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100건 처리시간 0.047초

해산복족류(海産腹足類)의 Paramyosin의 분리(分離) 및 그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myosins of Marine Gastropods)

  • 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21
    • /
    • 1973
  • The muscle of abalone, Notohaliotis discus (REEVE), and top-shell, Turbo cornutus Solander, were examined for protein composition. Then paramyosins which are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structural protein of the muscle fibrils were isolated from the both muscle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solubility, salting-out behaviour, intrinsic viscosity, ATPase activity, etc. involving amino acid composition and N-terminal amino acid residue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phylogenie characteristics more intensively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biochemistry. The analysis of protein composi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estimations: abalone muscle; water-soluble protein of 22 %, salt-soluble protein, 34%, alkali-soluble protein, 20%, and stroma protein, 24%, and top-shell muscle; water-soluble protein of 16%, salt-soluble protein, 30%, alkali-soluble protein, 29%, and stroma protein, 25%, respectively. It is demonstrated in sedimentation analysis that paramyosin and myosin-actomyosin account for approximately 65% and 35% of the salt-soluble protein of abalone, and that the composition of both sediments in top-shell was approximately 70% and 30%, respectively. The ultracentrifugally homogenous paramyosins isolated essentially according to Bailey's ethanol-dried method from both of the muscle showed a $S^{\circ}_{20,w}$ of 3. 14s for abalone and a $S^{\circ}_{20,w}$ of 3.50s for top-shell. The both paramyosins were commonly rich in arginine,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while scarcely contained proline and tryptophan, in rough accord with the other paramyosins thus far reported. It is clear that these gastropod paramyosins showed of having the characteristic N-terminal amino acid residues such as N-aspartic acid, N-valine, N-serine, and N-threonine in common. The abalone paramyosin completely salted in with KCl beyond $0.35{\mu}$ and the top-shell paramyosin beyond $0.30{\mu}$. The abalone paramyosin was salted-out between 18% and 30% saturation of ammonium sulphate and the top-shell paramyosin between 22% and 29% saturation. The intrinsic viscosities at abalone and top-shell paramyosins at $25^{\circ}C$ were estimated respectively to be 3.1 dl/g and 2.6 dl/g showing somewhat higher than the values for some other paramyosins from lamellibranchs. In regard with the ATPase activity, the para myosin specimen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activity over through the pH conditions of 5 to 9.5.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f $Ca^{++}$ or $Mg^{++}$. So was the case with the abalone paramyosin prepared by a slightly modified Bailey's wet-extraction method.

  • PDF

건조마늘과 기름에 볶은 마늘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reeze Dried Garlic and Garlic Roasted with Oils)

  • 서혜민;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2-341
    • /
    • 2007
  • 마쇄한 생마늘과 생마늘을 동결건조한 분말의 함황화합물과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늘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고, 마늘과 동결건조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180^{\circ}C$에서 각각 5분간 볶은 6개의 시료를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마늘의 독특한 향기를 나타내는 sulfur compounds로서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이 확인되었으며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이 sulfur compounds 성분들은 마늘의 총 향기성분의 98%를 차지하여 마늘의 주요 구성분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건조마늘에서 확인된 향기성분은 마늘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ldehyde, alcohol, furans, esters가 생성되어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마늘의 것보다 더 많았으나 sulfur compounds와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마늘의 것보다 감소하였다. 콩기름에 볶은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은 크게 감소하여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의 20%에 불과하여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하였을 때 allicin의 분해 생성물인 많은 양의 3,4-dihydro-3-vinyl-1,2-dithiin과 2-vinyl-4H-1,3-dithiin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가열하였을 때 마늘의 아미노산과 당류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2-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5-methyl pyrazine 등 17개의 pyrazine이 관찰되었다. 건조마늘을 참기름에 볶은 시료에서 확인된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모든 마늘시료 중에서 가장 많았고 향기성분의 총 함량도 마늘의 것과 거의 동일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sulfur compounds의 함량은 마늘의 27%에 해당되었다.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그 함량이 마늘 자체의 것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은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이었다. 마늘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마늘의 독특한 향기성분을 내는 diallyl disulfide는 건조하여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파괴되어 완전히 소멸되었다.

별불가사리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Asterina pectinifera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 채수연;김미정;김도순;박정은;조성기;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69-275
    • /
    • 2007
  • 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쥐 비장에 있는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에 대해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별불가사리 추출물 중에서 B세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성분은 아세톤처리로 추출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성분은 농도 의존적으로 생쥐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을 유도하였으며, IL-6와 $IFN-{\gamma}$의 생산을 유도하였다. 셋째, 이 성분은 B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이 때 면역글로불린 IgM과 IgG의 생산도 유도하였다. 넷째, 이 성분은 대식세포주의 일산화질소 생산을 유도하였으며, 또 $TNF-{\alpha}$, GM- CSF와 IL-6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별불가사리 추출물에는 B세포와 대식세포 같은 면역세포의 증식과 각종 사이토카인을 생산을 유도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민들레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Taraxacum platycarpum D. Leaves Using Hericium erinaceum Mycelia)

  • 김연숙;정미연;유범석;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는 민들레잎을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후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별 및 발효 전과 발효 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량, 염증관련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민들레잎을 발효한 후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항염증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항염증 소재로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색보리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ntent and Activity in Methanolic Extracts from Colored Barley)

  • 박수민;최용민;김영화;함현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1043-1047
    • /
    • 2011
  • 본 연구는 할맥(Spb), 정맥상태의 흑맥(Pbb), 현맥상태의 유색보리(황맥: Hyb, 자맥: Hpb, 흑맥: Hbb)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추출수율은 할맥, 정맥상태의 흑맥, 현맥상태의 유색보리(황맥, 자맥, 흑맥)에서 각각 2.85, 3.62, 4.62, 4.41과 6.58%를 나타내었다.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은 시료 100 g당 Spb가 57.93과 24.02 mg, Pbb가 64.01과 27.92 mg, Hyb가 122.88과 36.38 mg, Hpb가 134.94와 36.51 mg, Hbb가 163.43 and 39.70 mg으로 분석되었다. 항산화 활성도 이와 비슷하게 현맥상태의 유색보리가 할맥과 정맥상태의 흑맥보다 높았다. 이는 유색보리의 항산화 성분이 겨(bran) 층에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색보리의 기능성 연구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꾸지뽕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42-948
    • /
    • 2011
  • 꾸지뽕나무를 잎, 줄기, 열매로 부위별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알아보고자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작용 및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에 따라 70% 에탄올>70% 메탄올>물 추출물순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줄기의 70% 에탄올 추출물이 90.20%로 가장 높았다(p<0.05). 이는 비교물질인 Lascorbate의 활성보다 높은 수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 모든 추출조건에서 잎 추출물이 가장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p<0.05).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70% 메탄올 추출물들이 폴리페놀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OD 유사활성은 잎의 물 추출물이 64.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p<0.05). Tyrosinase 저해효과에서는 열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추출물이 산성조건에서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고, 추출조건과 상관없이 잎 추출물의 소거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CE 저해 활성은 열매 물 추출물에서 85.14%의 활성을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꾸지뽕 나무의 부위 및 용매에 따라 각각 활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성이 다소 뛰어난 잎의 경우, 일상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어 일반인들이 식용으로 이용하기 용이하므로 차와 음료 등의 건강 음료개발을 통해 소비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 외 줄기, 열매 등도 잎과 함께 이를 이용한 환, 캡슐 등의 다양한 기능성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쥐의 골수로부터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한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관한 분석 연구 (PROBLEMS IN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 김인숙;조태형;장옥련;이규백;박용두;노인섭;;이종호;김명진;황순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5
  • This study was aimed to characterize osteogenic potential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 isolated with standard flushing method and investigate the plasticity of transdifferentiation between osteoblastic and adipocytic lineage of cultured BMSC. Unlike aspiration method in human, rat bone marrow was extracted by means of irrigation with culture media that elevates the possibility of co-extraction of committed osteoprogenitor, or preosteoblast or other progenitor cells of several types present inside bone marrow. The cultured stromal cells showed high ALP activity which is representative marker of osteoblast without any treatment.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were examined for the evaluation of their effect on osteogenic and adipocytic differentiation of stromal cells, because they function as osteoinductive agent in stromal cells, but simultaneously induc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r mRNA expression of osteoblast markers such as osteopontin, bone sialoprotein, collagen type I and CbfaI, an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by von Kossa staining. Oil red staining method was used to detect adipocyte and adipocytic marker, aP2 and $PPAR{\gamma}2$ expression was examined using RT-PCR. It can be supposed that irrigation procedure resulted in high portion of already differentiation-committed osteoprogenitor cell showing elevated ALP activity and strong mineralization only under the supplement of $100{\mu}M$ ascorbic 2-phosphate and 10mM ${\beta}$-glycerophosphate without any treatment of osteogenic inducers such as Dex and BMP-2. Dex and BMP-2 seemed to transdifferentiate osteoprogenitor cells having high ALP activity into adipocytes temporarily, but continuous treatment re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 and developed in vitro matrix mineralization. This property must be considered either in tissue engineering for bone regeneration, or in research of characteriza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with rat BMSC isolated by the standard irrigation method.

가토의 하치조 신경 손상 형태에 따른 전기생리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ASSESSMENT ON THE INJURY TYPES IN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 이재은;이동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79-700
    • /
    • 1996
  • Inferior alveolar nerve dysfunction may be the result of trauma, disease, or iatrogenic injury.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is inherent risk in endodontic therapy, orthognathic surgery of the mandible, and extraction of mandibular teeth, particularly the third molars. The sensory disturbances of inferior alveolar nerve associated with such injury have been well documented clinical problem that is commonly evaluated by several clinical sensory test including Tinels sign, Von Frey test(static light touch detection), directional discrimination, two-point discrimination, pin pressure nociceptive discrimination, and thermal test. These methods used to detect and assess inferior alveolar nerve injury have been subjective in nature, relying on the cooperation of the patients. In addition, many of these techniques are sensitive to differences in the examiners experience and skill with the particular technique. Data obtained at different times or by different examiners are therefore difficult to compare. Prior experimental studies have used electro diagnostic methods(sensory evoked potential) to objectively evaluate inferior alveolar nerve after nerve injury.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inferior alveolar nerve of rabbit. Several types of injury including mind, moderate, severe compression and perforation with 19 gauze, 21 gauze needle and 6mm, 10mm traction were applied for taking the sesory evoked ppterntial. Latency and amplitude of injury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were investigated with sensory evoked potential using un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tensity of threshold (T1) was $128{\pm}16{\mu}A$ : latency, $0.87{\pm}0.07$ microsecond : amplitude, $0.4{\pm}0.1{\mu}V$ : conduction velocity, 23.3 m/s in sensory evoked potential of uninjured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2.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consists of type II and III sensory nerve fiber. 3. Latency was increased and amplitude was decreased in compression injury. The more injured, the more changed in latency and amplitude. 4. Findings in perforation injury was similar to compression injury. Waveform for sensory evoked potential improved by increasing postinjured time. 5. Increasing latency was prominent in traction injury rabbit inferior alveolar nerve. 6. In microscop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significant degeneration and disorganization of the internal architecture were seen in nerve facicle of severe compression and 10mm traction group. From the above findings, electrophysiological assessment(sensory evoked potential) of rabbit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is reliable technique in diagnosis and prognosis of nerve injury.

  • PDF

양악전돌증 환자에서 하악 6전치 후방 이동 시 치료 방법에 따른 하악 경조직과 연조직의 변화: 하악 전방분절골절단술과 발치 교정 치료 (The Evaluation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 for Retraction of Lower Anterior Tooth in Bimaxillary Protrusion Patients according to Two Different Therapeutic Methods: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nd Orthodontic Treatment with Teeth Extraction)

  • 김영주;김경아;유용재;유경선;유정민;오주영;김수정;김성훈;이백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246-25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 in bimaxillary protrusion (BP) patients by comparison between the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from orthodontic treatment and ASO. Methods: All 4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BP in Kyung-Hee Medical Cen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teeth extractions were underwent by 23 patients (Group A) and 21 patients underwent ASO (Group B). Mandibular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were measured and evaluated, which were based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ference line in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hanges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measure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amount of B point movement was lesser than that of the lower incisal tip (LIT) retraction, and LIT was tilted lingually in group A. The posterior movement discrepancy between LIT and B point was insignificant, and the inclination of lower incisor was not changed in group B. The soft tissues, including the lower lip, showed a posterior movement and reduction in the depth of mento-labial groov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lower lip in group A,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at of the movement of lower lip, B point and Pog in group B. Conclusion: The orthodontic treatment in BP patients results in posterior tilting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but ASO results in the bodily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 Consequently, ASO is more effective in BP cases because it ensures the controlled movement of the lower incisors.

성장기 아동과 성인에서의 II급 1류 부정교합치료양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LASS II DIVISION 1 TREATMENTS : ADOLESCENTS CONTRASTED WITH ADULTS)

  • 강보선;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7-261
    • /
    • 1995
  • 본 연구는 II급 1류 부정교합의 치료에 있어 치료전의 환자연령에 따른 부정교합치료의 양적 차이를 알아보고, Johnston analysis를 통해 협측 치열군의 교점이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즉, 두개저에 대한 또한 상호간에 대한 상, 하악 각각의 성장양과 기저골에 대한 구치의 이동양을 측정하여 구치부의 교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했으며 서울대학교병윈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II급 1류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를 받은 여자환자 52명중 치료전의 연령을 기준으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으로 대별하여 치료전,후 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료전,후의 상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변화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간의 유의한 차는 없었다. 그러나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변화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치료 전,후 수직고경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전안면고경, 후안면 고경, 하안면고경 등이 성장과 치료의 효과로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며(P<0.001), 성인군에서는 유의성있는 변화가 없었다. 3. 치료전,후 교합평면의 변화에 있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의 유의성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성인군에서는 교합평면의 경사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5) 4.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으로, total molar correction의 양에 있어서 성장기 아동군과 성인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6. Johnston analysis를 이용한 분석에 의해 성장기 아동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63\%$가 하악골성장에 의해, $37\%$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짐을 관찰했다. 성인군에서는 total molar correction의 $99\%$가 치아이동에 의해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