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th

검색결과 527건 처리시간 0.029초

활쏘기를 통해 본 몽골 신화상의 후흐데이 메르겐의 형상과 성격 (A Study on the Forms and Character of Huhdai Mergen in Mongolian Mythology through the archery)

  • 이안나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185-214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forms of master archer Huhdai Mergen from Mongolian mythology and his character through archery. In Mongolian mythology, master archer Huhdai Mergen is usually connected to the regulation of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in Heaven and the creation of stars. Such a series of acts are conducted through archery, which used to be performed as an incantatory ritual to resolve a disaster in life, dispel an evil spirit, and pray for affluence as well as for hunting. In Mongolian mythology, Huhdai Mergen is a master archer and hunter that rises to Heaven while hunting a deer and becomes Sirius with the deer becoming Orion. The Mongolian have believed that the two constellations protect them since ancient times. While Orion is related to the deer totem, Huhdai Mergen or Sirius is related to the wolf totem faith. Huhdai Mergen takes too much pride in his archery skills and ends up causing damage to himself,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pattern of controlling the power of personified Huhdai Mergen through excessive natural force. He also has something to do with Polaris, which is regarded as the stake to bind his horse to by the Mongolian. They also believe that their ancestral gods reside in the horse stake or column. The stake is the residence of Huhdai Mergen protecting the Mongolian people, which reflects his aspect as an ancestral god. He is also depicted as the god of thunder and lightning born in a cow. The stones he throws and the arrows he shoots in Heaven are the embodiments of thunder and lightning. The Mongolian have understood lightning of dispelling an evil spirit and striking wicked things as the arrow of Huhdai Mergen. The god of thunder and lightning has the attributes of a fertility god such as eliminating bad devils and bringing affluence. Huhdai Mergen is also manifested as the creator to create the earth and the savior to save mankind. Such forms all derive from his archery skills.

종교상의 이유로 수혈을 거부하여 사망한 메틸 말로닌산 혈증 환아 2례 (Two Cases of Methylmalonic Acidemia where Refusal to Blood Transfusion Led to Death)

  • 장하원;이용욱;장미영;길홍량;김숙자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0-54
    • /
    • 2018
  • Jehovah's Witnesses do not accept blood transfusions, because of their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en people with such religious convictions are in need of medical care, their faith and belief may become an obstacle for proper treatment, and pose legal, ethical, and medical challenges for the health care providers. We report two inherited metabolic disorder cases in South Korea where the infants died whilst under medical care because of parental refusal of blood transfusions for religious reasons. Case 1 had methylmalonic acidemia, Down syndrome and associated congenital cardiac anomalies requiring surgery. Case 2 had anemia and methylmalonic acidemia requiring dialysis to treat hyperammonemia and metabolic acidosis. For effective medical management, they needed life-saving blood transfusions. As a part of alternative treatment, Erythropoietin was administered in both cases. As a result, two babies died from their extremely low hemoglobin and hematocrit. The hemoglobin concentrations below 2.7 g/dL without cardiac problem and 5.4 g/dL with cardiac anomaly complicated by pulmonary hypertension are considered life-threatening hemoglobin threshold. The medical professional must respect and accommodate religious beliefs of the patients who can make informed decisions. However, when parents or legal guardians oppose medical treatment of their babies and incompetent care receivers on cultural and religious grounds, the duty to assist and save persons exposed to serious danger, particularly life-threatening events must come first.

  • PDF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go-subjectivity Recovery Experience of the Wives of Alcoholics)

  • 최미란;조희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76-58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배우자들이 남편인 알코올중독자와의 공동의존관계에서 벗어나 자아주체성을 어떻게 회복하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 5인과 1:1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Giorgi[1]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분석과정에서 연구자들은 '공동의존(자아주체성 상실)', '피폐한 삶', '자아의 버팀목', '자아에 대한 자각', '자아주체성 회복'을 포함하는 총5개의 주제를 추출했다. 둘째, 연구자들은 모든 주제들을 통합하여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의 자아에 대한 자각을 통한 자아주체성 회복'이라는 본질적 주제를 뽑아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 여성배우자들에 대한 다양한 심리치료 시스템의 적용과 상담, 가족 및 신앙의 힘을 바탕으로 하는 자아버팀목에 관한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했다.

국가기록 전시의 의미화에 대한 이용자 수용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Acceptance and Change upon Exhibitions of National Archives)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57호
    • /
    • pp.5-33
    • /
    • 2018
  • 기록은 그 속성이 주는 견고하고 사실적인 능력으로 인해 시각적 이미지를 통한 전시 프로그램에 주요 동원 매체가 되었다. 시각적으로 재현된 이미지는 그 메시지를 소비하는 집단이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의미적 이미지로 발화된다. 본 연구는 기록이 사회적 생명력을 갖고 기록의 전시를 통해 돌아오는 것이며 이미지와의 작용을 통해 과거를, 기억을 '재매개'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기록의 활용 중 전시를 이용자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전시가 기록을 선별, 배치하는 과정 속에서 그 기관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도구이자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가기록 중 특히 기억 갈등의 중심에 있는 "대통령" 기록 전시를 기억의 문화적 실천 관점에서 분석한 후 이용자들의 실제 전시 관람과 설문을 통해 어떻게 전시 의미를 수용하고 저항하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와 결과를 밝혔다.

군보안상 해킹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cking countermeasures in Military security)

  • 김두환;박호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3-142
    • /
    • 2017
  • 군보안상 해킹에 대응하기 위하여 군조직문화의 특성과, 군조직내 물리보안의 개념, 정보통신상의 해킹 개념을 이해하고, 군보안상 해킹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대응방안을 통해 군의 물리보안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군내부망에 대한 맹신에서 벗어나 H/W적인 보강방안, 군내 정보통신자산에 대한 통제방안, 국방망과 인터넷망과의 연동이 되는 접점에 대한 보안통제 강화방안, 법적인 보완장치, 군에 지원되는 외주용역업체 및 외부민간업체에 대한 인원 시설 보안측면에서의 보안관리방안 등이 요구된다. 군조직에서 해킹의 위험성과 실제 발생한 해킹사례의 분석을 통해 국방망에 대한 해킹보안을 위한 강화대책과 법규적 보완장치 및 외주용역직원 통제방안 등에 대한 정책수립이야말로 정보통신기술적인 H/W 안전장치와 연계하여 물리적인 접근차단방식 등의 적용보다도 오히려 군조직 특성에 효율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해킹 대응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간호대학생활 경험 (Nursing Colleg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 박정숙;조은주;최은정;조현미;배지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4-33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nursing college life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identify their meaning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mong six undergraduates or graduates from nursing colleges,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of Colaizzi-one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Results: Six categories drawn as a result of research include 'Be bumped against hard reality wall', 'Bondage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ndure and stand with strength of faith', 'Myself grown up along with work', 'Becoming one amid differences', and 'Stepping towards unificatio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academic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North Korean defectors might experience at nursing colleges. And it may also help people to learn that they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ion of the nursing fields of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nation's unification. Along the way,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basic data to establish national policy helping North Korean defectors adapt to nursing college life, and develop the supporting system of colleges as well as setting up appropriate supports and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ursing field.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Archival Exhibitions and Photographs in the Age of the Image)

  • 조민지
    • 기록학연구
    • /
    • 제39호
    • /
    • pp.73-100
    • /
    • 2014
  • 한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난 과거의 기억을 현재화하여 문화적 기억으로 생산해내는 것을 필요로 한다. 과거와 현재가 갖는 시간적 격차에 의한 망각의 상황은 흔히 기념일이나 기념 공간 등으로 현재화되고 있다. 각기 반영하는 재현 형식은 다르지만 지나간 과거가 어떻게 기억되고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와 관련되어 있다. 기록, 특히 국가가 확보한 진본 기록은 지나간 현재에 대하여 지금의 현재에 설득이 가능한 증거라는 존재론적 특징을 가지며 근원적 객관성에서 연원한 신뢰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이 가진 이러한 엄정함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시각적 전시 행위를 통해 구체적 기억의 촉발성을 구현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재현 공간에서 과거를 이해하는데 국가 기록, 특히 사진기록의 의미와 전시 활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중국 소수민족 묘족(苗族) 납염의 특성 (Batik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inority Miao)

  • 용루루;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iao people's Batik patterns and provide data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for the utilization of the traditional pattern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atik dyeing, which was listed on Chin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Danzhai, Anshun, Huangping, and Gonghye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symbolism, abstraction, decorativeness, and playful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ymbolism can be classified into the origins of the Miao, symbols of faith, history of migration, and the symbols of status with Batik patterns from different regions, seemingly involving various symbolic implications. Due to the absence of letters, Miao people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history in the design patterns. A series of developments in recent years has led to incorporating the temperament of the Miao people, history of migration, expression of emotions, and ideal hopes in Batik dyed design patterns and the symbolic func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emphasized. Second, the decorativeness is mainly characterized by repeated patterns of the Miao Batik dyeing design. The overall patterns demonstrate design features characterized by regularization and simplification, along with a sense of rhythm with the unique arrangement of patterns. Third, the abstractness of the Batik dyeing design patterns is often found in plant and animal patterns, properly delivering new designs created by Miao women by extracting and rearranging various elements, including dots, lines, and faces shown in natural images. Fourth, playfulness is expressed by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Miao Batik patterns, and were created by applying patterns or other elements to original forms to express animal or plant patterns in a playful way.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iritual Formation Process of Modern Christian Women : Focusing on Hwang Ester and Eo Yoon Hee)

  • 김희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369-407
    • /
    • 2020
  • 본 글은 근대 여성기독교인의 영성형성과정을 황에스터와 어윤희를 중심으로 연구한 글이다. 먼저 기독교 영성의 개념을 맥그래스(McGrath)의 정의 "기독교 영성은 진정으로 의미 있는 그리스도인의 존재에 대한 탐구이며, 기독교의 근본적인 개념들을 함께 묶어주어 삶과 연관시키는 것으로 기독교 신앙의 범위와 규범 안에서 살아가는 삶의 총체적인 경험이다"로 보며 '그리스도인의 존재'와 '총체적인 경험'에 초점을 두어 그리스도인의 존재됨은 제자됨으로, 총체적인 경험은 그 범위를 시민사회로 확장하여 시민됨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를 황에스터와 어윤희의 생애사를 통해 이들 여성의 영성을 제자됨과 시민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성의 제자됨과 시민됨은 불가분의 관계이며, 참된 제자됨은 바른 시민됨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십성당(十省堂) 엄흔(嚴昕)의 시세계(詩世界) (A study about Eom Heun's poetry)

  • 권혁명
    • 동양고전연구
    • /
    • 제49호
    • /
    • pp.137-160
    • /
    • 2012
  • 본고는 십성당 엄흔의 시세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가 특히 주목한 점은 엄흔의 현실인식과 이를 바탕으로 지향한 삶의 태도이다. 엄흔은 당대의 현실을 부정(不正)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훈구파에 의해 독점되는 세계로서 시비곡직(是非曲直)을 가리느라 시끄러운 세상, 풍랑 이는 바다, '풍상(風霜)'과 '루의(?蟻)' '구탁조(求啄鳥)' 등에 의해 오동나무가 말라 죽은 태평스럽지 못한 세상이었다. 엄흔은 이러한 부정(不正)의 현실 속에서 고사(高士)와 같이 명철보신하는 출처(出處)를 택하지 않았다. 그가 지향한 삶의 태도는 부정(不正)의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그러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갖추고 세한(歲寒)의 절조를 지키며 세상을 구제하는 것이었다. 엄흔이 구름이 모이면 사라지고 구름이 걷히면 나타나는 달을 비판하고 세한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경초(勁草)(굳세고 질긴 풀)와 푸르름과 하늘을 찌를 우뚝함을 갖춘 정원의 소나무(정송(庭松))를 찬미한 것은, 바로 경초(勁草)와 정송(庭松)과 같은 삶을 살아가겠다는 엄흔의 삶의 지향이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