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attening period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6초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ex, slaughter season, and feeding system on carcass traits in Hanwoo

  • Kim, Gye-Woong;Kim, Ji-Hyuk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75-383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x, environmental factors, and feeding system on the carcass traits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Data were collected from 7,866 heads slaughtered in Chungnam province during one-year period. Using the collected carcass traits data which greatly influence a Hanwoo's carcass grade, the effects of sex class, slaughter season, and feeding system were estimated. Backfat thickness of ste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ulls (p < 0.05). Marbling score was also the highest in steers when compared with cows and bulls (p < 0.05). Live weight and carcass weigh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inter than in summer (p < 0.05). However, backf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mmer than in other seasons (p < 0.05). Marbling score was higher in spring and fall than in summer and winter (p < 0.05). In terms of feeding systems, TMR (Total mixed ration) and TM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 fed groups showed the highest carcass grade (p < 0.05). However, the group fed TMR and formula feed at the final fattening period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p < 0.05) and it is assumed that some stress was associated to the feed change. The results reconfirm that castration may be recommended in order to improve meat quality and marbling scores in bulls. There was no consistent trend of seasonal effects of slaughter on carcass traits although some trai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Regarding the feeding system, either TMR or TMF can be supplied to achieve high feed efficiency and goo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Nutritional value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oak wood roughage and its feeding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behavior of Hanwoo steers during the early fattening period

  • Ju, Ye Ri;Baek, Youl Chang;Jang, Sun Sik;Oh, Young Kyoon;Lee, Sung Suk;Kim, Yong Sik;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30-940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nges in nutritional value and in situ dry matter (DM) degradability of oak and pine wood before and after steam-digestion process (60 min/160℃/6 atm) and feeding effect of the oak roughage on performance and behavior of Hanwoo steers. Methods: Chemical composition and tannin concentration were analyzed for oak and pine trees before and after the pretreatment. In situ DM and effective degradability of these samples were assessed using a nylon bag method. In vivo trial was performed to estimate animal performance and behavior, using steers fed total mixed ration (TMR) diets containing 0% (control), 25% (OR-25), and 50% (OR-50) of the oak roughage. Eighteen steers were allocated into nine pens (2 steers/pen, 3 pens/treatment) for 52 days according to body weight (BW) and age. Results: By the steam-digestion treatment, the neutral detergent-insoluble fiber was decreased from 86.5% to 71.5% for oak and from 92.4% to 80.5% for pine, thereby increasing non-fiber carbohydrate. In situ DM degradability of treated oak reached 38% at 72 h, whereas that of untreated oak was only 11.9%. The 0 h degradability of the treated pine increased from 5.9% to 12.1%, but the degradability was unchanged thereafter. Animal performance including BW, average daily gain, DM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as not different among control and oak treatments. No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animal behavior such as lying, standing, rumination, drinking, and eating, except walking. Walking was higher in control than oak treatments with numerically higher eating and lower lying times, probably due to bulkier characteristics of rice straw in the die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oak roughage can be substituted for 50% of total forage or 100% of rice straw in TMR diets at early fattening stage of Hanwoo steers.

고에너지 사양이 육종가 배치별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energy die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constituents of Hanwoo steers distributed by estimated breeding value for meat quality)

  • 정기용;이승환;장선식;이은미;김현주;박보혜;권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1-368
    • /
    • 2015
  • 본 연구는 육종가를 이용하여 배치한 거세한우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하여 성장, 도체성적 및 혈액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을 해보았다. 육종가의 적용은 소고기 고급육이 가능한 개체를 선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육종가에 의해 고, 저로 나누어진 한우그룹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육종가 그룹에서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할 경우 도체성적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6마리의 거세한우를 이용하여 $2{\times}2$ 완전임의배치를 하였다(고에너지, 일반사양 과 고육종가, 저육종가로 배치). 체중, 일당증체량, 건물섭취량, 사료요구율의 결과로 고 육종가 그룹에서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청성분분석 결과로 비육후기(20 - 27개월령)의 혈청성분중 포도당과 중성지방 농도가 고육종가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는 도체성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혈중 알부민과 인의 성분은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도체중 분석에서는 근내지방도가 고육종가 그룹이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특정 혈중대사 성분들 중 포도당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성분들은 비육후기 육종가가 높을수록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이는 혈중 대사성분이 유전적인 영향에 의해서 변화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at different growth stages and seasons

  • Kim, Na Yeon;Kim, Seong Jin;Jang, Se Young;Oh, Mi Rae;Tang, Yu Jiao;Seong, Hye Jin;Yun, Yeong Sik;Moon, Sang 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0호
    • /
    • pp.1486-1494
    • /
    • 2017
  • Objective: This research analyz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during each season and growth stage to enable measurement of the animals' welfare level for precision livestock farming. Methods: A hundred-eight beef steers were divided into three equal groups at a Hanwoo farm according to their growth stage: growing stage (GS), 8 months; early-fattening stage (EFS), 19 months; and late-fattening stage (LFS), 30 months. Twelve behavioral categories were continuously recorded for 13 day-time hours in each four seasons with three replications. Results: Time spent standing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onger in summer at all growth stages (p<0.05). Hanwoos at the GS spent significantly longer standing time in spring and summer than those at the EFS and LFS (p<0.05). Lying time in summer was the shortest for all growth stages (p<0.05). Steers at the LFS spent significantly longer lying time than that at the GS (p<0.05) in summer. For GS and EFS, time spent eating in spring and autumn were longer than in summer and winter (p<0.05). Eating time was the longest for the GS in spring, autumn, and winter, excluding for the LFS in winter (p<0.05). Regarding ruminating, steers at the LFS spent significantly shorter time than those at other stages in all seasons (p<0.05). GS and EFS steers showed the longest walking time in summer compared with other seasons (p<0.05). At GS and LFS, drinking time in summer was the longest of all seasons (p<0.05). Sleeping time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summer compared with the other seasons (p<0.05). Self-grooming time was the longest in winter for all growth stages (p<0.05). Conclusion: Steers were found to have more variable behavioral patterns during summer and the GS and less active behaviors during the LFS, thus extra care seems necessary during the GS, LFS, and summer period.

한우 육성 비육 시 보리 급여수준이 증체와 육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eeding Levels of Barley Grains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 장선식;홍성구;이병석;조영무;조원모;권응기;백봉현;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47-254
    • /
    • 2006
  • 본 연구는 보리의 급여수준이 한우수소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수송아지 20두(평균체중 99㎏)를 공시하여 한우수소의 육성비육 시 보리의 급여수준(육성기-비육전기-비육후기 보리 배합비; 0-0-40, FⅡ40; 0-0-60, FⅡ60; 0-20-40, F2040; 0-20-60, F2040)이 증체와 육질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체중은 성장단계별 보리 급여수준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FⅡ40구의 24개월령 체중이 591.5kg으로 606.2~614.6kg 내외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감소된 경향이었다. 그러나 FⅡ60구는 비육후기에 보리 60% 첨가된 사료를 섭취하면서 증체가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다(P<.19). 한우수소에 대한 보리위주 사료의 급여는 생체중, 도체중과 도체율, 정육률, 거래정육률 그리고 KPH 지방과 뼈의 비율 등의 도체특성에 있어 처리 간 차이는 없었으나, 보리를 비육전기에 20%, 비육후기에 60% 급여한 F2060구의 한우수소에서 정육률과 지방률이 각각 89.82, 20.28%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이로 인해 거래정육률은 최대 5.5% 가량 낮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FⅡ40구 및 F2060구에서 각각 3.75, 3.60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조직감 역시 FⅡ60구와 F2060구가 공히 1.6으로 다른 두 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비교도체법에 의한 한우 거세우의 증체에너지 및 단백질 요구량 (Determination of Net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for Growth in Hanwoo Steers by Comparative Slaughter Experiment)

  • 김경훈;오영균;이상철;신기준;정완태;강수원;홍성구;주종철;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41-50
    • /
    • 2007
  • 200 두의 한우 거세우를 이용한 비교도체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로부터 유지를 위한 정미에너지 요구량(Net energy requirements for growth, NEg) 및 단백질 요구량(Net protein requirements for growth, NPg) 산출식을 도출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6개월령에서 8두를 무작위 선발하여 도축하였고, 나머지 192두는 2개 처리에 임의 배치하였다. 농후사료 제한 급여구는 6~12개월령에 체중의 1.2~1.5%, 13~18개월령에는 체중의 1.7~1.8%로 제한 급여하였고, 19~30개월령에는 자유채식시켰다. 무제한 급여구는 6개월령부터 30개월령까지 전 사육기간 농후사료를 자유채식시켰다. 두 처리 모두 조사료는 볏짚을 자유채식시켰다. 8개월령부터 각 처리 8두씩 무작위 선발하여 2개월 간격으로 30개월령까지 도축하였다. 모든 조직 부위의 중량을 측정한 후, 일정비율의 시료를 채취하여 0~5℃ 상태로 실험실로 운반하여 단백질 및 지방 그리고 bomb caloriemeter로 calorie를 측정하였다. NEg와 NPg 요구량 산출 회귀식은 일본 육우사양표준(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 2000)의 회귀식과 같은 변수로 구성되었고, NEg 산출식은 농후사료 제한 급여구에서 NEg = 0.05332×LBW0.75×DG 그리고 무제한 급여구에서 NEg=0.04912×LBW0.75×DG으로 결정되었다. NPg 요구량은 농후사료 제한 급여구는 NPg=DG×(224.7-0.251×LBW), 무제한 급여구는 NPg=DG×(210.1-0.214×LBW)로 결정되었다.

배합사료의 자유 및 제한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단계별 증체, 사료섭취량 및 혈중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 libitum and Restricted Feeding of Concentrates on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Blood Metabolites of Hanwoo Steers at Various Growth Stages)

  • 권응기;홍성구;성환후;윤상기;박병기;조영무;조원모;장선식;신기준;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45-758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거세우 258두를 이용하여 배합사료 자유급여와 제한급여에 따른 증체량, 사료 섭취량, 혈중대사물질의 농도 및 혈액상에 대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전기간 배합사료 자유급여구(T1)와 생후 6-18개월령 배합사료 제한급여구(T2) 2처리로 하였으며, 배합사료의 제한급여 수준은 육성기에는 체중의 1.2-1.5% 그리고 비육전기에는 체중의 1.7-1.8% 수준으로 하였다. 생후 10-14개월령의 일당증체량은 T2구에 비해 T1구에서 많았으나(p<0.05), 20-24개월에는 T1구에 비해 T2구의 일당증체량이 많았다(p<0.05). 총 건물섭취량의 경우 생후 10, 12 및 16개월령에는 T1구에서, 22개월령에는 T2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p<0.05)를 보였을 뿐 여타 월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20-30개월령까지 T1구에 비해 T2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생후 12, 14, 16 및 18개월령의 혈중 albumin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으나(p<0.05), 12-18개월령을 제외한 다른 월령에서는 처리간의 농도 차이는 없었다. 생후 14 및 16개월령의 혈중 triglyceride 농도는 T2구에 비해 T1구에서 높았으며(p<0.05), 8, 10, 16 및 22개월령의 혈중 IP 농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생후 8-12개월령의 MCV와 MCH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낮았으나(p<0.05), 10-12개월 MCHC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성기 배합사료 제한급여는 비육기 증체에 대한 부의 영향이 없고 비육후기 사료요구율도 감소시키기 때문에 육성기의 배합사료 제한급여가 바람직하다.

Gliricidia leaf meal and multi-enzyme in rabbits diet: effect on performance, blood indices, serum metabolites and antioxidant status

  • Oloruntola, Olugbenga David;Agbede, Johnson Oluwasola;Ayodele, Simeon Olugbenga;Ayedun, Eyanlola Soladoye;Daramola, Olajumoke Temidayo;Oloruntola, Deborah Adebukol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10호
    • /
    • pp.24.1-24.8
    • /
    • 2018
  • Background: Following the ban on the importation of import-dependent fed ingredient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need to look inward for local content is now compelling. Thus, leaf meals that have phytogenic additive potentials are envisaged will be a viable feed ingredient in rabbit diets. Methods: The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gliricidia leaf meal (GLM) with or without multi-enzyme (E) supplementation in rabbits was investigated using ninety-six 35-day old rabbits of crossbreed (Newzealand and Chinchilla). One basal diet that met the requirements of growing rabbit was formulated (Diet 1). Thereafter, another two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15% GLM and 15% GLM plus multi-enzyme at 1 g/kg and designated as diets 2 and 3 respectively. The rabbit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he 3 diets (32 rabbits/treatment; 4 rabbits/replicate) and fed their respectiv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Results: The body weight and daily weight gain of the rabbits fed on GLM free diet and those on GLM-based diets (diets 1 and 2) were similar at finishing period of 63-91 day but have lower (P < 0.01) values than those rabbits fed GLM + E based diet (diet 3) at finishing period (63-91 days) and whole fattening period (35-91 days). The apparent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f rabbits fed control diet and those fed 15% GLM based diet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fed 15% GLM + E-based diet. Triglycerides concentration of rabbits fed 15% GLM-based diet without enzyme addition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observed for rabbits on the rest test diets.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levels of rabbits fed 15% GLM and 15% GLM + E-based diets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fed the GLM free diet. Th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of rabbits fed the GLM free diet (diet 1) were significantly (P < 0.05) lower than those fed the 15%GLM and 15% GLM + E-based diets.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GLM at 15% of the diet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abbits postweaning period (35-63 days) but will require multi-enzyme supplementation to enhance growth indices at finishing period (63-91 day) without precipitating negative effect on the rabbits' health status.

돼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서 스테비아와 숯의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Stevia and Charcoal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최정석;이주호;이현진;장성순;이재준;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5-841
    • /
    • 2012
  • 본 실험은 저항생제 수준에서 스테비아와 숯의 급여가 돼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 기본사료를 기초로 하여 T1(대조구, 기본사료 + 비육전후기 항생제), T2(기본사료 + 0.3% 스테비아 + 0.3% 숯 + 비육전후기 항생제) 및 T3(기본사료 + 0.3% 스테비아 + 0.3% 숯 + 비육전기 항생제)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항생제(oxytetracycline, OTC) 수준은 기존 첨가 수준(110 ppm)의 50%인 55 ppm으로 첨가하였다. 저항생제 돈육생산 가능성을 위하여 비육후기 무항생제 처리를 하였다. 숯과 스테비아, 항생제를 각기 다르게 급여한 돼지의 도체특성에서 A등급 출현율은 T3에서 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지방 두께는 T2에서 높게 나타났다. 도체장도 T2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육질특성에서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보수력은 T3에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육즙손실은 T2에서 높은 육즙손실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열감량에서도 T2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전단력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서 명도는 T2가 높은 수준이었으며, 근육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T1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주관적판정에서 T3가 다소 높은 마블링 점수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에서는 T1이 전체기호도에서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테비아와 숯을 먹인 비육후기 무항생제 급여구(T3)가 대조구(T1)와 스테비아와 숯을 먹인 비육전후기 항생제 급여구(T2)와 비교 시 도체 및 육질특성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스테비아와 숯이 항생제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저항생제 돈육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가 홀스타인 거세우의 성장 발육, 사료이용성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ughage Feeding Type during the Growing and Early-Fattening Periods on Growth Performance, Feed Efficiency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olstein Steers)

  • 강수원;기광석;오영균;김경훈;최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69-782
    • /
    • 2005
  • Holstein 거세송아지 24두를 대상으로 육성 및 비육전기의 조사료 급여형태에 따라 3개 처리(T1: 농후사료+볏짚, T2: 농후사료+목건초, T3: 맥주박 TMR)를 두어 6개월령부터 23개월령까지 18개월간 사양시험 후 도체조사를 실시한 결과, 처리별 출하체중 및 일당증체량은 각각 751-802 kg(평균 782.3 kg) 및 1.064-1.159 kg(평균 1.122 kg)으로 모두 T2 > T3 > T1 순으로 높았고, T2의 일당증체량이 T1에 비해 8.9%가 개선되었다. 도체율, 등지방두께 및 등심단면적은 각각 60.6-60.9 %, 6.50-7.13mm 및 82.9-84.1cm2 이었고, 근내지방도 및 육색은 각각 3.1-3.3 및 4.0-4.1 이었으며, 쇠고기의 전단력 및 보수력은 각각 4.6-4.7 및 50.7-50.9로 이들 모두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소득은 두당 882.8-991.7천원으로 T2 및 T3가 T1 보다 12-7% 더 높았다.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Holstein 거세우를 23개월령까지 비육할 경우, 근내지방도가 높은 쇠고기 생산이 가능하며, 육성 및 비육전기에 목건초나 맥주박위주의 TMR을 급여하면 볏짚보다 출하체중을 높여 소득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