
    • pp.315-323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Available data suggest that seasonal changes may influence the nutritional status and overal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and related factors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of older adults. SUBJECTS/METHODS: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ver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ingle-center study (male: 11, female: 20).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13 and February 2014 during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taken during each season to assess the seasonal nutrition status of the elderly. Upon analysis of biochemical parameters (retinol, vitamin D and vitamin C), a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evice was utilized whereas an Immulite 2000 device was utilized during analysis of serum folic acid and parathyroid hormone. RESULTS: Fruit, fat, egg and bread consumption varied seasonally in males and females (P < 0.05). During winter, daily energy intake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in other seasons in males (557 kcal) and females (330 kcal) (P < 0.05). Additionally, carbohydrates, vegetable protein, n-3 fatty acid and sodium intake increased in winter, while the n-6/n-3 ratio increased in summer among males (P < 0.05). Dietary fiber and sodium intake in winter, vitamin C, iron and zinc intake in spring, and cholesterol, retinol, vitamin D and niacin intake in autumn were found to be higher in females when compared to other seasons (P < 0.05).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higher in winter, and vitamin D level was higher in autumn in both genders (P < 0.05). In males, blood folic acid level was higher in winter, while vitamin C level was higher in females, and there was no seasonal variation in retinol concentration (P < 0.05). CONCLUSIO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older adults. It is not clear if nutrition plans in older adults will benefit from 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in eating habits.

비파잎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효과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 황윤경;이재준;김아라;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25-1633
    • /
    • 2010
  • 비파잎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잎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dry basis)으로 수분 함량 5.78%, 조단백질 6.74%, 조지방 7.87%, 조회분 6.99%, 식이섬유소 43.61%, 탄수화물 29.01%를 함유하였다. 비파잎의 구성당은 총 4종 검출되었으며 이중 rhamnose가 3,391.84 mg/l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663.27 mg/l, glucose 651.65 mg/l, lactose 662.40 mg/l 검출되었다. 비파잎의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1.30 mg%로 가장 높았으며, asparagine 9.02 mg%, $\gamma$-amino-n-butyric acid 8.30 mg%, alanine 4.53 mg%, phosphoserine 3.77 mg%, aspartic acid 3.23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histidine 함량이 501.26 mg%로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0.15%로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가 41.54%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lauric acid 12.00%, myristic acid 11.13%, pentadecanoic acid 41.54% 순으로 검출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 만 검출되었으며, 총 지방산 함량의 2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A는 0.039 mg%, 비타민 E는 0.096 mg%, 비타민 C는 0.575 mg%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 함량이 1,892.60 mg%, K 함량이 1,244.90 mg%로 많이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Mg, Na, Mn, Zn 순이었고, Cu 함량은 미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함량이 24,343.57 mg/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2,964.87 mg/l, maleic acid 2538.59 mg/l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500 ppm에서 15.77 mg/ml, 1,000 ppm에서 32.32 mg/ml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000 ppm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500 ppm에서 15.58 mg/ml, 1,000 ppm에서 28.65 mg/ml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0 ppm에서 68.26%, 1,000 ppm에서 80.53%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부인과 암 생존자와 정상 대조군의 영양소 섭취와 식사의 질(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비교 -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이용 - (A Comparisons of Nutritional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in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and Normal Women -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

  • 서보영;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06-415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of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and normal women. Methods: This study compared the anthropometric indices, dietary behavior, nutritional intake, and DQI-I in women with previous history of breast or uterine cancer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group (GCSG, n=126)] and normal women [Normal control group (NCG, n=7,011)] using the 2013~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Results: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lower in the GCSG compared the NCG. The frequency of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out was higher in the NCG compared to GCSG. Energy and fat intak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CG than in the GCSG, whereas intake of all minerals and vitamins (excluding thiamine), and dietary fiber intake were higher in GCSG. It was observed that the fatty acid intake of the GCS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CG. The diet quality evaluation using DQI-I results showed that GCSG was higher in the "within-group" diet variety and adequacy of vegetable group than the NCG, whereas the intake level of the fruit group was higher in NCG. Besides, protein, calcium, and vitamin C intake were higher in the GCSG than in the NCG. The GCSG showed higher levels of total fat and saturated fat moderation than the NCG, whereas cholesterol moderation showed the opposite results. The results of DQI-I comparison according to the cancer survival years showed that the overall score and scores related to diet adequacy and balance were higher in the below 5-year group, whereas the over 5-year group scored higher in terms of moderation of die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hronic disease based management approach is needed in cancer survivors. The study provides important data which can help in the preparation of guidelines for long-term lifestyle and diet management, in these patients.

비만아동의 영양섭취와 혈청 지질농도 및 철분영양지표 (Dietary Intakes and Serum Lipids and Iron Indices in Obese Children)

  • 김진이;한영신;배현숙;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75-586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nutrient intakes, diet quality and serum indices (TG,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RBC, Hb, Hct, Serum iron, ferritin, MCV) of obese and normal weight children. The subjects were 149 children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one of such as normal weight group ($15th{\le}BMI$ percentile < 85th, n = 82) or obese children ($85th{\le}BMI$ percentile, n = 67) according to their percentile of BMI by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Data on dietary intakes, body composition and serum indices were obtained. Differences of all the above variables were assessed. Energy, carbohydrate, fat, cholesterol, total fatty acid, SFA, MUFA, PUFA, phosphate, potassium, zinc, vitamin $B_1$ and vitamin $B_6$ intakes of girl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weight group (p<0.05). The intake of fiber was as insufficient as below 50% of KDRIs in both groups. Nutrient adequacy ratio of calcium, iron, phosphate, zinc and folate in obese boys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boys (p<0.05). Energy intakes of grain and milk and dairy food in the obese girl group ($905.9{\pm}344.5kcal,\;210.9{\pm}166.4kcal$) were high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girls ($671.2{\pm}360.7kcal,\;184.0{\pm}103.5kcal$) (p<0.05). HDL-cholesterol level of obese boys ($52.7{\pm}6.3mg/d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weight boys ($65.3{\pm}15.6mg/dL$). Serum iron level of obese boys and girls (boys: $79.4{\pm}32.6mg/dL$, girls: $98.3{\pm}16.2mg/d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weight children (boys: $104.8{\pm}38.6mg/dL$, girls: $106.7{\pm}28.9mg/dL$)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sensible food selection and more intakes of fruit and vegetable are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in obese children.

양식 사료로서 Kluyveromyces fragilis와 Candida utilis의 영양가 (Nutritive Value of Kluyveromyces fragilis and Candida utilis As Feed for Aquaculture)

  • 이상민;김중균;김태진;민진기;박홈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1-797
    • /
    • 1999
  • Kluyveromyces fragilis (ATCC 36534)와 Candida utilis (ATCC 9950) 균주를 사료 첨가제와 rotifer 먹이로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성장 단계별 및 세포벽의 화학처리에 따른 영양가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K. fragilis가 $48.2\~58.5\%$로 C. utilis의 $25.9\~43.4\%$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조지방 함량은 K. fragilis 및 C. utilis모두 $0.1\~1.6\%$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조섬유의 함량은 두 효모에서 $0.6\~3.3\%$의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protoplasted 효모의 경우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효모종류에 따라 아미노산 조성이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Asp, Gly, Pro, Leu, Lys 및 Val은 K. fragilis가 C. utilis보다 그 함량이 높았으며, Glu 및 Arg은 C. utilis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성장 단계별 아미노산 조성은 특별한 변화 경향이 없었으며, 세포 외벽을 처리한 protoplasted K. fragilis와 C. utilis의 Glu, Gly 및 Asg은 처리전보다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Leu, Phe 및 Val의 함량은 다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K. fragilis 및 C. utilis의 지방산은 대부분 $C_{18}$ 이하의 포화 또는 불포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주로 $C_{16-18}$의 지방산들은 early log 또는 log phase에서 death phase로 갈수록, 그리고 protoplast에서 낮아지는 반면에 $C_{10-12}$와 같은 저급 지방산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K. fragilis 및 C. utilis의 early log phase에서는 ATP 함량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그 후 단계 (log - death phase)에서 각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DP 함량은 K. fragilis에서 early log phase 이후 단계부터 증가하였고, 세포막을 처리한 protoplast 상태에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C. utilis의 경우는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서는 그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AMP 함량은 두 균주 모두 early log phase에서 낮은 수준이었지만, 그 후 단계에서는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IMP 함량은 두 균주 모두 log phase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rotoplast 상태에서는 낮은 값을 보였다. Inosine 함량은 K. fragilis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었고, C. utilis에서는 K. fragilis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log phase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성장 단계별로 이들의 핵산관련물질의 총량은 두 균주 모두 early log phase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각 성장 단계별로 K. fragilis가 C. utilis보다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protoplast 상태에서는 C. utilis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재배 아마란스 어린잎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between Amaranth Baby-Leaves Cultivated in Korea)

  • 장혜림;유민;남진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980-9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 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기능성 쌈 채소로의 육성과 활용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 재배된 아마란스 Amaranthus cruentus와 Amaranthus hypochondriacus 어린잎의 영양성분을 비교 조사하였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A. hypochondriacus보다 A. cruentus의 수분 함량이 더 높았다. 반면 A. hypochondriacus 잎의 조회분, 조단백, 조지방, 탄수화물 및 식이섬유 함량이 A. cruentus 잎보다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와 glucose로 확인되었으며, fructose는 A. hypochondriacus의 잎에서, glucose는 A. cruentus의 잎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유기산은 succinic acid를 제외한 acetic, malic,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아미노산은 methionine과 proline, tyrosine을 제외한 총 17가지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아마란스 잎 모두 필수 아미노산 함량보다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더 높았으나 비필수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어 이에 따른 감칠맛의 정미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타 아미노산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taurine과 GABA(${\gamma}$-amino butyr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쌈 채소로의 역할이 기대된다. 아마란스 두 종류의 무기질은 K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모든 무기질은 A. cruentus보다 A. hypochondriacus에서 높았다. 아마란스 잎의 지방산은 대부분 불포화 지방산이었으며, 그중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인 linolenic acid 함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A. cruentus와 A. hypochondriacus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478.72{\mu}g/100g$, $474.12{\mu}g/100g$으로 측정되었으며, 비타민 B군은 $B_2$, $B_3$, $B_5$만이 검출되었고 $B_1$, $B_6$, $B_{12}$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A. hypochondriacus 잎에는 A. cruentus 잎보다 더 많은 양의 항산화 비타민 C와 E를 함유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마란스 잎은 품종, 재배 지역 및 환경 등에 따라 각 함량에 차이는 있으나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능성 쌈 채소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Sodium Butyrate 처리가 대장암 세포주인 HT29 Cell의 Sphingolipid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dium Butyrate on the Biosynthesis of Sphingolipids in HT29, a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0-168
    • /
    • 1999
  • Butyrate는 탄소사슬이 짧은 지방산 중 하나로 소화되지 않은 식이성 섬유의 혐기적 발효결과 포유동물의 위장관내에 millimolar 농도로 유지되며 대장의 상피세포에서 흡수되어 energy원으로 사용된다. 70%정도 confluent하게 자란 사람의 대장암세포주인 HT29 cell에 5mM sodium butyrate를 시간별로 처리하고 세포의 생존율, 암세포의 분화정도의 biomarker로 알려진 alkaline phosphatase 및 PLC-rl의 발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sphingolipid의 생합성 및 ceramidase 활성도 측정하였다. Sodium butyrate 처리는 성장중인 HT29 cell의 부착을 저해하여 처리 1일째부터 세포수가 감소하였고 형질막 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LC-${\gamm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복합 sphingolipid들의 생합성을 측정한 결과, 세포성장의 저해와 함께 sphingomyelin은 2일째부터 감소하였으며, galactosyl ceramide는 1일째부터 급속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ceramide의 경우, 1일째는 처리하기 전보다 680dpm/mg protein정도 증가하였으며 2일째에는 다시 급속히 감소하였다. 또한 butyrate처리에 의하여 HT29 cell의 acid ceramidase와 neutral ceramidase활성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는데 그 결과 ceramide함량이 초기에 증가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결과들로부터 HT29 cell의 sodium butyrate처리는 세포분화 또는 세포성장저해를 가져오는데 이와 함께 초기의 ceramide함량 및 alkaline phosphatase활성의 증가와 galactosylceramide함량 및 LC-rl 발현의 감소현상이 동반됨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s of alfalfa flavonoids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immune system, and ruminal fermentation of dairy cows

  • Zhan, Jinshun;Liu, Mingmei;Su, Xiaoshuang;Zhan, Kang;Zhang, Chungang;Zhao, Guoq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416-1424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lfalfa flavonoids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immunity, and ruminal fermentation of dairy cows. Methods: The experiments employed four primiparous Holstein cows fitted with ruminal cannulas, and used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Cattle were fed total mixed ration supplemented with 0 (control group, Con), 20, 60, or 100 mg of alfalfa flavonoids extract (AFE) per kg of dairy cow body weight (BW). Results: The feed intake of the group receiving 60 mg/kg BW of AFE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group receiving 100 mg/kg BW. Milk yields and the fat, protein and lactose of milk were unaffected by AFE, while the total solids content of milk reduced (p = 0.05) linearly as AFE supplementation was increased. The somatic cell count of milk in group receiving 60 mg/kg BW of AF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pparent total-tract digestibility o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crude protei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0.05<$p{\leq}0.10$) with ingestion of AFE. Methane dicarboxylic aldehyde concentration decreased (p = 0.03) linearly, whereas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p = 0.10) quadratically, with increasing levels of AFE supplementation. The lymphocyte count and the proportion of lymphocytes decreased (p = 0.03) linearly, whereas the proportion of neutrophil granulocytes increased (p = 0.01)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AFE supplementation. The valeric acid/total volatile fatty acid (TVFA) ratio was increased (p = 0.01) linearly with increasing of the level of AFE supplementation, the other ruminal fermentation parameters were not affected by AFE supplementation. Relative levels of the rumen microbe Ruminococcus flavefaciens tended to decrease (p = 0.09) quadratically, whereas those of Butyrivibrio fibrisolven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p = 0.07) quadratically in response to AFE supplemen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FE supplementation can alter composition of milk, and may also have an increase tendency of nutrient digestion by regulating populations of microbes in the rumen, improve antioxidant properties by increasing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and affect immunity by altering the proportions of lymphocyte and neutrophil granulocytes in dairy cows. The addition of 60 mg/kg BW of AFE to the diet of dairy cows was shown to be beneficial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