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 component detecti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5초

PCA와 SVM에 기반하는 빠른 얼굴탐지 방법 (A Fast Method for Face Detection Based on PCA and SVM)

  • 하춘뢰;신현갑;박명철;하석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29-1135
    • /
    • 2007
  • 얼굴인식기술은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CA와 SVM 기술을 사용하는 빠른 얼굴인식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먼저 지역 히스토그램 분포를 분석하여 생성한 통계적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얼굴가능영역을 필터링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비얼굴 영역이 제거되기 때문에 탐지 과정의 처리속도가 향상된다. 다음으로는 PCA 특징 벡터가 생성되고, SVM 분류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영상 내에 얼굴이 존재하는지를 탐지한다. 본 논문에서의 테스트 영상은 CMU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으며, SVM의 학습을 위한 얼굴과 비얼굴 샘플들은 MIT 데이터 세트로부터 선택하였다. 얼굴탐지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동영상에서 최적의 얼굴색 정보와 움직임 정보에 기반한 얼굴 영역 추출 (The Extraction of Face Regions based on Optimal Facial Color and Motion Information in Image Sequences)

  • 박형철;전병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2호
    • /
    • pp.193-200
    • /
    • 2000
  • 자연스러운 사용자 작업 환경인 헤드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얼굴 영역 추출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동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색상 정보를 이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HSI 컬러 모델과 YIQ 컬러 모델의 각 색상 성분인 H(hue)와 I(in-phase)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의 추출 성능을 비교한다. 먼저 각 색상 성분에 대해 임계 구간 변화에 따른 최적의 얼굴색 구간을 설정하여 얼굴 영역 추출의 정확도를 비교한다. 다음으로 설정된 최적의 얼굴색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결합한 영상에 대해 얼굴 박스를 추출함으로써 최종적인 얼굴 영역 추출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한다. 실험 결과, 최적의 얼굴색 정보를 표현하는 구간은 HSI의 H 성분의 경우 $0^{\circ}{\sim}14^{\circ}$, YIQ의 I 성분은 $-22^{\circ}{\sim}-2^{\circ}$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최적 구간에 의한 각 색상 성분의 얼굴 영역 추출의 정확도에서는 I 성분이 H 성분에 비해 약 10% 정도 높은 추출율을 나타냈으며, 최적의 얼굴색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결합한 영상의 경우에서도 I 성분이 약 3% 정도의 보다 나은 얼굴 영역 추출 결과를 얻었다.

  • PDF

TV컬러 배경영상에서 얼굴영역 검출 알고리즘 (Algorithm of Face Region Detection in the TV Color Background Image)

  • 이주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72-67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텔레비전 칼라영상에서 사람의 피부색을 기반으로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피부색을 샘플링하여 기준영상으로 놓고, 텔레비전 영상의 화소와 기준영상의 화소 사이의 유클리디안(Euclidean) 거리를 이용하여 얼굴후보 영역결정을 하였다. 얼굴 후보영역에서 눈 검출은 RGB 칼라를 CMY칼라 모델로 변환 하여 Y와 C 사이의 색차성분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검출 하였다. 입술 영역은 RGB 칼라모델에서 YIQ 칼라 공간으로 변환 하여 Q 요소로 입술 영상을 검출 하였다. 얼굴영역 검출은 눈 영상과 입술 영상을 논리연산 하여 지식 기반으로 결정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텔레비전 칼라영상에서 입력받은 정면 칼라 영상으로 실험한 결과, 얼굴영역 검출이 얼굴의 위치와 크기에 관계없이 검출됨을 보였다.

색상요소를 고려한 얼굴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e detection using color component)

  • 이정하;강진석;최연성;김장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40-24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이미지에서 색상 요소를 기초로 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얼굴의 특징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얼굴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색상변환을 하였다. 얼굴 특성요소를 찾기 위하여 윤곽선검출을 이용하였다. 얼굴영역의 상단부분에서 눈의 요소를 찾고, 눈과 입의 지정학적 위치를 이용하여 입의 후보영역을 지정하고 입을 찾도록 하였다. 검색영역을 좁혀 계산량을 줄임으로서 탐색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일반적인 얼굴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함으로서 얼굴표정, 얼굴색변화, 기울짐에 대해서도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실시간 영상처리를 이용한 얼굴 인증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Face Authentication System Using Real-Time Image Processing)

  • 백영현;신성;문성룡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3-199
    • /
    • 2008
  • 본 논문은 실시간 영상처리 기반의 얼굴 인증시스템 구현을 제안하였다. 실시간 얼굴 인증 시스템 구현을 위해 두 단계의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첫 번째 얼굴검출 단계에서 Wavelet 변환, LoG 연산자, Hausdorff 거리 매칭 알고리즘의 특징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얼굴 검출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실시간 얼굴 인식을 위해 적용한 새로운 dual-line 주성분분석법은 일반적인 주성분분석법의 국부적인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라인에 수평라인을 결합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크기나 해상도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모의실험 결과 기존 알고리즘보다 더 우수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얼굴 인증시스템의 구현을 통하여 성능검증 및 실시간으로 처리됨을 확인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얼굴인식 출입관리 시스템 (Gate Management System by Face Recognition using Smart Phone)

  • 권기현;이형봉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9-1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얼굴인식을 통해 출입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에서 얼굴인식을 위한 사용가능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조사하였다. 얼굴 인식의 첫 단계는 얼굴검출이며 다음 단계는 얼굴인식이다. 얼굴 검출을 위해서는 컬러 세그멘테이션, 템플릿매칭 등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얼굴 인식을 위해서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에 기반을 둔 Eigenface와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에 기반을 둔 Fisherface를 비교하여 구현하고 적용하였다. 스마트 폰의 제한된 하드웨어에서 얼굴인식시스템을 구현하는 관계로 알고리즘의 정확도와 알고리즘의 계산 복잡도 사이에서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였다.

적응적 얼굴 검출기와 칼만 필터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추적 시스템 (Real-Time Face Tracking System using Adaptive Face Detector and Kalman Filter)

  • 김종호;김상균;신범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1-249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real-time face tracking system using effective detector and Kalman filter. In the proposed system, an image is separated into a background and an object using a real-time updated face color for effective face detection. The face features are extracted using the five types of simple Haar-like features. The extracted features are reinterpret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interpreted principal components are used for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at classifies the faces and non-faces. The moving face is traced with Kalman filter, which uses the static information of the detected faces and the dynamic information of changes between previous and current frames. The proposed system sets up an initial skin color and updates a region of a skin color through a moving skin color in a real time. It is possible to remove a background which has a similar color with a skin through updating a skin color in a real time. Also, as reducing a potential-face region using a skin color, the performance is increased up to 50% when comparing to the case of extracting features from a whole region.

웨이블렛 변환과 HMM을 이용한 고유공간 기반 얼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igenspace Face Recognition using Wavelet Transform and HMM)

  • 이정재;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2121-2128
    • /
    • 2012
  • 본 논문은 Wavelet 변환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 영역 검출을 제안하였으며, 계산의 효율성과 검출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강인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검출된 얼굴 영상은 주성분 분석을 통해 저차원 얼굴 심볼로 구성하여 얼굴을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기하학적인 특징 기반 방법이나 외관기반 방법의 비해 많은 계산 량이 요구 되지 않고 최소한의 정보를 사용하고도 높은 인식률을 유지 할 수 있기에 실시간 시스템 구축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얼굴 인식 시 발생하는 잘못된 인식이나 인식 오차를 줄이기 위해 고유 공간상에 투영된 모델 특징 값을 군집화 알고리즘을 통해 특정한 기호로 구성하여 은닉마르코프 모델의 입력 기호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의의 입력 얼굴은 확률 값이 가장 높은 해당 얼굴 모델로 인식하게 된다. 실험 결과 기존의 방식인 Euclidean과 Mahananobis방법 보다 제안한 방법이 잘못된 매칭이나 매칭 실패에서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였다.

실 환경에서의 인간로봇상호작용 컴포넌트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Human Robot Interaction Components in Real Environments)

  • 김도형;김혜진;배경숙;윤우한;반규대;박범철;윤호섭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65-175
    • /
    • 2008
  • For an advanced intelligent service, the need of HRI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and the technology has been also improved. However, HRI components have been evaluated under stable and controlled laboratory environments and there are no evaluation results of performance in real environments. Therefore, robot service providers and users have not been getting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level of current HRI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vide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erformance of the HRI components on the robot platforms providing actual services in pilot service sites. For the evaluation, we select face detection component, speaker gender classification component and sound localization component as representative HRI components closing to the commercializat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reference performance on appling the HRI components to real robot environments.

  • PDF

비강압적 홍채 인식을 위한 전 방향 카메라에서의 다각도 얼굴 검출 (Multi-views face detection in Omni-directional camera for non-intrusive iris recognition)

  • 이현수;배광혁;김재희;박강령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컴퓨터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15-118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 of detecting multi-views faces and estimating their face poses in an omni-directional camera environment for non-intrusive iris recognition. The paper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moving region is identified by using difference-image information. Then this region is analyzed with face-color information to find the face candidate region. Second part is applying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detect multi-view faces, to estimate face po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