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ciform liga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Falciform ligament(간겸상인대)에서 관찰되는 프리모 조직의 조직학적 특성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the primo vascular system on the falciform ligament)

  • 연선희;권오상;이새봄;조성진;최광호;이상훈;최선미;류연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31-137
    • /
    • 2012
  • Objectives : Primo vascular system is known to new circulatory system and suggested as a anatomical structure of meridian system. Primo-vessels are present throughout the whole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imo tissues taken from falciform ligament and to compare with organ surface primo tissue, blood vessel and lymph vessel.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8weeks old, 250~320g) used for this study. The medial line of the abdomen was dissected and searched for primo tissues in falciform ligament and on the internal organs using stereomicroscope. We performed serial cross section and histological investigations. The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and Masson's trichrome. Results : 1. The primo tissues attached on the falciform ligament had white color and length of 5~8mm. 2. We could observe primo tissues are classified with ligament tissues. 3. Histologically, primo tissue on falciform ligament and organ surface primo tissue could be considered same tissue.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observed primo tissue discovered on the falciform ligament. And we also histologically compared such discovered primo tissue with organ surface primo tissue. Consequently, we could consider that two tissues have histological similarity and possibility of connection in one network system.

생후 25일 신생아에서 발생한 겸상인대 농양에 대한 최소 침습적 치료: 증례 보고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Falciform Ligament Abscess in a 25-Day-Old Neonate: A Case Report)

  • 이민아;이정섭;이무숙;김승형;이경렬;김윤주;강기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5호
    • /
    • pp.271-275
    • /
    • 2018
  • 겸상인대는 원인대 및 배꼽정맥의 잔유물을 포함하는 구조물로서 배꼽에서 횡격막까지 이어지는 간의 걸이인대이다. 겸상인대에서 발견되는 인대 낭종, 종양, 비정상적인 혈관, 선천적 인대결손 같은 드물게 나타나는 병인 중에서도, 겸상인대 농양은 굉장히 드문 질환이다. 따라서 겸상인대 농양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어려우며, 총담관낭의 감염이나 간농양으로 잘못 해석하기 쉽다. 저자들은 생후 25일된 신생아에게서 배꼽 정맥 도관 삽입 후 발생한 겸상인대 농양에 경피적 배액 및 항생제 투여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개에서 절개성 겸상인대 허니아 발생례 (A case of incisional falciform ligament hernia in a bitch)

  • 정순욱;박인철;정월순;강병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52-356
    • /
    • 1997
  • 5 years Poodle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January 1997, with progressive swelling on the rear xiphoid process after cesarean section last year in local-vet clinic. Physical, radiographic, ultrasonographic and intraoperative findings that were obtained from this case were as follow; Physical findings were known as no pain, no fever in the hernia] sal at palpation. Radiographic findings revealed the decreased density of swelling contents more than peritoneum and did not identify the abdominal wall defect line. Ultrasonographic findings showed abdominal wall defect line of 3mm and intra-abdominal originated fat contents with mixed echo(hypoechoic). During the operation, falciform ligament into the hernial sac was observed and not excised, manipulated back into the cavity. The dog was given an herniorraphy with no recurrence and infection.

  • PDF

The Laparoscopic Repair of a Morgagni Hernia in a Child

  • Ra, Yong-Joon;Huh, Up;Lee, Sang-Gwon;Je, Hyung-G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80-82
    • /
    • 2011
  • A 12-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the abnormal findings on the chest PA. The chest CT revealed a retrosternal defect of the diaphragm and a fatty opacity in the pleural cavity, resulting in a diagnosis of Morgagni hernia. It was decided to undergo a laparoscopic surgery. The retrosternal defect of the diaphragm measuring 3.5 cm in diameter was found,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greater omentum and the fatty tissue connected with the falciform ligament were herniated into the pleural cavity. The greater omentum was pushed back into the peritoneal cavity and the fatty tissue connected with falciform ligament was excised. The mediastinal pleura was plicated and the defect of the diaphragm was repaired primarily.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the patient developed a right pneumothorax for which a chest tube was inserted. She was discharged at the post-operative third day without any further complications.

개에서의 선천성 복막-심낭 횡경막허니아 1예 (Congenital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in a Dog)

  • 정성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93-396
    • /
    • 2002
  • A 5 kg, seven-month-old, female Pekingese dog was present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with the history of anorexia and exercise intolerance. Muffled cardiac sound and mild abdominal pain were detected in the physical examination. In positive contrast peritoneography, contrast medium was observed in enlarged pericardial sac through the diaphragm. According to the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contrast radiographic study, the dog was diagnaosed congenital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Following midline celiotomy, herniated falciform ligament and greater omentum were repositioned to abdrminal cavity. The diaphragmatic defect was closed with absorbable suture. Clinical signs related to peritoneopericardial hernia disappeared immediately after surgical treatment. There had been no evidence of recurrence of the peritoneopericardial hernia for 1 year.

3세 남아에서 발생한 Morgagni 탈장 - 1예 보고 - (Morgagni Hernia in a 3-year Old Boy - a Case Report -)

  • 정혜연;김애숙;최성민;박진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81-86
    • /
    • 2007
  • A 3-year-old boy with purulent otitis media received a chest radiograph as the part of a routine work up. The patient was normal appearing, in no acute distress. The patient's lung and heart sounds were clear and normal. The patient's abdomen was soft, non-distended, and non-tender. An anterior cardiophrenic mass was incidentally identified on the lateral chest radiograph. A computed tomography scan demonstrated a diaphragmatic hernia with bowel loops in the retrosternal space. An exploratory operation revealed a diaphragmatic defect (4 cm in diameter) on the left side of the falciform ligament, through which transverse colon was protruded. There was no hernia sac, and the defect was closed with interrupted No. 2 silk sutures. The child was discharged on the 8th postoperative day without any complications. During 6 months of follow-up period, recurrence was not noticed.

  • PDF

담도폐색증 - 대한소아외과학회회원 대상 전국조사 - (Biliary Atresia in Korea - A Survey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

  • 최금자;김성철;김신곤;김우기;김인구;김재억;김재천;김해영;김현학;박귀원;박우현;송영택;오수명;이두선;이명덕;이석구;이성철;정상영;정성은;정풍만;최순옥;최승훈;한석주;허영수;홍정;황의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2호
    • /
    • pp.143-155
    • /
    • 2002
  • 설문 문항에 따라 심도 있는 토의가 진행된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문항 1의 영아 황달 환자의 감별진단을 위한 검사에 대한 토론에서 복부초음파검사가 과거에는 담즙정체 환자에서 선별검사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나 1992년 부터 일부에서는 좀 더 확실한 진단 방법으로 이용하려는 견해가 있음이 소개되었다. 또한 Triangular cord sign (TC sign)은 문맥 앞쪽에 있는 삼각형이나 띠 모양의 반사성 (echogenecity)을 나타낸다는 것과 이 반사성은 간문맥섬유화 종괴를 조영하는 것으로 이 반사성 두께가 2.5mm면 담도폐색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하는 TC sign에 근거한 진단방침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아직은 충분히 검증된 방법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도 함께 제시되었다. 문항 8의 간문맥 부위의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한 토론에서는 소아의 복부는 좌우 옆으로 발달이 되어 간의 현수인대와 간의 좌우 삼각인대 (triangular ligament)와 낫인대 (falciform ligamnet)를 잘라내면 간이 쉽게 배 밖으로 나오게 돼며, 수술 시야가 양호해 진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피부 절개선을 간의 가장자리 보다도 한 횡지 위 쪽으로 넣는 것과 간을 너무 당기면 하대정맥에 각이 져서 순환허탈이 올 수 있다는 점이 주의사항이라고 하였다. 문항 9 portal fibrous mass 의 절제범위에 대한 토론에서는 양쪽 외측에서 담즙 배출이 많이 되므로 가능하면 양쪽 외측으로 많이 나가야 되며 좌우 간동맥 안쪽으로 절제하고 뒤쪽은 문맥 분기 뒤쪽의 정상 간 표면이 나올 때까지 절제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외측으로 가는 범위는 혈관 밖에까지 가는 것이 좋으며 혈관 위에는 문합이 불가능하므로 장이 혈관을 overriding하도록 장을 그냥 씌우면 된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반면 좌우 간동맥 사이의 간표면에서 절제하는 정도만 해도 최선이며 무리하다 오히려 간동맥에 손상을 주변 담도의 혈류가 차단되어 세담관 증식에 장애가 된다는 의견도 있었다. 확장절제를 위해 좌.우 간문맥 두번째 분지까지 절제하면 절제면이 약 3 cm 크기가 되고 그 부위에다 넓게 장문합을 하며, 절제 깊이는 간실질까지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fibrous mass 기저부를 일부 남기면서 간표면을 따라 조심스럽게 절제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를 위해 retractor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간문맥 제2분지까지 접근 가능하므로 가능한 한 깊이 절제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으나 한편 담도폐색증에서는 혈관기형이 많이 동반되어 혈관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몇 번째 분지까지 절제하여야하는가 보다는 위험하지 않을 정도로 외측으로 갈수 있는 데까지 가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Kasai 수술의 목적 'cure' 내지는 'improvement' 되는 것이라고 본다면, Kasai술식에서 fibrous mass를 공격적으로 절제해서 효과적인 담즙배액을 성취할 수 있는지, 또는 장기간 추적조사에서 정말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비교하여야 하므로 아직은 충분히 검정되지 않은 의견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되었다. 문항 13의 담도폐색증 수술 후 통상적으로 처방하는 약제의 복용기간은 회원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즉, Ursodeoxycholic acid (우루사)는 한달에서 부터 2년까지 또는 더 오랜 동안 처방한다는 의견도 있었고, systemic antibiotics도 2주에서 2년까지 처방 기간이 다양하였으며, 스테로이드는 대부분 2 - 3주 사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18개 병원에서 21년 동안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들이 경험한 환자들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한 것을 분석한 것으로서 80년대 초반의 환자 증례는 매우 제한적 일 뿐만 아니라 많은 수의 기록지가 불충분하거나 일치되지 않은 기술로 인해 자료로서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조사에서 얻은 결과의 분석은 회원들의 수련 배경이나 진료 환경이 다를지라도 담도폐색증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기본 원칙에는 매우 일치된 시술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수술 소견에 따른 담도폐색증의 분류나 조직학적 기술에서는 보완을 요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결과를 외국의 통계분석과 비교하는 것보다는 회원들의 향후 진료와 전향적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또한 담도폐색증이 매우 드문 질환임은 분명하나 전국적인 조사에서는 적지 않은 예가 모아질 수 있으므로 회원들이 동일한 등록지를 작성하여 시행되는 전향적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담도폐색증에 대한 분류, 치료 성적, 예후 인자들도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조사에서 사용하였던 등록지를 약간 수정보완한 ‘담도폐색증 등록지’를 학회에서 향 후 전향적 연구를 위해 인정해주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Biliary Atresia Entry For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