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vertical chang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Discrepancies in Soft Tissue Profile of Patients for Orthognathic Surgery between Preoperative Lateral Facial Photograph, Lateral Cephalogram and Supine Position on Operation Table

  • Jung, Young-Eun;Yang, Hoon-Joo;Hwang, Soon-J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180-185
    • /
    • 2012
  • Purpose: An accurate preoperative analysis of the patient is essential in orthognathic surgery in order to acquire superior results. In profile, the location of the chin's position may change according to the neck's inclination. This may ultimately affect the amount of surgical movement. During acquisition of cephalometric radiographs, or in supine position, there is a discrepancy in the neck's inclination. This means that there are also various discrepancies between the actual profile and the various preoperative profile images. In the clinical situation, the decision in performing genioplasty usually lies in the analysis of the patient's profile on the operating table at the final stages of orthognathic surge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t preoperative profile images and to compare their discrepancies. Methods: Fifty eight patients undergoing orthognathic surgery were chosen.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ngle's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s class I, II or III. The right profile of these patients in centric occlusion wa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NHP). This was set as the 'actual profile image.' Another right profile image was taken on the operating table after insertion of the nasotracheal intubation and with muscle relaxants in effect. This was also taken in centric occlusion. The angle (denoted 'A') between the soft tissue glabella-pognion and the true vertical plane was found in the above-mentioned profile images and in the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differences of these value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Angle 'A' in all of the preoperative images. These values were however,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n order to gain an esthetic profile during orthognathic surgery, the NHP is shown to be the most reliable position. Images reproducing such head positions should be used in the treatment planning process.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악(하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Soft Tissue Change After Single Jaw(mandible)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박광수;이희경;진병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97-208
    • /
    • 1997
  •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경, 연조직 변화를 관찰하고 수술전후의 경, 연조직 변화의 상관성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 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영남의료원 치과에 내원하여 상하악골의 수직적인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수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89년 10월부터 1997년 1월 중에 하악골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성인 환자 25명(남자 12명,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안면부의 연조직의 수평적인 후방 이동은 상당한 유의성을 가지고 나타났으나 수직적인 변화는 거의 없었다. 2. 하악골의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의 후방이동을 시행한 경우 상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증가하고 (p<0.01) 하순의 상대적인 돌출도는 감소하였으며(p<0.01) 하악골 전방부의 연조직의 두께는 증가하였다(99% 유의수준).

  • PDF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아에서 facemask의 효과와 재발 양상 (THE EFFECT AND RELAPSE PATTERN OF FACEMASK THERAPY FOR CLASS III MALOCCLUSION CHILDREN)

  • 김지연;유승은;이지현;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0-42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열기 3급 부정 교합 환아에서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 치료 후 골격적 변화와 치료 후 나타나는 재발 양상을 평가하는 것이다.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 환아 15명을 대상으로 구내장치로 bonded expander, 구외장치로 facemask를 이용한 악정형 치료를 평균 12 개월 동안 시행하였으며,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유지 장치는 사용되지 않았다. 치료 시작 전, 치료 직후, 치료 1년 후에 측면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전후방 및 수직적 골격관계와 연조직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치료 직후, 유의할 만한 골격적 전후방 관계의 변화를 보였고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재발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치료 효과는 유지되었다. 수직적 골격적 변화는 치료 직후 증가되었으나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 다시 감소하여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조직의 변화는 facial convexity 및 상순의 위치가 치료 직후 개선됨을 보였고 1년 간의 follow-up 기간 동안에도 치료 전과 비교하여 치료효과는 유지되었다. 하순의 위치는 치료 직후에 유의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Facemask는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며, 안정적인 치료 결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형태의 유지장치가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개방교합성 골격헝태를 갖는 부정교합자의 기도크기 (Airway size in malocclusions with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 곽소영;김효영;전영미;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93-305
    • /
    • 2003
  • 인두는 호흡과 연하를 수행하는 기관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의 기능 및 형태는 두개악안면구조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과 개방교합성 골격형태에서 인두와 연구개, 혀 그리고 설골을 포함하는 기도크기를 비교하고 또한 각 군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51명의 정상골격군(정상군)과 52명의 개방교합성 골격군(개방골격군)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연령에 따라 아동군(9-12세)과 성인군(18세 이상)으로 나누었다. 측모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이 촬영하였고 안면 골격과 인두, 연구개, 혀 그리고 설골의 거리, 각, 비율을 계측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군과 개방골격군 모두 SN-Mn angle, FMA와 Pal-Mn angle은 아동군에서 성인군보다 컸으며, facial height ratio(FHR)는 성인군보다 아동군에서 작았다. Occl-Mn angle은 개방골격군과 정상군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아동군과 성인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2. SN-Mn angle, FMA, Palatal-Mn angl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LAFH), FHR 등은 정상군보다 개방골격군에서 기도크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성인군보다 아동군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개방골격 아동에서 SN-Mn angle, FMA, Palatal-Mn angle은 비인두의 골격적 전후방 크기와 비인두강의 전후방 깊이와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이나 이는 성인이 되면 사라졌다. LAFH는 기도의 수직적인 계측치와 높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라서 기도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인두의 연조직 두께는 성인군에서 아동군보다 작았으며 비인두강의 깊이는 성인군에서 더 큰 값을 보였고, 아동군과 성인군에서의 구인두강의 깊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아동군과 성인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직적으로는 성인군에서 아동군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아동의 악안면성장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CRANIOFACIAL GROWTH ANALYSIS OF KOREAN CHILDREN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 탁선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3-366
    • /
    • 1988
  • Craniofacial complex is influenced by numerical skeletal elements. Though the analysis of growth change has been done by various analytical methods, it was dependent on any method of registration and superimposition, based on reference plane and reference point. However, the craniofacial growth is composed of a number of local growth elements.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use a clinically useful method for estimating craniofacial skeletal growth independently. The author analysed longitudin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 of 15 Korean males and 15 Korean females aged from 6 to 12 years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craniofacial skeletal complex and soft tissue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independent local growth. 2. Regression equations from the value of each strain will make it possible to predict the craniofacial growth. 3. The growth of anterior cranial base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facial bone. 4. The growth of posterior cranial base influenced the growth of upper pharyngeal region, midfacial region, maxilla and posterior region of mandible. 5. The growth of maxillary complex was vertical rather than horizontal. 6. The growth direction of ramus, mandibular body, alveolar bone was various. 7. The relation between hard tissue and soft tissue by finite element method was variant.

  • PDF

장안모증환자의 술후 안정성 및 연조직변화에 대한 연구 (AN EVALUATION OF POSTOPERATIVE STABILITY AND SOFT-TISSUE CHANGES OF THE LONG FACE SYNDROME PATIENTS)

  • 김신원;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59-69
    • /
    • 2001
  •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postoperative stability and soft-tissue osseous relations of the long face syndrome patients.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bimaxillary surgery to correct long face syndrome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valuated. The lateral cephalograms of preoperative, 1 week postoperative and at least 1 year postoperative were examined. Results : 1. The facial height of the long face syndrome patients were longer than normal Korean adults. 2. The most common malocclusion type of the long face syndrome patients in Korea was class III. 3. Horizontal postoperative skeletal relapses were $-0.64{\sim}0.80mm$ in the maxilla, and $-0.56{\sim}0.48mm$ in the mandible. 4. Vertical postoperative skeletal relapses were $0.20{\sim}0.56mm$ in the maxilla, and $-0.80{\sim}0.20mm$ in the mandible. 5. Postoperative soft tissue changes in long face syndrome patients were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skeletal changes. So prediction schemes for postoperative soft-tissue changes were obtainable. Conclusion : It is hard to predict the exact direction and quantity of the postoperative skeletal relapse in long face syndrome patient's orthognathic surgery because of large standard deviation. But soft tissue change is predictable via prediction scheme.

  • PDF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의 측방변위와 두개관형태 사이의 연관성 (RELATIONSHIPS BETWEEN MANDIBULAR LATERAL DEVIATION AND MORPHOLOGY OF THE CRANIAL VAULIT)

  • 신상욱;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94-606
    • /
    • 1996
  • 저자는 하악골의 측방 변위를 보이는 악안면 비대칭증례에서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여 두개부 형태와 악안면부의 비대칭성과의 상호 관련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하악골의 편위정도는 평균 $-3.12{\pm}3.80$ 이며 절대치의 평균은 $2.50{\pm}2.82$ 이였다. 2.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비편위측과 편위측에 대한 유의성 검정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그 차이의 평균은 전두부(Y10, Y9, Y8, Y7, Y6)에서는 편위측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측두부(Y5, Y-1, Y-2, Y-3, Y-4, Y-5, Y-6)에서는 비편위측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3.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술전의 하악골의 평균 편위는 $1.3983{\pm}3.521$ 이며 절대치의 평균은 $3.95{\pm}2.85$ 이였다. 4.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수술에 의한 변화량 (PT2A-PT1A) 에 대한 재발량(PTLA-PT2A)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수술에 의한 이동량이 많을 수록 재발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이하두정방사선규격사진에서 하악골 편위정도에 대하여 두개관 형태(비변위-변위차이)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변위가 클수록 전두부에서는 비변위측이, 후두부에서는 변위측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6. 정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골의 변위 정도에 대한 두개관(비변위-변위)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Y4(P<0.05), Y3, Y2, Yl, 0, Y-1, Y-2, Y-4, Y-6(P<0,01), Y-5(p<0.001) 등의 위치에서 하악골의 변위 정도가 클수록 비변위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7. 정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하악골 재발에 대한 두개관(비변위-변위)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P>0.05), 측두부에서는 비변위-변위 차이가 클수록 재발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 PDF

하악지 길이증가를 위한 수술방법들간의 회귀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ELAPSE AFTER RAMAL LENGTHENING IN DIFFERENT SURGICAL METHODS - RADIOGRAPHIC EVALUATION)

  • 이충국;장현호;박정현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6호
    • /
    • pp.636-643
    • /
    • 2000
  • Facial asymmetry is the most frequent disease in craniofacial deformities. And the primary causing area of that is mostly placing in mandible. That is to say, it is known that primarily, mandible grows excessively or deficiently, and other facial region involving maxilla undergoes compensatory growth secondarily, so asymmetric face develops. In facial asymmetry, the surgical correction of undergrowth is more difficult than that of overgrowth and the reason of it is the postoperative relapse caused by stress of surrounding soft tissues. It means the stress of surrounding soft tissues occurring after bone lengthening and reducing above stress is the same meaning with reducing postoperative relapse. Among various areas, mandibular ramus is the most difficult area to lengthen vertically and maintain its length. The reason of it is considered by many authors as the stress of surrounding pterygomasseteric sling which is enveloping lower border of mandible and interrupting elongation of ramal height. So we applied two different surgical procedures in which pterygomasseteric slings have different stress respectively to monkeys which have similar masticatory function and anatomy to human being and compared relapse by radiographic film and observed periodically the histochemical change of masseteric muscle fiber. So we could see the following results. The relapse was less in EVRO group in which we separated pterygomasseric sling in inferior border and didn't approximate muscle sling after vertical lengthening to minimize the stress of soft tissues than IVRO group in which we elongated ramal height preserving pterygomassetric sling. Of course, we could see a problem in EVRO group such as bone resorption in inferior border caused by uncovering the periosteum of inferior border. But we expect that such problem will be solved by developing periosteum substitutes for covering the exposed bone and minimizing the surgical trauma. In histochemical study of masseteric muscle fiber, the fiber constituents of EVRO group in which we minimized soft tissue stress was changed immediately after operation and maintained it for 1 year, whereas that of IVRO group in which we preserved soft tissue stress was changed in more portion after operation and recovered it by 1 year. By the histochemical results, we can see that the recovery of fiber constituents reflect the recovery of muscle stress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relapse phenomenon.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 및 인후 내시경적 연구 (CEPHALOMETRIC AND NASOPHARYNGEAL ENDOSCOPIC STUDY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149-165
    • /
    • 1999
  • The pathomechanism of obstructive sleep apnea(OSA) is not clearly elucidated. The possible mechanisms are pathologic reduction of pharyngeal muscular tonus during sleep, abnormal anatomical stenosis of nasopharyx or a combination of the above two mechanisms.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the cause(anatomical location or pathologic dynamic change) of OSA in order to treat it. Cephalometric analysi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good method for evaluating anatomical morphologic change but it cannot give any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changes occurring during sleep. On the contrary, nasopharyngeal endoscopy offer 3 dimensional image and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changes. Accordingly, these two diagnostic tools can be utiliz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OSA Cephalometric analysis of craniofacial skeletal and soft tissue morphology in 53 patients with OSA and 43 controls was performed and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 were performed in 9 patients with OSA in order to come up with individualized therapy plan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Patients with OSA showed 1. body weight gain 2. clockwise mandibular rotation 3. increased anterior lower facial height 4. inferiorly positioned hyoid bone 5. increased length of soft palate 6. decreased sagittal dimension of nasopharyx 7. increased vertical length of inferior collapsable nasopharyx 8. increased length of tongue Through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mutually cooperative in diagnosis), 9. one can find the possible origin of OSA and make a adequate individualized therapy plan and predict accurate prognosis. Cephalometric analysis and nasopharygeal endoscopy are highly recommended as a diagnostic aid in OSA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