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traction

검색결과 17,087건 처리시간 0.04초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조성이 냉이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강도 및 정유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spersion Medium on Intens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Recovery of Essential Oil from Capsella bursa-pastoris by Steam Distillation)

  • 최향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27-833
    • /
    • 1996
  • 연속증류추출(SDE) 장치를 이용하여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분산매의 조성(pH, 당 및 염)에 따른 향기성분의 강도 및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분산매의 pH를 3, 5, 7및 9로 하여, 각 pH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패턴 및 냉이로부터의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에 가장 적합한 pH를 조사한 결과 분산매의 pH가 7일 때 총 51종의 가장 다양한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냉이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할 때 중성 pH 부근에서 수증기 증류하는 것이 향기성분의 구성 및 회수율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냉이를 수증기 증류할 때 분산매의 sucrose 농도가 10%, 20% 및 40%로 증가함에 따라 획득된 정유량은 각각 18.1 mg, 29.0 mg 및 33.4 mg으로 40% sucrose용액에 의하여 증류할 때 정유 회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sucr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10%, 20% 및 40% socrose 용액으로 증류할 때 각각 27종, 32종 및 38종이 확인되었다. 냉이의 수증기 증류시 분산매의 surcr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향기를 구성하는 휘발성 성분의 수는 더욱 다양하였으나 양적인 측면에서는 각 성분마다 다른 양상을 보였다. 2%, 8% 및 15% NaCl용액으로 냉이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의 함량은 각각 33.0 mg, 12.5 mg 및 22.4 mg으로 2% NaCl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정유의 회수율이 가장 좋았으나 15% NaCl용액으로 증류할 때 가장 많은 수인 22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 및 확인되었다.

  • PDF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식물성 유지내 유리 지방산의 신속한 스크리닝 (Rapid Gas Chromatographic Screening of Vegetable Oils for Free Fatty Acids)

  • 김정한;김경례;채정영;오창환;박형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78
    • /
    • 1993
  • 식물성 유지에 존재하는 유리지방산과 유기산들을 고상추출법으로 분리 농축하여 안정하고 휘발성이 큰 TBDMS 유도체로 전환한 후 GC와 GC-MS로 분석하였다. 고상 추출하기 전 유지를 dichloromethane에 용해시키고 $NaHCO_3$, 포화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방법이 지방만 회수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TBDMS 유도체화하기 전 유기산들을 triethylammonium염으로 만들어 줌으로써 미량의 휘발성 유기산의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 대두유, 미강유. 참기름, 들기름 등을 분석한 결과 탄소수가 많은 유리지방산들이 주로 동정되었으며 정제하지 않은 참기름에서는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들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산들이 확인되었다. 아직 보고된 바 없는 아라키드산과 vanillic acid를 각각 들기름과 참기름에서 발견하였으며 참기름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올레산에 대한 리놀레산의 양적비율은 $1.02{\sim}1.18$로 문헌에 보고된 전체지방산 중의 함량비율인 1.19와 상당히 유사했다. 유리상태로서의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비는 참기름의 adulteration 여부를 판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의 유기산 조성을 단순화된 막대그래프 형태의 RI spectra로 표현한 결과 각 유지의 패턴분별이 매우 용이했다.

  • PDF

붉나무 순차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Antioxidative Effect of us javanica Linne Extract by Various Solven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강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7-682
    • /
    • 1993
  • 75% ethanol 추출물에서 뚜렷한 항산화 효과가 확인된 붉나무 껍질로부터 hexane, ethyl acetate, methanol 그리고 99% 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들을 팜유와 돈지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delta}-tocopherol$과 함께 첨가하여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용매별 추출 수율은 methanol이 14.53%(w/w)로 가장 높았다. hexane, ethyl actate, methanol 그리고 ethanol(99%) 추출물 600ppm을 ascorbic acid 200ppm과 함께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nt index(AI : 항산화제첨가 유지의 유도 기간/대상 유지의 유도 기간)는 각각 1.83, 2.25, 2.81 그리고 2.85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돈지의 경우는 추출물 600ppm에 ${\delta}-tocopherol$ 200ppm 첨가구가 가장 효과가 높아서 AI는 각각 3.64, 7.83, 7.34 그리고 9.30이었다. ethanol 및 ethyl actate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물은 뚜렷한 항산화 증진 효과가 없었고 methanol 추출물을 첨가한 팜유 및 도니지의 $60^{\circ}C$ 저장 시험에서 POV 및 TBA가를 비교한 결과 산화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열처리한 감초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 우관식;장금일;김광엽;이희봉;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5-360
    • /
    • 2006
  • 감초를 처리온도, 처리시간 및 첨가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열처리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 활성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140^{\circ}C$, 2시간, 가수량 20%일 때 9.48%로 무처리구의 3.74% 보다 높았고,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는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로 처리한 시료가 32.90%로 무처리구의 14.60% 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150^{\circ}C$, 3시간, 가수량 30% 처리구가 1,391.51 mg/100 g로 무처리구의 6 692.23 mg/100 g 보다 높았다. 항산화활성$(IC_{50})$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4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에서 0.324 g/L로 무처리구의 0.573 g/L 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항산화력(AEAC)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처리구에서 2,112.61 mg AA eq로 무처리구의 1,920.27 mg AA eq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감초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130 및 $140^{\circ}C$, 3시간, 가수량 30%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홍합 단백질의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eolysis of Mussel Protein by a Commercial Enzyme Preparation)

  • 최인재;남희섭;신재익;이병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19-523
    • /
    • 1992
  • 공업용 protease를 이용하여 홍합을 원료로, 그 extract의 최적 제조조건과 효소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홍합 단백질 분해물 특징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6종의 protease 중, Corolase PP가 가수분해도 78.7%로 최대 가수분해도를 나타내었다. 원료의 전처리 공정으로 사용되는 precooking이 홍합이 가지고 있는 자기소화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전체 가수분해도를 저하시켰으며, 그 결과 precooking을 하지 않은 경우보다 가수분해도가 $5{\sim}8%$ 정도 낮았다. 효소반응에 따르는 홍합 단백질의 분해 pattern을 전기영동과 HPLC 분석에 의해 살펴본 결과, 반응이 경과함에 따라 분자량 100,000 dalton 이상의 고분자 홍합 단백질이 분해되어 분자량 66,000 dalton 이하의 새로운 분해산물이 나타났다. 분자량 30,000 dalton 이하의 단백질 분해 pattern에 있어서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8개의 주요 fraction이 나타났으며 분자량이 8,000 dalton인 fraction 6가 45.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홍합의 주요 아미노산인 glycine, alanine, glutamic acid, lysine은 점차 감소한 반면, 소수성 아미노산인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의 비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황체호르몬 수용체의 발현이 저반응 환자군의 임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H Receptor in the Pregnancy of Poor Responders)

  • 이정복;도병록;김은수;김명희;천은경;정현정;노성일;김문규;윤현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2호
    • /
    • pp.111-117
    • /
    • 2004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H receptor in folliculogenesis, we confirm the expression level of LH receptor (LH-R) mRNA in human granulosa cells (GCs) and its expression level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to embryo developmental rate and pregnancy rate. Materials and Methods: GCs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oocyte retrieval from the patients undergoing IVF-ET program.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I (n=20) is poor responder (retrieved oocyte(s)$\leq$3ea), Group II (n=80) is normal responder (retrieved oocytes>3ea). After the extraction of total RNA, semiquantitative RT-PCR was performed and the expression level of LH-R mRNA was normalized by $\beta$-acti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X^2$ test, Student'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In Group II, the relative values of LH-R mRNA (0.680 vs. 0.463, p<0.005) and pregnancy rate (54.7% vs. 23.1%,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I. Number of retrieved oocyte(s) wa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expression of LH-R mRNA was increased (p<0.05). But the quality of retrieved oocyte and transferred embryo were not related with the expression of LH-R mRNA. When the pregnancy rate was compared with FSH only group and FSH combined with hMG group in the ovarian stimulation protocol, FSH combined with hM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SH only group in Group I (37.5% vs. 0%), and the expression of LH-R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MG combined group than FSH only group (p<0.05). Conclusion: Expression level of LH-R mRNA has important role in ovarian function related with the response to gonadotrophin in human folliculogenesis. Furthermore these data might provide the evidence that additional use of hMG is helpful to poor responders.

콜퍼스에 기반한 한국어 문장/음성변환 시스템 (Corpus-based Korean Text-to-speech Conversion System)

  • 김상훈;박준;이영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33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대용량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어 문장/음성변환시스템의 구현에 관해 기술한다. 기존 소량의 음성데이타를 이용하여 운율조절을 통해 합성하는 방식은 여전히 기계음에 가까운 합성음을 생성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운율처리없이 합성단위 선정/연결에 의해 합성음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용량 음성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운율변화를 포함하도록 문장단위를 녹음하며 이로부터 복수개의 합성단위를 추출, 구축한다. 합성단위는 음성인식기를 훈련, 자동으로 음소분할하여 생성하며, 래링고그라프 신호를 이용하여 정교한 피치를 추출한다. 끊어 읽기는 휴지길이에 따라 4단계로 설정하고 끊어읽기 추정은 품사열의 통계정보를 이용한다. 합성단위 선정은 운율/스펙트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터비 탐색을 수행하게 되며 유클리디언 누적거리가 최소인 합성단위열을 선정/연결하여 합성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고품질 음성합성을 위해 특정 서비스 영역에 더욱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할 수 있는 영역의존 음성합성용 데이터베이스를 제안한다. 구현된 합성시스템은 주관적 평가방법으로 명료도와 자연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대용량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한 합성방식의 성능이 기존 반음절단위를 사용한 합성방식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Word2Vec 기반의 의미적 유사도를 고려한 웹사이트 키워드 선택 기법 (Web Site Keyword Selection Method by Considering Semantic Similarity Based on Word2Vec)

  • 이동훈;김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96
    • /
    • 2018
  • 문서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은 문서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서의 검색, 분류, 추천시스템 등의 자동화서비스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웹사이트 문서에서 출현하는 단어의 빈도수, 단어의 동시출현관계를 통한 그래프 알고리즘 등의 기반으로 키워드를 추출할 경우 웹페이지 구조상 잠재적으로 주제와 관련이 없는 다양한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문제점과 한국어 형태소 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형태소 분석기 성능의 한계점 때문에 의미적인 키워드를 추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단어 위주로 구축된 후보키워드들의 집합과 의미적 유사도 기반의 후보 키워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써 의미적 키워드를 추출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형태소 분석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관성 없는 키워드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통해 최종 의미적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실 중소기업 웹페이지를 통한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의 성능이 통계적 유사도 기반의 키워드 선택기법보다 34.52%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어 간의 의미적 유사성을 고려하고 일관성 없는 키워드를 제거함으로써 문서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성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3차원 객체 복원을 위한 정규 상관도 기반 다중 시점 배경 차분 기법 (Normalized Cross Correlation-based Multiview background Subtraction for 3D Object Reconstruction)

  • 팽경현;황성수;김희동;김수정;유지성;김성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6호
    • /
    • pp.228-237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배경과 객체의 색상이 유사한 상황에서 강인한 정규 상관도(Normalized Cross Correlation) 기반 다중 시점 배경 차분 기법을 제안한다. 인위적으로 배경을 구성한 경우가 아닐 경우, 다중 시점 영상의 배경 영상에서 객체로 인해 가려지게 되는 영역들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그러나 객체의 등장으로 인해 이러한 영역들은 서로 유사한 색상을 가지게 된다. 이에 기반하여 본 논문은 GoNCC(Graph of Normalized Cross Correlation)을 제안한다. GoNCC는 임의 시점 영상의 한 화소와 에피폴라 제약조건 관계에 있는 인접 영상 내 화소와 해당 화소와의 정규 상관도 값의 분포를 의미한다. 제안하는 다중 시점 배경 차분 기법은 현재 영상의 GoNCC와 배경 영상의 GoNCC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다중 시점 배경 차분 기법을 모든 화소에 적용하지 않고 간단한 단일 시점 배경 차분 기법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영역에 대해서만 제안 방법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단순한 단일 시점 배경 차분 기법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기존의 다중 시점 배경 차분 기법에 비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객체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카메라를 활용한 고해상도 3차원 객체 복원 시스템 (High-resolution 3D Object Reconstruction using Multiple Cameras)

  • 황성수;유지성;김희동;김수정;팽경현;김성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50-16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있는 물체에 대한 다중 시점 영상들을 획득하고, 그 영상들로부터 해당 3차원 물체에 대한 기하학적인 형상 및 질감 정보를 추정하여, 그 물체에 대한 고해상도 3차원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다중 시점 영상 기반 3차원 객체 복원 시스템들이 제안되었지만 다중 시점 기반 3차원 객체 복원이 많은 메모리와 계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3차원 콘텐츠를 얻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3차원 복원에 필요한 계산량 및 메모리량을 줄이기 위해 제안 시스템은 객체의 다중 시점을 촬영한 영상 내에서 객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사전에 설정하여 객체 윤곽선 추출 과정을 빠르게 수행한다. 그리고 체인코드를 활용하여 실루엣 영상을 표현하고 3차원-2차원 투영 및 역투영 관계를 1차원 호모그래피를 통해 표현하여 객체의 비주얼 헐을 빠르게 계산한다. 복원된 3차원 객체의 기하정보는 3차원 선분 기반의 표현 기법인 DoCube를 활용하여 적은 데이터양으로 표현하였으며, 3차원 메시 생성 및 텍스쳐 맵핑을 수행하여 최종적인 3차원 객체를 생성한다. 실험 결과 제안 시스템이 $800{\times}800{\times}800$ 해상도의 3차원 객체 복원을 프레임 당 2.2초에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