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050건 처리시간 0.047초

인산감수성(燐酸感受性)이 다른 대두엽(大豆葉)의 엽록소(葉綠素) 및 산화효소(酸化酵素)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Sources on Chlorophyll, and Oxidases in Soybean Leaves different in Phosphorus Sensitivity)

  • 박훈;찰스 A. 스뚜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1
    • /
    • 1973
  • 대두(大豆)의 인산감수성(燐酸感受性)과 관련(關聯)하여 엽중(葉中)의 엽록소(葉綠素) 및 산화효소활성(酸化酵素活性)에 대(對)한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암모니움태(態)와 요소태(尿素態) 배양(培養)은 인산감수성(燐酸感受性)이 큰 품종(品種)에서 엽(葉)의 노화(老化)를 촉진(促進)시켰다. 질소원(窒素源)에 의(依)한 엽(葉)의 노화양상(老化樣相)은 생엽자체(生葉自體)의 흡광도(吸光度)로 명확(明確)하게 나타났다. 최고흡광파장(最高吸光波長)(메타놀 추출(抽出)에서 670nm, 생엽자체(生葉自體)에서 685nm)은 동일(同一)한 방법(方法)에서는 질소원(窒素源)에 의(依)하여 변(變)하지 아니하였다. 엽(葉)의 노화양상(老化樣相)에 의(依)하여 생리적(生理的) 감수성(感受性)의 일반적(一般的) 양상(樣相)을 검토(檢討)하였다. IAA-oxidase 활성(活性)은 초산태(硝酸態) 배양(培養)과 내인성품종(耐燐性品種)에서 암모니움 태배양(態培養)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 보다 컸다. Glycolate oxidase 활성(活性)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과 초산태배양(硝酸態培養)에서 높았다. Polyphenol oxidase 활성(活性)은 내인성(耐燐性) 품종(品種)과 요소배양(尿素培養)에서 컸다. 암모니움 과잉(過剩)은 ATP 생성(生成)(광인산화(光燐酸化) 및 산화적인산화(酸化的燐酸化))을 억제하여 광합성(光合性)을 조해(阻害)하고 인산과잉(燐酸過剩)도 암모니움 과잉(過剩)에 매우 유사(類似)한 것으로 결론(結論)되었다.

  • PDF

개심술 환자에서 술전및 술후의 폐동맥 고혈압및 혈역학적 변수들과 ET-1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Endothelin-1 Levels in Patients with Heart Disease Associated with Pulmonary Hypertension ; Potential role of Endothelin-1 in genesis of pulmonary artery vasospasm)

  • 박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6호
    • /
    • pp.650-660
    • /
    • 1992
  • To elucidate a potential contribution of endotheline-1[ET-1] to the genesis of pulmonary hypertension and postoperative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in the patients with heart disease, we measured plasma levels of the ET-1 during perioperative period of open heart surgery. In addition, we examined changes of ET-1 during perioperative period and correlations between ET-1 levels and hemodynamic variables. 12 patients including 5 acquired heart disease and 7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were selected randomly as a study group, Group A and B, respectively. 6 patients proved not having heart or hemodynamic problem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C. 110 blood samples from pulmonary artery[ET-P] and radial artery[ET-S] were taken and assayed by Sep-pak extraction and RIA. ET-1 levels of Group A were ET-P, 3.94$\pm$5.31pg /ml, ET-S, 3.10$\pm$2.90pg/ml[p>0.05], Group B were ET-P, 1.63$\pm$0.62pg/ml, ET-S, 1.99$\pm$2.45pg/ml[p>0.05], Group C were ET-P, 1.97$\pm$2.02pg/ml, ET-S, 1.72$\pm$0.77pg/ml[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T-1 levels among the Group A, B, C[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artery pressure[PAP] and ET-1 level[p>0.05], and ET-1 levels were not increased even in the cases of pulmonary hypertensive criwis or low cardiac output syndrome, where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T-S an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Rp] [r=0.36, p<0.05],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T-S and OS saturation of pulmonary artery[OS-P][r= -0.49, p<0.01] were identified. Another significant finding was peak increase of ET-1 levels in the postoperative period 1 hour[p<0.05] and then gra-dualy decrease through the postoperative period. In conclusion, ET-1 has no correlation with PAP, whereas correlation with Rp, and inverse correlation with OS-P. It is suggested that ET-1 is neither the direct causative substance of pulmonary hypertension nor pulmonary vasospasm but there must be increased production of ET-1 in chronic pulmonary hypertensive state. Counter-regulatory mechanism to ET-1 is speculated during the pulmonary vasospasm.

  • PDF

녹차, 우롱차 및 홍차의 용매별 추출물의 카테킨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chins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 이영자;안명수;오원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0-376
    • /
    • 1998
  • 대표적인 기호성 음료인 차의 발효정도에 따른 분류인 무발효차, 반발효차 및 발효차중 녹차, 우롱차 및 홍차, 그리고 녹차의 채엽 시기별에 따른 분류인 녹차 1번차, 녹차 2번차 및 녹차 3번차 등을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각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수율과 카테킨류 함량 분석 및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MeOH이 EtOH 및 EtAc 에 비하여 녹차류는 3~5배, 우롱차는 4~5배, 홍차는 5~7배 씩 각각 놓았다. 추출용매의 종류에 따른 총카테킨류 % 함량은 조카테킨이 EtOH 및 MeOH 추출물에 비해 홍차는 3배 , 녹차 및 우롱차는 2배정도 높은 것으로 EtOH이나 MeOH로 추출하는 것보다는 물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분리정제하여 얻은 조카테킨의 경우가 순도가 매우 높은 EC, EGC, ECG 및 EGCG를 얻을수 있었다. 용매별추출물을 200, 500, 1000ppm씩 기질대두유에첨가하여 항산화효과를 측정시 EtOH 추출물, MeOH 추출물, EtAc 추출물 모두가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 dl-α-tocopherol보다 좋은 항산화효과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많을 수혹 항산화효과가 증가하였다. 또한 EtOH 추출물을 200 및 5000ppm, MeOH 추출물을 200 및 500ppm , EtAc ncnfanf을 200ppmTlr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효과는 녹차I >녹차II>녹차 III> 우롱차>홍차의 순이었으며, 이때 항산화효과는 네가지 카테킨류 성분인 EGC 함량이 많을수록 비례하여 컸다. 그러나 , MeOH 추출물을 1000ppm, EtAc 추출물을 500 및 1,000 ppm씩 각각 첨가시의 항산화 효과는 카테킨류 성분인 EGC 및 EGCG 함량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식품 중 합성첨가물 사용실태 조사 연구 -타르색소 중심으로- (Evaluation of Tar Dyes Used in Commercial Foods)

  • 윤미혜;김국주;김정임;황선일;문수경;정은주;김재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13
    • /
    • 2000
  • 타르색소는 식품의 색상을 아름답게 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가공단계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식품 중에 첨가된 타르색소에 대한 정확한 분석으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으나 현행 식품공전에는 정성시험법만이 수재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연구 보고된 분석법들도 시료전처리가 복잡하고 색소별로 분석조건이 달라 동시 정량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되고 있는 사탕, 청량음료, 빙과 및 옥춘 등의 식품에 첨가된 타르색소에 대하여 새로운 전처리방법과 HPLC에 의한 동시정량으로 분석시간을 단축하고 정확한 사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황색4호, 황색5호, 적색2호, 적색3호, 적색40호, 청색 1호, 청색2호 등 7종의 타르색소에 대하여 시료 전처리법을 검토한 결과 aminopropyl amine cartridge를 이용한 색소 추출법으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처리과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었으며 대상식품별 회수율은 사탕 및 옥춘 66.1∼95.6%, 청량음료 69.2∼99.6%, 빙과 65.8∼96.8%의 결과를 얻었다. 대상 식품 4종 100개 품목에 대한 식품별 색소사용농도는 사탕류 N.D.∼50.l mg/kg, 청량음료 N.D.∼49.9 mg/kg, 빙과류 N.D.∼56.0 mg/kg로 비슷하였고, 옥춘의 경우 N.D.∼867.3 mg/kg로 다른 식품보다 15배 이상 진한 농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소별 사용빈도는 사탕류의 경우 황색4호, 청량음료는 청색1호, 빙과류는 적색2호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모든 대상식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색소는 황색4호, 전혀 사용되지 않는 색소는 청색2호로 나타났으며 2개 이상의 혼합색소 사용율이 많아 종합적인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상식품의 대부분은 타르색소가 FAO/WHO에서 권장한 일일허용섭취량보다 안전한 수준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적색3호와 적색2호가 867.3 mg/kg, 191.2 mg/kg이 검출된 옥춘과 적색2호가 44.8 mg/kg이 검출된 빙과류 등은 안전성이 우려되었다 또한 발암성의 이유로 미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적색 2호가 우리 나라에서는 사탕 등 어린이 선호식품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 PDF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약욕에 따른 양식어류 (넙치, 조피볼락, 참돔)의 조직내 잔류량의 변화 (Tissue Distribution after dipping administration of Oxy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 이후장;김석;하지영;강석중;정원철;정희식;허성혁;신용운;김경원;김대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4
    • /
    • 2006
  •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을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에 각각 약욕을 통하여 투여한 다음, 휴약기간 동안 근육조직 내 잔류와 분포를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해수 중에서 일정한 크기의 케이지에 일반 상업용 사료를 주어 사육하였고, 실험에 사용하기에 앞서 15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약제투여는, oxytetracycline 50 g을 물 1 톤에 투여하고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을 각각 30분 동안 약욕하였고, tetracycline 18 g을 물 1톤에 투여하고 실험어들을 5시간 동안 약욕하였다. 혈액과 근육시료는 약제투약 전, 약제투약 후 1, 2, 3, 그리고 5일에 각각의 실험어를 대상으로 채취하였다.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잔류분석은 고형상추출을 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Oxytetracycline의 회수율은 혈액에서는 71-77%이었고, 근육에서는 78-84%를 보였다. 또한, tetracycline의 회수율은 혈액에서 70-79%, 근육에서 73-78%를 보였다. 약욕 직후, 조피볼락의 근육 중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잔류농도가 넙치와 참돔의 근육 중 잔류농도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약욕 후 5일째에는, 모든 실험어의 근육 중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잔류농도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검출한계인 0.05 mg/kg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oxytetracycline과 tetracycline의 약욕을 통한 투여는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의 근육 중에서 안전휴약기간 보다도 일찍 소실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경구 또는 주사를 통한 투여보다도 체내 소실이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약재 추출물이 흰쥐의 혈장지질 및 혈당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nese Medical Material Extract on Plasma Lipids and Glucose in Male Rats)

  • 이미숙;한명규;이근보;박상순;홍영표;안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1
    • /
    • 2003
  • 황기, 당귀, 천궁, 감초, 구기자를 28:20:18:18:16(w/w)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 농축과정을 거쳐 50Brix 농도의 한약재 추출물 37.28%(w/w)를 얻었다. 이 추출물을 동물사육용 사료에 0∼5%(w/w) 혼합하여 냉동건조시켜 사료를 조제한 다음 실험용 동물인 쥐에게 4주간 취식 시킨 후 혈장 중성지 질, 총콜레스테롤, 인지질 농도변화 및 혈장 포도당과 혈장, 췌장, 근육조직의 인슐린 농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혈장지질 농도는 한약재 추출물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농도저하 효과가 인정되었고 3%(w/w) 처리군에서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함량이 각각 8.62%, 2.81% 및 2.11% 감소하였다. 혈장 포도당 농도도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어 3%(w/w) 처리군에서 3.61%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혈장, 췌장, 근육조직에서의 인슐린 농도는 증감을 반복하여 뚜렷한 효과를 입증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동물 자체에 당뇨를 의도적으로 유발시키지 않은데 기인하는 현상의 일부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열시간에 따른 닭뼈용출액 중의 유리아미노산과 무기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s of Chicken Bone Extracts by Boiling time)

  • 박희옥;이혜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4-248
    • /
    • 1995
  • 본 연구는 90-95$^{\circ}C$에서 물과 함께 가열하여 닭뼈 용출액을 만들고 유리아미노산과 아미노태질소 및 Ca, p, F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닭뼈 용출액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약 20%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Iysine, alanine, cysteine, glycine이 풍부하여 이들이 닭뼈 용출액의 주요 정미성분으로 인식되었다. 2. 닭뼈 용출액 중의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은 3시간 가열시까지 증가하였으며 4시간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3. Ca과 P은 3시간 가열시 각각 5.0 mg/100g chicken bone과 42.5 mg/100 g chicken bone이었다가 4시간 가열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Ca/P의 비율은 대체로 1:7.1-8.6정도로 P의 함량이 Ca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었다. Fe은 가열시간 증가에 따라 4시간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였다. 4. 관능검사 결과 닭뼈 용출액의 색은 5시간 가열시에 유의적으로 색이 진해 졌으며, 풍미는 3-4시간 가열시에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인 수응도는 3시간이상 가열시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닭뼈에서 Ca, P, Fe같은 무기질의 용출은 매우 낮아서 닭뼈 용출액이 무기질 섭취면에서 별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이나 유리아미노산과 아미노태질소로 인한 정미성분으로서의 이용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정미성분의 이용을 위해서는 90-95$^{\circ}C$에서 3-4시간 정도의 가열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응 표면 분석을 통한 비파엽 첨가 쌀음료의 비파엽 첨가량의 결정 (The Optimal Addition Level of Loquat Leaf Extract in the Rice Beverages)

  • 김일곤;김기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6-233
    • /
    • 2013
  • 비파엽을 첨가한 쌀음료의 개발에 있어서 과당, 크림, 그리고 비파엽 물 추출물의 농도는 최종 관능적인 맛과 기호도 모두에 유의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으며, 비파엽 물 추출물 자체의 쓴맛과 이미를 감소시키는 주요한 첨가물은 과당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그러나 비파엽을 첨가한 쌀음료는 대조구로 사용된 상용 쌀음료를 5점으로 하였을 때 반응 표면 분석의 결과로 예측된 최고 점수가 5점이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인 것을 보인다. 통계적 분석 방법의 결과인 Table 2의 전체 기호도 5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비파엽 추출물의 첨가량에 대한 과당의 첨가량의 상관 관계를 유의성이 떨어지는 항목을 배제하여 회귀식을 단순화하여 과당과 비파엽 추출물만의 식으로 나타내고, 이를 근거로 하여 과당과 비파엽이 기준시료 총 기호도의 5점에 해당하는 수준을 도달하기 위한 상호간의 관계식을 구하였다. 그 결과 과당 첨가량 = 0.618 ${\times}$(비파엽 추출물 Brix 18 고형분량)$^2$ + 0.406 ${\times}$ (비파엽 추출물 Brix 18 고형분량)으로 계산되었다. 결론적으로 비파엽 추출물의 쓴맛을 감소하는 효과는 크림이 있으나 선호도는 과당의 첨가량이 비파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음료의 기호도에 더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유의 k-Casein에서 분해된 Glycomacropeptide에 관한 연구; II. Trichloroacetic Acid의 농도에 따른 k-Casein Macropeptide 분별 특성의 변화 (Glycomacropeptide Hydrolysed from Bovine K-Casein ; II. Chromatographic Changes of k-Casein Macropetide as Related to Trichloroacetic Acid Concentration)

  • 문용일;이원재;오세종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8-482
    • /
    • 2005
  • k-Casein을 정제한 후 여기에 chymosin을 반응시켜 얻어진 k-Casein macropeptide에 대한 trichloroacetic acid 처리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ion exchange column으로 분별하여 chromatogram을 비교하였다. P-I의 경우 $3\%$ TCA에서는 전체 peak면적 대비 $46.64\%$이었으나, $6\%$$12\%$ TCA로 영향을 크게 받아 많이 침전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당 함량이 높은 peak들은 TCA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holera 독소와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된 P-III는 $3\%$ TCA에서는 $10.2\%$이었으나 $6\%$ TCA 경우에는 $26.3\%$로 상대적 면적이 증가하였으나 $12\%$ TCA로 처리한 경우에는 $13.2\%$로 감소하였다. $0.2\~0.3M$의 NaCl에서 용출되는 peak는 $12\%$ TCA에서도 상당한 안정성을 보였다. 0.18M의 NaCl gradient에서 용출되는 P-III는 $6\%$$12\%$ TCA처리시에도 cholera 독소와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proved Oxidative Stability of Enhanced Pork Loins Using Red Perilla Extract

  • Lee, Da Gyeom;Lee, Juri;Jo, Kyung;Lee, Cheol Woo;Lee, Hyun Jung;Jo, Cheorun;Jung, Samooe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98-905
    • /
    • 2017
  • Enhanced meat is defined as fresh meat that has been minimally processed to improve quality and consistency. The present work investigated the quality of enhanced pork loins manufactured with the extract of red perilla leaves (ERP). ERP was prepared by the aqueous extraction of red perilla leaves followed by lyophilization. Enhanced pork loins were produced by injecting brine (15% v/w). The treatments consisted of a control (brine containing no ERP), ERP 0.2 (brine containing ERP at a concentration of 2 g/kg of pork loin), and ERP 0.4 (brine containing ERP at a concentration of 4 g/kg of pork loin). The enhanced pork loins were stored at $4^{\circ}C$ for 7 d, and its quality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Addition of ERP decreased the $L^*$-value and increased the $a^*$- and $b^*$-values of enhanced pork loins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at all storage intervals (p<0.05). A significantly lower pH than that of the control was found in ERP 0.4 after 7 d of storage. The malondialdehyde contents of the cooked pork loi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RP 0.2 and ERP 0.4 than in those of the control after 4 and 7 d of storage (p<0.05). While ERP 0.4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cooked pork loin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ERP 0.2. Enhanced pork loins can be produced using ERP to improve their oxidative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