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lity

검색결과 11,362건 처리시간 0.144초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Social Welfare Facility Type)

  • 신효진;공하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89-97
    • /
    • 2014
  • 이 연구는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사회복지시설의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총 12개 사회복지시설에 소속된 204명의 시설이용자와 시설관리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차이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그리고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에 있어서 시설관리운영직원의 인식수준이 시설이용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유형에 따른 안전관리분석 결과는 건강가정지원센터 관리자 및 사용자의 안전 인식수준이 안전관리인식, 안전관리실태, 시설구조 및 설비인식의 모든 분야에 있어서 다른 사회복지시설의 응답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6~10년 미만 시설의 응답자 보다 10년 이상 된 시설 응답자의 안전관리인식과 시설구조 및 설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건물높이에 따른 안전인식에 있어서는 3층과 4층이 1층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닥면적과 안전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400m^2$ 미만 또는 $600m^2$ 이상의 바닥면적을 가진 응답자들의 안전인식이 400 이상${\sim}600m^2$ 미만 응답자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시기능 검사값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of Visual Function Findings)

  • 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1-389
    • /
    • 2005
  • 근거리에서 폭주와 조절 상태를 평가하여 시기능 검사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안질환이 없는 성인남녀 92명에 대해 양안 완전 교정 후 양안 균형을 취한 굴절 교정 도수를 시험테에 장용 시킨 후, 근거리(40 cm)에서 MEM 검영법 및 Bell 검영법(Welch Allyn, USA), 조절 용이성 검사(${\pm}2.00$ D Flipper, Bernell Co., USA), 버전스 용이성 검사(Prism Flipper, Bernell Co., USA)를 실시하였다. MEM 검영법에 의한 조절래그 검사는 양안이 같은 수준의 조절반응을 보였고, Bell 검영법에 의한 양안의 조절래그는 MEM의 결과보다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절래그가 낮을수록 조절 용이성은 높고, 편광을 이용한 양안 조절 용이성이 적녹을 이용한 양안 조절용이성보다 높았다. 단안 조절 용이성은 좌 우안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차이가 없음을 보였으며, 단안 조절 용이성이 높을수록 양안 조절 용이성도 높았다. 또한 단안 양안 조절 용이성이 높을수록 버전스 용이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능 검사값은 환자의 시기능 치료에 임상적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시민 의식 조사 (Citizen's Attitude to Environmental Facilities)

  • 정재춘;정원태;탁성제;강헌
    • 유기물자원화
    • /
    • 제3권2호
    • /
    • pp.97-102
    • /
    • 1995
  •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시민의 의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시민이 쓰레기 처리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퇴비화시설을 가장 많이 지어야 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시민들이 가장 싫어하는 시설은 매립장이었고 분뇨처리장, 소각장, 퇴비화시설의 순이었다. 집과의 허용이격거리는 매립장은 4km 이상, 소각장과 퇴비화시설은 2km 이상, 하수처리장은 1km 이상 떨어져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많았다. 지역주민이 원하는 보상정도는 이사비용 + 토지가 + 불편 감수비용 (토지 및 건물가격과 비등한 금액) 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처리시설에 대한 수용도에 있어서는 완벽한 처리시설이라도 30% 정도의 응답자가 허용을 하지 않겠다고 응답하였다.

  • PDF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ional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 이현직;박은관;최동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0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데이터모델 표준화에 대한 연구로 시설물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시설물 관련 응용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주제중심의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를 표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먼저 기본지리정보관련 선행연구인 기본지리정보 구축 연구 및 시범사업에서 정한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인 건물, 문화재를 검토하고 국내 외 표준 또는 데이터 모델 사례를 분석하여 대상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면담과 관련연구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범위선정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의 대상이 되는 최종항목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및 데이터모델을 개발 할 수 있었다.

노인 장기 요양시설 적응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for El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정경화;조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15-224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을 대상으로 시설적응 특성, 시설적응과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및 시설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1년 1월 2일부터 3월 15일까지, 수도권 소재 9곳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인지기능이 정상인 65세 이상 노인 17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F 검정,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의 적응은 입소결정자(p=.004), 종교(p=.027), 입소동기(p=.009)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시설의 적응은 일상수행능력, 시설의 질과 약한 순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요인으로 입소결정자, 입소동기 개인면담, 종교, 지각한 건강상태가 나타났으며 22.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설입소 노인의 시설적응을 돕고 시설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축물의 용도별 자전거주차장 설치기준 및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stallation Regulation and Condition about a Bicycle Parking Facility of Buildings)

  • 이성옥;김수암
    • KIEAE Journal
    • /
    • 제9권6호
    • /
    • pp.73-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rules and regulations about a bike parking facility, With the objective of expanding bike parking facilities for the comfort of bikers. In Korea, the requirements to establish the facility comply with several regulations like laws for the encouragement of bike usages,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encouragement of bike usages, regulations of Gyeonggi Regional Corporation rules and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nd requirements for the approval of green buildings. Such rules regulate the number of parking spo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nearby houses and the size of a parking facility. Amongst the foreign regulations about the facility is 'obligatory regul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bike parking facility' in Japan. In the United States, all states apply rules about the bike facility to determine the number of bike parking spot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car parking spots. Comparing Korean rules regarding the bike parking facility with those of foreign governments will give a good insight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regula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age of bikes, 30 houses in Goyang city, 35 schools, 16 retails shops and 20 medical centers were researched. Thereafter, a correlation test between the size of buildings and the number of bike parking spots was carried out. The result of the test indicates that there is a lack of space for bike park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ke parking facility be installed with a convenient access to a buil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bike usages.

공공시설물관리 역량 진단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Diagnosing Management Capabilities of Public Facility)

  • 성유경;유위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5-566
    • /
    • 2020
  • 최근 국내 공공시설물의 노후화가 가속화되며 기존의 사후 유지관리 방식은 총체적이고 선제적인 시설자산관리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향후 공공시설물관리는 안전성 제고와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시설에 대한 가치 평가, 생애주기 관리 계획, 재원 마련 등의 확장된 역량 확보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 기준을 기반으로 공공시설물관리를 위한 역량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관리 주체별 환경을 고려해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의 성숙도 개선 자료를 제공한다. 개발된 역량 진단 모델은 공공시설물의 10개 관리 역량, 113개의 역량 진단 요인, 관리 역량의 계량화 지수, 관리 활동을 정의하는 성숙도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공공시설물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본 고에서 제시한 시설자산관리지수는 공공시설물을 운영하는 관리기관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역량 향상을 위한 방향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버전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모바일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Version Management Facility)

  • 배상호;이영걸;오원진;한승희;배연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7-420
    • /
    • 2007
  •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 on-site management tool to collect and update various facility data. But there is a chance to make a data inconsistency between lot of concurrent workers. A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requires to keep records about work log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provide efficient data synchronization mechanism using version managent technique on large facility data in concurrent work environment. And proposed system is able to keep workers update log persistently.

  • PDF

노인장기요양시설 치과촉탁의제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amendments of long-term care-related legisl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part-time facility dentists)

  • 소종섭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0호
    • /
    • pp.696-704
    • /
    • 2015
  • The coverag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the elderly is expanding to denture and implants. Although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was just being settled, Oral health service was not provided to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had part-time facility doctors. However, there is no dentist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because of lack of long-term care insurance-related legislations. The amendments of long-term care insurance-related legisl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part-time facility dentists are needed because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y are vulnerable to oral health. For the substantial management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service model for the elderly and education materials for the dental team will be needed. Also, adequate dental service fee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will be needed.

학교시설내 노인복지시설의 복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ning for Mixed-use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School)

  • 최재영;이종국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7-81
    • /
    • 2009
  •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of domestic is the actual condition where the countermeasure which is various for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that is already experiencing the aging society, is considered. The expansion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of the area where is located among the rest in the situation as a matter of metropolitan area of domestic ephemerality and the price of land which the earth has, duplication operation etc. is having a problem point and the ephemerality which are various. About of composition different facility and leads with alternative and expansion and function of function and facility leads and the synergy effect which is various shows. So this study is consequently does the school facility which is located in life circle of the city center in middle of composition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and other facility and in the object and under proposing boil the complex at the time of spatial composition blueprint with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and the scho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