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fixatio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5초

보편적 주시특성을 반영한 시야각 보정 공간구조 분석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View Angle Correctio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Observation)

  • 김석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17-6924
    • /
    • 2015
  • 인간의 시각구조는 시야각과 가시거리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시지각에 기반한 대다수의 공간구조분석이론은 시야각을 반영하고 있지 않거나 평면적인 시야각만을 고려하고 있다. 일부 반영하는 이론들도 시야각에 포함된 부분과 제외된 부분을 이분법적으로 분리시킨 이론으로서 인간의 보편적 주시특성이 배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하여 시야각의 한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시야각별 주시확률을 도출하여, 이를 3차원 가시성 분석이론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시야각체 제한이 가능한 공간 시지각 분석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여기에 시야각별 Multiple frustum culling의 개념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주시특성 파악은 33명을 대상으로 이동형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임의의 공간에 대한 3분간의 보행과정을 측정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각도별로 주시고정 빈도 확률을 분석하여 데이터를 마련하였다.

초등학생의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이 개념성취와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BF Question on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재선;양일호;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2-318
    • /
    • 2023
  • 이 연구 목적은 시스템 사고가 요구되는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을 제시한 경우, 초등학생의 개념성취 수준과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BF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질문 유형을 달리한 과학 텍스트를 제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개념성취 수준 및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였다. 개념성취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집단 내·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Eye-tracker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시선을 추적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참여 동의서를 통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6명이다(연구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된 학습 내용 전까지만 학습한 상태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발한 개념 검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와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된 과학 텍스트를 학습할 때의 시선이동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은 유효한 학습 전략이었다. 학습자에게 구조(Structure)-작용(Behavior)-기능(Function)과 관련된 질문을 순차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을 때, 일반적인 질문보다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SBF 질문은 집단 간 사전·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둘째, SBF 질문은 선개념이 높지 않은 학습자에게 개념성취에 도움이 되는 영역을 학습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주기반 관점의 시각 자료와 함께 SBF 질문을 제시하였을 때, 교과서의 일반적인 질문을 제시한 경우보다 학습자의 총 시선고정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임을 시선이동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하였으며, SBF 질문으로 학습한 학습자의 개념성취 수준이 향상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SBF 질문이 시각 자료가 함께 제시된 과학 텍스트 학습 과정에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한다는 실증적인 증거이다. 반면, 과학적 선개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는 SBF 질문의 효과보다 학습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이 견고한 핵으로 작용하여 탐구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절별 별자리 학습 과정에서 SBF 질문의 효과를 사전·사후 검사와 시선이동 분석을 통해 정량적인 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계절별 별자리 학습 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초등학생의 계절별 별자리 학습과 관련된 지도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로교통에 있어서 운전자 주시특성분석 (Study on Analysis of Driver's Visual Characteristics in Road Traffic)

  • 김대웅;임채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25
    • /
    • 1990
  • In road traffic, road circumstances, vehicle, and driver a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When road facilities are established in road planning, only road structure has been considered. However, relatively little work has been done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road circumstances and human with respect to a driver.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analysis of driver's visu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road circumstances. In this study, driver's visual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with eye-mark recorder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is study includes that visual characteristics, visual range, visual time, distribution of fixation duration, and visual moving angle with respect to road circumstances are establish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y driving testing vehicle on streets, roads and high-ways. The main features of this study are : The driver's visual ranges are different over 10% depending on lane in multi-lanes. The visual range on two-lanes is more than twice as big as that on multi-lanes at 85% of whole vision. The right and left visual ranges by as big as that on multi-lanes at 85% of whole vision. The right and left visual ranges by as big as that on multi-lanes at 85% of whole vision. The right and left visual ranges by as big as that on multi-lanes at 85% of whole vision. The right and left visual ranges by speed are $34^{\circ}$ for 30-50km/hr, $28^{\circ}$ for 50-70km/hr, $22^{\circ}$ for 70-90km/hr and 16^{\circ} for over 90km/hr at 95% of visual rate. Accordingly, increasing speed results in narrow visual range.

  • PDF

RGP 콘택트 렌즈의 내부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nternal Ultrastructure on the RGP Contact Lens)

  • 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58
    • /
    • 2001
  • RGP 콘택트렌즈는 각막에 대한 부작용이 적어 눈의 굴절이상에 대한 교정으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사전자 현미경 의해 RGP 렌즈의 내면 미세구조를 밝히기 위해서 여러 가지 실험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1% $OsO_4$ 또는 tannic acid 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좋은 관찰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콘택트렌즈 내면 구조는 둥근 형태의 규칙적인 배열을 가진 입체 형태의 소공이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 고정을 하지 않는 콘택트렌즈에서는 입체적인 모양이 선명하지 않으며 소공 사이의 경계도 분명하지 않았다.

  • PDF

Cerebellar vermis atrophy로 인한 Spinocerebellar Ataxia환자(患者) 치험(治驗) 1례(1例) 보고(報告) (Case report on Spinpcerebellar Ataxia(SCA) with cerebellar vermis artophy)

  • 조현열;배은정;이경민;서정철;한상원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2
  • Objective : In 1983 Autosomal dominent spinocerebellar ataxia(ADCA) has been classified to four types by a useful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Harding. Since 1993 ADCA referred to as SCA by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W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in SCA patient through oriental medical treatment. Methods & Results : The assessment included neurophysiological examination and clinical symptoms. For example slow saccade, gaze limitation, upward and lateral, nystagmus, truncal and gait ataxia. The patient(M/30) was clinically charaterized by ocular abnormalities, trunkal and gait ataxia and the MRI showed atrophy of cerebellar vermis. The patient was taken both common acupuncture and Dong-Si venepuncture on Hwasan with herbal medicine. Before the treatment Rt. ocular movement were slowed and a significant eye fixation was observed always in abduction and intermittently presented trunkal and gait ataxia. During the treatment trunkal and gait ataxia has not been presented and ocular obnomalities changed to normal state. This cas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SCA but further observation is needed on this patient.

  • PDF

소비자 시선 분석을 통한 소셜로봇 태도 형성 메커니즘 연구: 로봇의 얼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chanism of Social Robot Attitude Formation through Consumer Gaze Analysis: Focusing on the Robot's Face)

  • 하상집;이은주;유인진;박도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09-414
    • /
    • 2021
  • 본 연구는 소셜로봇 디자인 연구의 흐름 중 하나인 로봇의 외형에 관하여 시선 추적을 활용하고자 한다. 소셜로봇의 몸 전체, 얼굴, 눈, 입술 등의 관심 영역으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시선 추적 지표와 디자인평가 설문을 통하여 파악된 사용자의 태도를 연결하여 소셜로봇의 디자인에 연구 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로봇에 대한 사용자의 태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로봇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사이트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선 추적 지표는 고정된 시간(Fixation), 첫 응시 시간(First Visit), 전체 머문 시간(Total Viewed), 그리고 재방문 횟수(Revisits)이며, 관심 영역인 AOI(Areas of Interests)는 소셜로봇의 얼굴, 눈, 입술, 그리고 몸체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디자인평가 설문을 통하여 소셜로봇의 감정 표현, 인간다움, 얼굴 두각성 등의 소비자 신념을 수집하였고, 종속변수로 로봇에 대한 태도로 설정하였다.

  • PDF

시각정보획득과정에 나타난 주사판정과 성별 주시특성 - 지하철 홀 공간을 대상으로 - (Scanning Determination & Observation Features by Sex shown in the Process of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 With the Object of Subway Station Hall Space -)

  • 김종하;최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15-124
    • /
    • 2014
  • This study has carried out scanning tests in order to figure out the features of scanning search by sex of space users, with the result of which the validity of data has been estimated. In this research, the scanning patterns were set up for verifying the typology of scanning paths and then the reason for determining scanning paths and the validity of estimation method were reviewed. Since the observation features depends on sex, the analysis of visual activities for acquiring any information in a space will reveal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space users. The findings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scanning pattern by sex which were found at the determination of scanning patterns can be defined as the followings. First, for estimating the process of space-information search, the movement distance at each point of continuative-observation data from the angle of eye-movement has been extracted, on the ground of which the fixation and movement of eye have been defined for the establishment of scanning-cut characteristics. Second, the scanning times were estimated for the extraction of effective observation data that would b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which showed that men had more data (3,398.2/64.4%) than women (2,998.2/55.6%). This enables the acknowledgment that the scanning cut of men was relatively less, which indicates that men will acquire more information on space than women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ny space. Third, men's scanning times (58.0 times/2.02 seconds) were less than those of women (71.9 times/1.39 seconds) while the scanning time of the former was longer than that of the latter, which shows the feature that it takes longer for men than women in scanning while the scanning times of the former is less than those of the latter. Fourth, the observation features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bination of this result with the predominance character by sex for a general viewpoint to be employed indicates that while men employ mixed-scanning for observation activities to acquire space-information spending for longer time, women, by concentrated-scanning, focus on a single point for shorter time or stay at one location for a considerably long time for space-information acquirement.

얼굴 매력도와 신뢰성 평가에서 시각적 주의의 차이 (Difference in visual attention during the assessment of facial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 성영신;조경진;김도연;김학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533-540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필수적인 얼굴 인상형성 과정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매력도와 신뢰성을 평가할 때 시각적 주의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얼굴 신뢰성과 매력도를 평가하는 동안 안구추적기(eye-tracker)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시선움직임을 측정하고, 이 후 히트맵(heatmap) 분석을 통해 평가과제 간 차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매력도를 평가할 때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평가할 때, 얼굴의 주요요소라 할 수 있는 눈과 코 부위에서 더 많은 시선응시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참가자들이 실험 1과 동일한 얼굴 평가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얼굴의 각 요소에 단어를 짧게 제시하였다. 실험종료 후 실시된 회상검사 결과, 신뢰성 평가과제 시 코부위에 제시되었던 단어의 회상률이 매력도 평가과제 시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신뢰성 판단은 시각적인 주의적 자원(attentional resources)의 할당과 관련된 측면에서 얼굴 매력도와는 구분되는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안구운동 기반의 사용자 묵시적 의도 판별 분석 모델 (Discriminant Analysis of Human's Implicit Intent based on Eyeball Movement)

  • 장영민;;김철수;이민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6호
    • /
    • pp.212-220
    • /
    • 2013
  • 최근 사용자의 생체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지향상을 위하여,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간-컴퓨터/기계 상호작용 (Human computer/machine interaction: HCI/HMI) 시스템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인간-컴퓨터/기계 상호작용 기반의 효과적인 사용자 인지향상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명시적 의도 파악과 더불어 사용자의 묵시적 의도 파악이 중요하다. 사람의 시각 운동 이론에 따르면, 사람의 안구운동 정보와 동공 반응은 사람의 의도와 행동에 대하여 많은 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묵시적 의도를 판별하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영상의 관심(흥미) 영역 (area of interest: AOI) 내에서의 안구운동 패턴인 응시 시간/횟수, 동공 응답 패턴의 동공크기와 동공의 크기변화인 기울기 정보를 분석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항행적 의도 발생, 정보적 의도발생, 정보적 의도 소멸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인간의 묵시적 의도를 식별한다. 여기서 항행적 의도란 주어진 자극영상 내에서 무언가 흥미로운 것을 찾는 행위를 말하며, 이에 반해 정보적 의도는 특정 위치에서 특정 객체는 찾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안구운동 패턴과 동공분석 정보 기반으로 서로 다른 묵시적 의도인 항행적 의도, 정보적 의도 발생, 그리고 정보적 의도 소멸 사이에서 그 천이를 감지할 수 있는 계층적 SVM (hierarchical support vector machine: H-SVM)을 이용하였다.

피각부 자발성 뇌내출혈의 혈종흡입술을 위한 지표 (Guidelines for Free-Hand Aspiration(FHA) of Putaminal Hemorrhage)

  • 임신길;오민석;임준섭;강명기;곽연상;박승규;송경배;김한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94-299
    • /
    • 2001
  • Objectives : CT-guided stereotactic evacuation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can minimize the brain damage and can be performed safely and simply under local anesthesia. But that procedure is time consuming and has a risk of rebleeding because of the stress during head pin fixation. So authors describe easy and precise guidelines for FHA of putaminal hemorrhage without stereotactic instrument. Methods and Materials : We analyzed the data of 298 patients who underwent CT-guided stereotactic aspiration of putaminal hematoma in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0.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hematoma : anterior portion, middle portion and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Total number of catheters inserted into the hematoma were 345 and there were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and depth of catheters. Results : Proposed guidelines of catheter insertion to putaminal hemorrhage in our institution. 1) hematoma at the an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external auditory meatus(EOM) and 1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6.5cm. 2) hematoma at the middle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1cm and 2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5-7cm. 3) hematoma at the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15 degree laterally from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2cm and 3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7-7.5cm. We have performed FHA of putaminal hemorrhage in 48 cases according to this guideline. All catheter were inserted exactly at the center of hematoma and average operation time was about 30 minutes. Conclusion : Our proposed guidelines for putaminal hemorrhage are considered to be safe and simple method with similar accuracy and rapid decompress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stereotactic method. Main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were unnecessity of stereotactic frame application and less time requirement for hematoma remo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