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tasy scen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팀 버튼 감독의 판타지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스토리 전개구조에 따른 의상색채 연구 (Costume Colors Follow Story Structure on Fantasy Film 『Alice in Wonderland』 by Tim Burton)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78-9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lors of the costumes and backgrounds of characters in the fantasy film, Alice in Wonderland(2010) by Tim Burton. The methods used were literature studies including related books, articles and internet materials, and positive research with DVD color analysis. Twenty-one scenes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Five scenes were selected from novel and film components representing, exposition, complication, crisis, climax, and denouement. After controlled pixel by photoshop program and the represented colors, hues and tone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four characters, Alice's dress colors changed depend on the situation and the passage offered from blue to red, metal light, and blue green. The Mad Hatter's colors were orange with green which signified madness and passion. The Red Queen's red dress and blue make up represented countrified and evil. The White Queen's all white dress and hair, black eyes and vivid red meant purity and nobility. Similar characters' colors were limited. Second, the background colors, especially tones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fantasy image. These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scene in the film such as exposition, complication, crisis, climax, and denouement.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형식적 갱신과 사회적 성찰 -책빙의물을 중심으로 (The Formal Innovation and Social Reflection of Korean Web Fiction Fantasy -Centered on 'Book Traveler' Genre)

  • 유인혁
    • 대중서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77-102
    • /
    • 2020
  • 이 글은 한국 웹소설 판타지의 새로운 하위장르인 책빙의물을 분석했다. 그리하여 현재 한국 웹소설 판타지가 형식적 갱신을 서사적 동기로 삼고 있으며, 사회적 전복의 상상력을 장치로 활용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이는 책빙의물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행되었다. 책빙의물에서 주인공은 판타지 소설의 작가나 독자로서, 자신이 서술 독서하고 있던 소설 속으로 이동한다. 이때 주인공이 진입한 '원작'은 전형적인 판타지소설의 관습이 형상화된 공간이다. 이에 따라 주인공은 진부한 장르적 장치와 전형적인 플롯을 체험하며, 그것을 바꾸기 위해 노력한다. 요컨대 책빙의물에서 장르의 전형성을 회피하는 것은 서사의 내적 동기로 주어져 있다. 한편 책빙의물에서 주인공은 원작의 중심인물이 아니라 주변인물에게 이입한다. 원작의 중심인물은 대개 사회의 좋은 자원을 독점하고 있는 지배계급으로 나타난다. 이때 책빙의물은 주변인물이 중심인물을 압도하는 플롯을 통해, 사회적 약자가 사회적 강자를 넘어서는 전복적 상황을 연출한다. 그리하여 독자의 사회적 욕망을 장르 내적인 장치로 전환시킨다. 정리하자면 책빙의물은 한국 장르문학의 관습이 갱신되는 장면을 포착하는 동시에, 동시대 사회적 맥락 및 독자의 욕망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리하여 한국 웹소설 판타지가 자신의 내적 조건과 사회적 맥락을 동시에 성찰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웅서사구조 중심으로 하는 판타지영화의 시각화 연구 (Visualization research based on hero tale stories in a fantasy movie)

  • 한명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5-194
    • /
    • 2010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전반적으로 이미 원 소스 멀티 유즈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원작 소설 성공으로 영화로 재탄생되는가하면, 영화의 성공을 통하여 원작인 소설이 다시금 주목받는 경우가 생겨나며, 소설과 영화가 동시에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은 게르만신화 서사구조를 갖고 있는 판타지 영화를 조셉 캠밸(J. Campbell)의 영웅서사구조 12단계 분류를 적용하여 소설의 서사구조를 시각화한 영화장면을 비교 분석하였다. 소설의 서사구조를 각색,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의 분위기, 스케일, 내용을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적합한 이펙트를 사용했을 때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할 수 있다. 원작을 각색하여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 스케일과 작가의 메시지를 시각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전에 관객 호응도를 단계별로 검토하여 시각적 기법(특수효과, 장면전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타셈 싱(Tarsem Singh) 영화 '백설공주' 의상에 표현된 매직리얼리즘 특성 (Characteristic of magical realism expressed in Tarsem Singh's movie [Mirror, Mirror])

  • 양수현;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3호
    • /
    • pp.375-390
    • /
    • 2017
  •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characterize magic realism by analyzing existing magical reality literature reviews and research and to identify material that may inspire ideas for stage and film costume design by analyzing and drawing design characteristics and magic realism of costumes from Director Tarsem Singh's movie, 'Mirror, Mirror'. For the methodology,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in literature and, movies were analyzed, wit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se materials on magical realism. Data on costume design and magical realism characteristics for use in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main characters of 'Mirror, Mirror' as well as from other character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as the emergence of f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agic realism Historicit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seen in Tarsem Singh films, wa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and decorative patterns shown by the traditional-style costumes, colors. Symbolization was expressed through the symbolic meaning, decorative elements, and traditional clothes, as shown by the colors and forms of the costumes. Fantasy was expressed through the colors, decorative elements, forms of traditional clothing, and forms with symbolic meaning. Reproducibility was expressed through the method of decorative element, symbolic meaning, traditional forms and de-structural clothes. Ambiguity, which can be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ity and fantasy, was expressed in the clothes worn in the scenes that confounded time and space within the film.

영화색채의 주황, 현실과 가상 (Orange in Film Color: Real and Virtual)

  • 김종국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215-237
    • /
    • 2018
  • 이 글에서는 현실과 가상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영화색채의 주황을 분석한다. 색채학에서 주황은 달콤하면서 신맛을 연상시킨다. 심리적으로는 자연에서 오렌지의 주황은 건강하지만, 도시에서 늦은 오후의 주황은 해롭다. 따뜻하고, 천진난만하고, 낭만의 주황이 다른 편에서는 낯설고 해롭다. 영화에서 주황은 가장 기본적인 색이다. 그것은 이미지를 재현하는 인공조명의 원천이 주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영화에서 표현된 주황의 주요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영화에서 표현된 주황은 영화적 사실을 현실의 진실처럼 보이게 한다. 둘째, 주황은 가상의 역사를 표현하며, 가짜이미지와 기억에 해당한다. 셋째, 빛과 색으로서의 주황은 아우라이다. 일출과 일몰의 주황은 영화의 인공조명과 유사하며, 텅스텐 조명의 주황은 실재 인물들을 초현실적이고 신비스럽게 만든다. 넷째, 달콤한 환상으로서의 주황은 다른 세계와의 의사소통을 중개한다. 슈퍼마켓에 가고, 커피숍에서 친구와 노닥이고, 텔레비전 앞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상에서 주황은 삶을 자유롭게 꿈꾸게 한다. 그것은 현존과 다른 세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매개한다. 이상의 네 가지 범주의 규정은 이 글의 가정이자 결과이다.

타셈 싱(Tarsem Singh) 영화의상에 표현된 매직리얼리즘의 표현특성 - 더 셀(The Cell)과 더 폴(The Fall) 영화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Magic Realism Expressed in the Costume of Tarsem Singh Movies - Focusing on "The Cell" and "The Fall" -)

  • 양수현;이연희
    • 복식
    • /
    • 제65권1호
    • /
    • pp.1-14
    • /
    • 2015
  • Magic realism, which originated in the culture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creates a fantastic fictional word by linking unrelated incidents using mag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arsem Singh's design characteristics that are based on magic realism in his movies, "The Cell" and "The Fall", and to highlight the artistic values appearing in the film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 of magic realism based on literature and preceding research, and discovering how Singh expressed these creatively and experimentally within the costumes in his film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agical, legendary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appear within the fantasy of magical realism, and common techniques within film costuming include repetition of similar objects, solid silhouettes within scenes, and various decorative materials used for fantastic expression. Secondly, regarding ideality, the destruction of previous ideas and recreation of the present were found with materials and details used in film costuming to destroy previous ideas. Expressions of character through external decoration and depiction of living things as not living were also found. Thirdly, reiteration showed the coexistence of history and legend, reality and fantastic elements, and arrangement of opposing elements.

SF영화 속 가상공간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앙드레 바쟁의 영화 존재론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in Science Fiction Movies - Based on André Bazin's Film Ontology -)

  • 겅허치;최동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56-1366
    • /
    • 2022
  • In the display of virtual space, the degree of space virtualization cannot be judged only by the degree of material technology. Based on the non-material relationship, the virtual space that this research focuses on is a conceptual and ont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conceptual and ontological viewpoints of non-material relations), including practical technical issues.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not only has an impact on the space design of science fiction movies, but also becomes a powerful medium that brings changes to the world. In the future, there will be a large number of cases where fantasy things in science fiction movies are actualized. From this perspective, based on the study of several science fiction movies using virtual reality scenes, this paper puts forward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virtual space ontology. In addition, the study of the virtual reality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verify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in the application of deep space technology in the future.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ffects film field from montage theory-based to Bazin theory-based expression, and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system of film space.

21세기 패션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영상 패션의 미학적 가치 (Aesthetic values of image fashion as fashion communication tool in the 21st century)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6호
    • /
    • pp.793-809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and aesthetic value of image fashion of the 21st century through empirical case study with image media as fashion communication tool.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for both better comprehension of image fashion as emotional medium in the modern fashion and more activated research on interactivity and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communication area by examining how fashion designers deliver their design philosophy, thought and vision via image fashion. For the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study was realized about image media and fashion communication with focus on related literature and precedent research. Also, the empirical study was performed about image fashion covering 2005 through 2012 by the group of fashion film, fashion animation, and video look-book. Fashion image in the research was developed into various layouts that include the story based or non-story based creative images, many kinds of episode or behind-the-scenes story in the prep course of collection, designer's personal life or product world, or re-cutting course after collection. It also played a communicative role for public relation of new product ad, concept conveyance of seasonal collections, means as online collection to substitute for the existing offline collections, and better understandings of designer or fashion brand. Aesthetic values derived from case analysis of image fashion in the modern fashion of 21st century appeared in the form of trans-boundary as convergence art, fantasy in harmony with virtuality and reality, and interactivity among the humans, image media and fashions.

게르만신화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시각화 -반지의 제왕, 해리포터, 나니아 연대기를 중심으로- (The Visualization of films for the stand on narrative of Germanic Mythology -Focused on "The Road of the Ring", "Harry Potter", and "The Chronicles Of Narnia"-)

  • 백광호;한명희;김미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29-1136
    • /
    • 2009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전반적으로 이미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원작 소설의 성공으로 영화로 재탄생되는가하면, 영화의 성공을 통하여 원작인 소설이 다시금 주목받는 경우가 생겨나며, 소설과 영화가 동시에 공개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은 게르만신화의 서사구조를 갖고 있는 판타지 영화를 조셉켐밸(J.Campbell)의 영웅서사 구조 12단계 분류를 적용하여 소설의 서사구조를 시각화한 영화장면을 비교분석하였다. 소설의 서사구조를 각색,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의 분위기, 스케일, 내용을 관객이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인 설명이 필요하며 적합한 이펙트를 사용했을 때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할 수 있다. 원작을 각색하여 시각화 하는 경우 원작의 스케일과 작가의 메시지를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사전에 관객의 호응도를 단계별로 검토하여 적절한 시각적 기법(특수효과, 장면전화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에 의한 3D 애니메이션의 조형성 -한국 영화 <웰컴투 동막골>을 중심으로- (Formative Properties of 3D Ani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Gestalt -Centering of Korean film -)

  • 김경은;윤영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9-284
    • /
    • 2006
  • 미디어의 발달로 표현의 영역이 넓어진 영화 예술분야도 급속도로 성장해 왔다. 최근 한국 영화에서도 특수 효과(SFX)의 하나인 컴퓨터 그래픽스(CG)를 이용한 디지털 영화에 관심과 인력이 형성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가 갖는 게슈탈트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 영화에서 3D 애니메이션이 삽입되어 2005년 최고의 흥행을 이루었던 <웰컴투 동막골>을 중심으로 그 조형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3D 애니메이션을 영화에 삽입함으로써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실사에서 느낄 수 없는 환영성이나 가상적인 세계를 이끌어 갈 수도 있으며 이는 촬영상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공간성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의 대상에 전체성을 부여하며 완결을 필요로 하는 게슈탈트 이론에 의해 부분적인 애니메이션의 설정일지라도 영화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