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disaster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4초

Radiological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of the IF-System Facility of the RAON

  • Lee, Cheol-Woo;Whang, Won Tae;Kim, Eun Han;Han, Moon Hee;Jeong, Hae Sun;Jeong, Sol;Lee, Sang-ji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58-65
    • /
    • 2021
  • Background: The evaluation of skyshine distribution, release of airborne radioactive nuclides, and soil activation and groundwater migration were required for radiological assessment of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Flight (IF)-system facility of the RAON (Rare isotope Accelerator complex for ON-line experiment) accelerator complex. Materials and Methods: Monte Carlo simulation by MCNPX code was used for evaluation of skyshine and activation analysis for air and soil. The concentration model was applied in the estimation of the groundwater migration of radionuclides in soil. Results and Discussion: The skyshine dose rates at 1 km from the facility were evaluated as 1.62 × 10-3 μSv·hr-1. The annual releases of 3H and 14C were calculated as 9.62 × 10-5 mg and 1.19 × 10-1 mg,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3H and 22Na in drinking water were estimated as 1.22 × 10-1 Bq·cm-3 and 8.25 × 10-3 Bq·cm-3, respectively. Conclusion: Radiological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on the IF-facility of RAON was performed through evaluation of skyshine dose distribution, evaluation of annual emission of long-lived radionuclides in the air and estimation of soil activation and groundwater migration of radionuclides. As a result, much lower exposure than the limit value for the public, 1 mSv·yr-1, is exp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IF-facility.

A rule based file management tool for facility log files integration in disaster environments

  • Lee, Young-Geol;Lee, Younlae;Kim, Hyunah;Jang, Yeonyi;Park, Minjae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73-82
    • /
    • 2018
  • We often experience complex presence of files within the compute environment. It could be an end-user's desktop environment or a professional part of file management. We would like to suggest one way to manage these different cases of duplicate files. It is a rule-based file management tool, and we want to use it as a tool to consolidate facility management log files. In this paper, we will describe the rule-based file management tools and show examples of how files are managed using them. We are interested in the management of the disaster environment and would like to apply this method to the management of log data related to facilities to be consider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청소년의 지진방재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ouths'Awareness of Earthquake Prevention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 구원회;신호준;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14-219
    • /
    • 2013
  • 본 연구는 지진발생에 따른 국내 외 피해 및 학교시설의 피해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진방재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지진에 대한 위험성은 알고 있으나, 대피방법 및 대피요령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의 정보는 미숙하였다. 이러한 의식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시설의 지진방재대책을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완충저류시설 설계 시 고려사항 분석을 통한 합리적 항목 제시 (Suggestion the Rational Items with Comparison and Review for Designing of Buffering Retention Facility)

  • 안상현;정영훈;곽제상;엄명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3-34
    • /
    • 2022
  • 유독성 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사고 방지 및 수환경 보호를 위해 정부에서는 완충저류시설의 설치를 제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완충저류시설은 사고유출수 및 초기우수를 저류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긍정적인 역할에도 불구하고 관련연구 및 시설의 설계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충저류시설 설계 도서를 분석하여 어떠한 항목을 설계에 반영하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항목을 도출하고, 완충저류시설 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완충저류시설의 설계에 필요한 항목을 제안하였다.

재난 위험신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연결망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by Utilizing Disaster Risk Big Data)

  • 한지아;정덕훈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5-63
    • /
    • 2016
  • 최근 기후변화 및 사회구조 변화에 따라 신종 또는 복합재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재난예방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의 재난예방활동 중 가장 대표적인 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국민안전처의 "안전신문고" 주요처리사례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민이 신고한 위험시설 신고내용의 키워드를 파악하여 시설간 계절 및 지역별 신고 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 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시설 키워드를 중심으로 1-mode, 2-mode를 구성하였으며 계절별, 지역별로의 분포 차이를 분석하였다.

  • PDF

재해 시 보급 가능한 실외 임시주거시설 디자인 계획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Plan of Out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That Can Be Supplied at The Time of Disaster)

  • Kim, Minseok;Ju, Jaeseong;Yeom, Taejun;Park, Mij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73-190
    • /
    • 2017
  •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그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인구 과밀화로 사회적 재난도 빈번해지며 지역과 범위, 피해가 다양해서 예측이 어렵다. 재해가 다양해지고 피해규모도 커지면서 재해 시 이재민의 규모와 대피기간이 다양해졌다. 주거를 상실한 이재민에게 2차 피해로부터 보호받을 시설을 신속하게 제공해야 한다. 이에 조립식 주택을 지원하고 있지만 보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피시설의 수용능력이 부족하거나 대피시설이 미비할 때 신속한 보급이 가능한 실외용 임시주거시설을 계획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자연 재해로 인한 피해 경감을 위한 구호 물류 거점 계획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Facility Planning for Relief Logistics Relieving Damage from Natural Disaster)

  • 한수민;정한일;박진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64
    • /
    • 2018
  • 최근 들어 자연재해의 빈도 및 강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역시 늘어남에 따라, 재난 현장에 대한 대응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구호 물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인 물류 거점의 위치와 규모를 선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호 물류에서의 거점은 물자의 비축을 수행하는 일반 물류 거점의 기능 외에도 이재민 수용, 부상자 응급 처치 등 다양한 기능을 겸비해야 하며, 거점의 위치를 선정하는 기준 역시 거리 외의 거점의 신뢰도 및 주변 환경의 위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IoT 센서를 이용하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재난물류 거점문제는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기능의 배치에 대한 고려 역시 포함하여야 한다. 이를 풀이하기 위하여, 혼합정수계획 모델에 기반을 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재해 발생 시나리오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하여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지역안전도 진단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afely Index for Community Disaster)

  • 장대원;정상만;박무종;김형수;서병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19-1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재해 발생 위험과 피해규모를 재해연보상의 다양한 유형으로 재구성하고 시설물별 재해 저감능력 및 예방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각 지표는 기상학적, 수문학적 취약성과 재해 발생 확률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GIS 기반의 DB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시설물별 저감능력 대비 피해규모를 매칭하여 지역안전도를 진단하였다. 개발된 안전도 지표는 지역의 인명을 보호하고, 피해를 감소하며, 방재 시설물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재해 유형별 피해유형분석을 GIS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과 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ary Spaces and Area Standards of Integr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37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시설 질 균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이 갖추어야 할 필요공간과 면적기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표15와 같이 반드시 필요한 필수공간과 교육 보육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면 좋을 권장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별 면적기준(안)을 표23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울러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영유아 1인당 대지면적과 연면적, 연면적 대비 공용면적의 비율을 각각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