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resilience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Satisfaction of University and Family Cohesion on Perceived Entrapment: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and Hope)

  • 신선화;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50-36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1개 대학교의 대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회복탄력성과 희망에 따른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유의한 조절효과를 도식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 회복탄력성, 희망 및 지각된 속박감 간에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대학만족도와 가족응집력은 지각된 속박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이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대학만족도가 지각된 속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희망의 조절효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지각된 속박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복탄력성과 희망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 Parents' Family Resilience, Experience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and Awareness of Abuse Behaviors)

  • 황환;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519-526
    • /
    • 201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부모의 가족탄력성,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 학대행위인식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경기도 양평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389부를 분석에 투입하였다. 자료분석은 주요 변수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이 학대행위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의 가족탄력성과 학대행위인식 간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교육경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족탄력성 증진서비스를 포함한 패키지 형태의 아동학대예방프로그램의 제공과 아동학대예방서비스 전달체계의 보완을 제언하였다.

자산형성프로그램을 이용한 저소득가정의 탄력성 형성 과정에서의 가정자원 관련 경험 (Experiences of Family Resources in Resilience Development Process for Low-Income Families Participating in Asset Building Program)

  • 김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21-336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amily resources on low-income families by exploring their holistic experience of poverty to the formation of resilience. A grounded theory approach is utilized to structure process from their experience of poverty as well as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to the formation of resilience. This study targets 17 families involved in the pilot project for the beneficiaries of an asset building program in Seoul. In accordance with open coding and a paradigm model by the result of axial coding, 86 concepts, 23 sub-category, and nine categories are produced. These categories are classified into the causal condition (a tough life due to poverty), contextual condition (being the recipient of an asset building program), intervening conditions (interpersonal resources and effects of accumulated time or experience), central phenomenon (a will to live and overcome poverty), actions/interactions (active behavior and change of attitude), and consequences (change of asset levels and increased efficacy in their lives). The integrating categories identify the core category as 'the process of making a resilient life out of the power to live' and a final process model is organized. The results suggest crucial implications to develop comprehensive policies to address poverty issues for low-income families with a strength-based approach.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장-가정갈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Work-Family Conflicts and Depression among Female Low-wage Workers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 박수경;이선우;송지연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123-15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임금 여성근로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직장-가정갈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월 임금 200만원 이하의 여성근로자 총 190명이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을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력성의 완전 매개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문제에대한 개입방안, 직장-가정갈등의 예방을 위한 가족친화제도 강화, 실효성 있는 직장-가정양립정책 추진, 탄력성 증진을 위한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The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 이원남;김경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5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overall process that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levels of family resilience, and coping styles on the basis of stress-coping-adaptation model of Lazarus and Folkman(1984).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by 394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was analysed by AMOS 20.0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paths that parents' caregiving stress affecte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model's goodness-of-fit was fine($x^2=225.20$, df=95, p=000. RMSEA=.06, TLI=.95).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family resilience(${\beta}=-.36$, p<.001), emotion-focused coping style(${\beta}=.47$, p<.001), life satisfaction(${\beta}=-.53$, p<.001). Second, family resilience and emotion-focused coping showe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strategies for enhancing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ervices for applying effective coping methods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diminish the caregiving stress of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mily Strength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 강우정;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19-33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8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살펴보면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별, 가족과의 연락 빈도,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 가족건강성 중 질적 유대감, 자아탄력성 중 통제성이 유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이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Family Environment Risk Factors and Ego Resilience on The Early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 이순옥;최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84-49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rect influences of the risk factors of the family environment o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adolescents, and the indirect influences of the same by th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Method: After random extraction of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e conducted a survey of 5th and 6th-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For the analysis, we us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450 students. For the data analysis, we performed t-test of independent samples, one-way ANOVA,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utilizing SPSS/WIN 19.0 program. Resul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risk factors of the family environment o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early adolescents was 0.447, while the indirect influence by th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was 0.146.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risk factors of the family environment not only exert direc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adolescents, they also have indirect influences on the problem behaviors of early adolescents by way of th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암 환자의 극복력 영향요인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 이은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2-58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1 cancer patients over 20 years old, being treated in 3 hospitals in Seoul. The collection of materials was a self-report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from October 1, 2005 to September 30, 2005.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 The average resilience of the cancer patients was 85.9 The average of the hope was 133.32. The family support score was 43.06.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 (r=618, p=.000) in the resilience and hope, in the 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r=.539, p=.000), and in the hope and family support (r=.729, r=.00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multiple regre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hope is a meaningful factor (38.2%), to explain resilience of cancer patient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ancer patients.

  • PDF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건강수준의 관계: 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 김지혜;탁영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9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 family, school, and community - and self-rated health i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based on a cross-sectional design, using the data of 2016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f 2,001 adolescents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SPSS and AMOS program. Results: The model's fit was adequate ($x^2/df=4.51$, CFI=.98, RMSEA=.04, SRMR=.02). The adolescents' social capital - family, school and community - had direct effects on their self-rated health. Resilience was found to play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accounting for self-rated health. Conclusion: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self-rated health in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strategies to build and strengthen social capital at the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 and to promote resilience are needed to improve the health of adolescents.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Adaption of Family with Chronic Illness Child)

  • 이은희;손정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95-120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이론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만성질환으로 진단 받고 3개월 이상 치료중인 0세~15세의 만성질환아 가족들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족탄력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점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탄력성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