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BF Question on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이 개념성취와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3.07.31
  • Accepted : 2023.08.28
  • Published : 2023.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o the effect of presenting SBF questions on the level of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that requires systems thinking.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BF questions wa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ison groups, and scientific texts with different question types were presented to analyze the level of conceptual achievement and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Data analysis quantitatively analyzed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of the developed concept test paper and the eye movement data when learning scientific texts related to seasonal constell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SBF question was a valid learning strategy for learning seasonal constellations. The SBF ques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pre- and post-test between group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in the pre- and post-test within the group. Second, SBF ques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by inducing learners with low preconceptions to area of interest that help them achieve concepts. In other words, when presenting SBF questions with visual data from a space-based perspective, it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eye movement analysi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fixation count (p<0.01) of learners. On the other hand, for learners with high scientific preconceptions, the effect of exploration was not significant because the preconceptions of the learners themselves acted as a hard core rather than the effect of SBF question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studies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data through pre- and post-test and eye movement analysis in the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process, and can help elementary students learn seasonal constellations.

이 연구 목적은 시스템 사고가 요구되는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을 제시한 경우, 초등학생의 개념성취 수준과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BF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질문 유형을 달리한 과학 텍스트를 제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개념성취 수준 및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였다. 개념성취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집단 내·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시선이동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Eye-tracker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시선을 추적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참여 동의서를 통해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6명이다(연구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된 학습 내용 전까지만 학습한 상태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개발한 개념 검사지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와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된 과학 텍스트를 학습할 때의 시선이동 자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은 유효한 학습 전략이었다. 학습자에게 구조(Structure)-작용(Behavior)-기능(Function)과 관련된 질문을 순차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을 때, 일반적인 질문보다 더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SBF 질문은 집단 간 사전·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집단 내 사전·사후 개념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둘째, SBF 질문은 선개념이 높지 않은 학습자에게 개념성취에 도움이 되는 영역을 학습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주기반 관점의 시각 자료와 함께 SBF 질문을 제시하였을 때, 교과서의 일반적인 질문을 제시한 경우보다 학습자의 총 시선고정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p<0.01)를 보임을 시선이동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확인하였으며, SBF 질문으로 학습한 학습자의 개념성취 수준이 향상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SBF 질문이 시각 자료가 함께 제시된 과학 텍스트 학습 과정에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한다는 실증적인 증거이다. 반면, 과학적 선개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학습자에게는 SBF 질문의 효과보다 학습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이 견고한 핵으로 작용하여 탐구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계절별 별자리 학습 과정에서 SBF 질문의 효과를 사전·사후 검사와 시선이동 분석을 통해 정량적인 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계절별 별자리 학습 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초등학생의 계절별 별자리 학습과 관련된 지도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민석, 양일호, 김오범, 임성만(2014). 달 위상 변화의 시각화 자료에서 SBF 질문에 따른 예비교사와 초등학생의 시선 이동 차이. 초등과학교육, 33(2), 273-285.
  2. 김경아, 이형철(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초등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발문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35(1), 1-12.
  3. 김완수, 심현진(2018).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42(1), 49-65.
  4. 김형욱, 정소진, 정소리, 문성윤(2018).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2(1), 37-48.
  5. 노자헌, 손준호, 정지현, 송진여, 김종희(2019). 단계별 질문 중심 단원의 설계가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2), 151-164.
  6.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7. 박지선, 장진아(2019). 한국, 영국, 싱가포르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질문의 유형과 특징 비교: '그림자와 거울'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13(2), 159-170.
  8. 백희정, 장동민, 이경화(2022). 학습목적 읽기에서 독자의 질문 생성과 읽기 자원 참조 양상 연구: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Brain, Digital, & Learning, 12(2), 323-342.
  9. 송보라, 최숙기(2021). 가짜뉴스판별과정에서 예비교사의 읽기 양상과 전략분석-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Brain, Digital, & Learning, 11(4), 589-615.
  10. 신현지, 조지영(2022). 비대면 Remote 설계교육에서 증강현실과 시선추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설계융합연구, 21(5), 32-52.
  11. 임성만(2020a). 예비교사의 과학교과서 학습 과정 중에 나타나는 '화살표'에 대한 시각적 주의 및 '화살표'의 시선 유도성 분석: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11-225.
  12. 임성만(2020b).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3. 장기범, 신동훈(2013). 과학 교과서 삽화 제시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해도 및 안구운동 분석. 한국초등교육, 24(4), 147-166.
  14. 정경우, 윤종국, 이광호(2018). 수학영재 학생들의 분석적 증명 학습 효과 검증을 위한 시선추적기의 사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2(3), 275-296.
  15. 채동현, 신정윤, 김은애(2022). 초등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및 탐구 활동 지도의 어려움 탐색.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13-223.
  16. 한제준(2021).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 교사 인식 연구.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67-276.
  17. 현동호, 양경은(2016).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안개념 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2(2), 97-113.
  18. Coskun, A., & Cagiltay, K. (2021). A systematic review of eye-tracking-based research on animated multimedia learning. Jouran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8(2), 581-598.
  19. Eberbach, C., Hmelo-Silver, C. E., Jordan, R., Taylor, J., & Hunter, R. (2021). Multidimensional trajectories for understanding ecosystems. Science Education, 105(3), 521-540.
  20. Elder, L., & Paul, R. (1998). The role of socratic questioning in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Clearing House, 71(5), 297-301.
  21. Hegarty, M., & Just, M. A. (1993). Constructing mental models of machines from text and diagram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6), 717-742.
  22. Hmelo-Silver, C. E., & Pfeffer, M. G. (2004). Comparing expert and novice understanding of a complex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es, behaviors, and functions. Cognitive Science, 28(1), 127-138.
  23. Hmelo-Silver, C. E., Marathe. S., & Liu, L. (2007). Fish swim, rocks sit, and lungs breathe: Expert-novice understanding of complex system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6(3), 307-331.
  24. Kress, G., Jewitt, C., Ogborn, J., & Tsatsarelis, C. (2001). Multimodal teaching and learning: The rhetorics of the science classroom. Continuum, p. 188.
  25. Lemke, J. (1998). Multiplying meaning: Visual and verbal-semiotics in scientific text. In Reading science (pp. 87-113). London: Routledge.
  26. Liu, L., & Hmelo-Silver, C. E. (2009). Promoting complex systems learning through the use of conceptual representations in hypermedi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1023-1040.
  27. Lowery, L. F., & Leonard, W. H. (1978a). A comparison of questioning styles among four widely used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5(1), 1-10.
  28. Lowery, L. F., & Leonard, W. H. (1978b). Development and method for use of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textbook questioning sty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8(5), 393-400.
  29. Mason, L., Pluchino, P., Tornatora, M. C., & Ariasi, N. (2013). An eye-tracking study of learning from science text with concrete and abstract illustration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81(3), 356-384.
  30. Mason, L., Scheitert, K., & Tornatora, M. C. (2017). Using eye movements to model the sequence of text-picture processing for multimedia comprehension.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33(5), 443-460.
  31. Mayer, R. E. (1997). Multimedia learning: Are we asking the right ques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2(1), 1-1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201_1
  32. Misra, I., Suar, D., & Mandal, M. K. (2010). Revis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preference and lateral eye movement. Psychological Test and Assessment Modeling, 52(3), 261-271.
  33. Negi, S., & Mitra, R. (2022). Native language subtitling of educational videos: A multimodal analysis with eye tracking, EEG and self-repor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 Technology, 53(6), 1793-1816.
  34. Oldfield, R. C. (1971).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9(1), 97-113. https://doi.org/10.1016/0028-3932(71)90067-4
  35. Paggio, P., & Tse, A. P. P. (2022). Are Emoji processed like words? An eye-tracking study. Cognitive Science, 46(2), 1-35.
  36. Pena, B. M., & Quilez, M. J. G. (2001). The importance of images in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125-1135.
  37.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r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38. Plummer, J. D., Udomprasert, P., Vaishampayan, A., Sunbury, S., Cho, K., Houghton, H., Johnson, E., Wright, E., Sadler, P. M., & Goodman, A. (2022). Learning to think spatially through curricula that embed spatial trai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9(7), 1134-1168.
  39. Rayner, K. (1998). Eye movements in read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20 years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24(3), 372-422. https://doi.org/10.1037/0033-2909.124.3.372
  40. Roth, W. M., & McGinn, M. K. (1998). Inscriptions: Toward a theory of representing as social practi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1), 33-59.
  41. Stadtler, M., & Bromme, R. (2013). Multiple document comprehension: An approach to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Cognition and Instruction, 31(2), 122-129.
  42. Subramaniam, K., & Padalkar, S. (2009). Visualisation and reasoning in explai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43. Tai, R. H., Loehr, J. F., & Brigham, F. J. (2006). An exploration of the use of eye gaze tracking to study problem solving on standardized science assess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29(2), 185-208.
  44.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57).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