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검색결과 17,100건 처리시간 0.048초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of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a retrospective study

  • Lee, Eun-Ung;Lim, Hyun-Chang;Lee, Jung-Seok;Jung, Ui-Won;Kim, Ui-Sung;Lee, Seung-Jong;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1호
    • /
    • pp.13-1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survival of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that were intentionally extracted and replanted after a delay and to compare the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ival group with those of the failure group. Method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from patients who underwent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between March 2000 and July 2010 were reviewed. Twenty-seven periodontally hopeless teeth were extracted and preserv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ntibiotics for 10-14 days. The teeth were then repositioned in the partially healed extraction socket and followed for 3 to 21 months. The radiographic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 test and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analyzed using Kaplan-Meier analysis. Results: Seven replanted teeth failed and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66.4%. In the survival group, the amount of bone loss was reduced from 68.45% to 34.66% three months after replantation. There was radiologic and clinical evidence of ankylosis with 5 teeth. However, no root resorption was found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In the failure group, bone formation occurred from the bottom of the socket. However, a remarkable radiolucent line along the root of a replanted tooth existed. The line lengthened and thickened as time passed. Finally, in each case of failure, the tooth was extracted due to signs of inflammation and increased mobility. Conclusions: Delayed intentional replantation has many advantages compared to immediate intentional replantation and could serve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periodontally involved hopeless teeth. However, techniques for maintaining the vitality of periodontal structures on the tooth surface should be developed for improved and predictable results.

Postoperative irradiation after implant placement: A pilot study for prosthetic reconstruction

  • Doh, Re-Mee;Kim, Sungtae;Keum, Ki Chang;Kim, Jun Won;Shim, June-Sung;Jung, Han-Sung;Park, Kyeong-Mee;Chung, Moon-Kyu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5호
    • /
    • pp.363-371
    • /
    • 2016
  • PURPOSE. On maxillofacial tumor patients, oral implant placement prior to postoperative radiotherapy can shorten the period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on effects of post-implant radiotherapy such as healing process or loading time, which is important for prosthodontic treatment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post-implant local irradiation on th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during different healing stages. MATERIALS AND METHODS. Custom-made implants were placed bilaterally on maxillary posterior edentulous area 4 weeks after extraction of the maxillary first molars in Forty-eight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al group (exp.) received radiation after implant surgery and the other group (control) didn't.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 healing time (2, 4, and 8 week) from implant placement. The exp. group 1, 2 received 15-Gy radiation 1 day after implant placement (immediate irradiation). The exp. group 3 received 15-Gy radiation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delayed irradiation).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mmediate irradiation groups. BMD was similar in the delayed irradi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rradiated groups exhibited a lower bone-to-implant contact ratio,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rradiated groups also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bone volume and higher empty lacuna count than the control groups. No implant failure due to local irradiation was found in this study. CONCLUSION.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timing of local irradiation critically influences the bone healing mechanism, which is related to loading time of prostheses.

천궁(Cnidii Rhizoma)의 메탄올 추출물이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CNIDII RHIZOMA ON THE FUNCTION OF RECEPTORS FOR GABA AND GLYCINE)

  • 이종태;이긍호;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6
    • /
    • 2005
  • 천궁의 메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진정 작용을 밝히기 위하여 staircase test를 시행하였으며, 근육이완 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rotarod test를 시행하였다. 진정 작용의 기전 구명을 위하여 GABA 및 glycine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인 picrotoxin, yohimbine, isoniazid, strychnine 등의 약물을 이용하여 발작 유도에 걸리는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생체에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Irwin의 행동시험 및 신경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TT test를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Staircase 실험에서 천궁 추출물을 10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42%의 감소를 보였다. 2. 30mg/kg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했을 때, climbing수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rearing수에서는 51%의 감소를 유발하였다. 3. 근육이완 작용을 탐색하기 위한 rotarod 실험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천궁 추출물의 투여는 picrotoxin, isoniazid, yohimbine에 의한 발작에서는 큰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나, strychnine에 의한 발작 유도시간은 41%의 증가를 유발하였다. 5. 일반 행동에서도 특이한 변화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신경세포에 적용했을 때 특이한 독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천궁의 메탄을 수용액 추출물은 현저한 진정 작용을 유발하며, 그 작용 기전으로서 glycine의 작용을 증가시켜 chloride ion의 세포내 유입으로 인한 억제성 신경전도를 유도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근육이완 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이한 생체독성도 유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향후 치과임상에서 진정요법의 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과잉치 발거시기에 따른 상악 중절치의 위치 변화 (Timing for Removal of Mesiodens in Relation to the Maxillary Cental Incisors)

  • 박기봉;이대우;김재환;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6-253
    • /
    • 2016
  • 과잉치의 발거시기는 조기발거와 지연발거로 나뉠 수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특히 상악 중절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 연구에서는 과잉치 발거 후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시행된 166명을 조사하여 최적의 과잉치 발거시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환자의 나이가 어리고, 상악 중절치 미맹출 혹은 발육단계가 낮고, Hellman's dental stage상 낮은 단계에서 정중선 변위는 적게 일어났다. 정중이개와 상악 중절치의 회전, 추적 관찰 기간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상악 중절치가 아직 맹출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정중선 변위가 보인다면 이른 시기에 과잉치를 발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상악 중절치의 위치 변위에 따라 과잉치의 발거시기를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 발생한 269개의 구강 악안면 영역 낭 : 10년간의 후향적 임상 연구 (Analysis of 269 Cases of Jaw Cys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trospective Study over a Decade)

  • 홍혜린;남옥형;김미선;최성철;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7-245
    • /
    • 2016
  • 낭은 액체 또는 반유동성 액체를 함유하는 상피세포층으로 둘러싸인 공동이다. 낭은 모든 연령대에서 진단될 수 있으나, 소아 청소년 환자는 성인들과 다른 병소의 종류와 양상을 보일 수 있으며, 후속 영구치가 발육 중이므로 치료법도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2015년 3월까지 최근 10년간 경희대학교 치과병원을 내원한 19세까지의 소아 청소년환자 중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낭으로 확진된 253명의 환자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낭은 남아 142명(56.1%)에서 다소 많았으며, 치성낭이 209개(82.6%)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전체적으로 발육성 낭이 염증성 낭보다 많았다. 발육성 낭에서는 함치성낭, 염증성 낭은 치근낭이 많았다. 한편 하악 구치부에서 발생 비율이 높았다. 환자들 중 많은 경우 임상 증상이 없었으며, 낭의 치료 방법으로는 적출술만을 시행하고 원인치 발거를 동시에 진행한 경우가 많았다.

어린이에서 함치성 낭과 연관된 매복 소구치와 대구치의 치료 (IMPACTED PREMOLARS AND MOLARS ASSOCIATED WITH DENTIGEROUS CYSTS IN CHILDREN)

  • 신차욱;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18-724
    • /
    • 2008
  • 치아 매복은 어린이 환자 진료 시에 자주 관찰되는 맹출 장애이다. 어린 환자에서 매복된 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함치성 낭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함치성 낭은 제3대구치를 제외하고는 상악 견치, 하악 소구치 부위에서 가장 호발하며, 점진적인 증식으로 악골이 팽윤되어 안모를 변화시키며, 주위 악골의 파괴와 치근의 흡수를 야기하거나 침범된 치아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함치성 낭과 연관된 치아가 과잉치나 지치라면, 치아의 발거를 포함한 완전한 낭종 적출술이 적절한 치료라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의 심리적, 정신적 외상을 예방하기 위해 원인 치아의 보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치아의 변위 정도, 골 파괴 정도, 치근의 성숙도, 주위 치아와의 관계, 환자의 교합과 구강 악안면 영역의 성장 양상 등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에서는 위와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함치성 낭과 연관된 매복 소구치와 대구치를 낭종 적출술 후 공간 유지, 외과적 수술과 교정적 견인, 외과적 발거 후 교정적 배열 등의 방법을 통해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요자 관점에서 커피 전문점 종사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s for Employees in Coffee Restaurants from the Employers' Viewpoint)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8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 관점의 커피 전문점 종사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현재 커피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대학의 외식경영, 외식 서비스, 커피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T-test,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커피 관련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전체적으로 커피 전문점 종사원들이 인식하는 교육 교과목은 중요도 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원가관리와 커피학 이론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교과목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IPA 분석에서는 I사분면은 약점 항목으로 원가 관리, 외식마케팅, 커피학 이론 과목이 해당이 된다. II 사분면은 유지 항목으로 외식 서비스, 커피 추출 실습, 에스프레소, 카페라테와 카푸치노, 라떼아트 과목이 해당된다. III사분면은 필요성이 결여되는 과목들로 외식경영, 외식 프렌차이즈, 서비스 실무 영어, 커피 로스팅 과목이 해당된다. IV사분면은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과목들로 산업체 현장 실습 과목이 해당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선행 연구의 부족으로 인하여 커피 전문점 종사원의 특징적인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설문지역을 수도권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이 전체 커피 전문점을 대표했다고 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 PDF

심하게 감소된 치주지지를 갖는 Cross-Arch Fixed Partial Denture에 대한 고찰 및 증례보고 (A Case Report and Review on Cross-Arch Fixed Partial Denture with Severely Reduced Periodontal Tissue Support)

  • 오상천;김윤상;김유진;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309-318
    • /
    • 2012
  • 치주질환이 중증도 이상으로 진행되면 대개 많은 량의 치주조직지지가 상실된다. 일부 치아 주변으로 발생되는 이러한 조직 파괴는 그들의 심한 동요 때문에 일부 치아들은 스스로 탈락되거나 발치가 요구되는 단계까지 진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적절한 치주치료와 유지 그리고 교합평형을 고려한 치주-보철 치료를 포함하는 포괄적 치료계획이 그들의 건강, 기능, 심미 등의 수복을 위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치주-보철치료 중의 하나인 크로스-아치 고정성국소의치(cross-arch fixed partial dentures, CAFPDs)가 심하게 감소된 치주조직지지를 갖는 치아들의 안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 이러한 보철물의 디자인에 따른 생역학적 개념과 교합양식에 대해 아직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논고에서는 교합성외상 그리고 CAFPDs를 통해서 본 Ante's law의 재조명, 치료 원칙, 교합부여, 장기적 예후 등에 대한 정리를 보여줄 것이며 증례를 통해 그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곡선 궤적의 이동 관측점에 대한 다면체 모델의 윤곽선 추출 (Extracting Silhouettes of a Polyhedral Model from a Curved Viewpoint Trajectory)

  • 김구진;백낙훈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
    • /
    • 2002
  • 컴퓨터 그래픽스 및 애니메이션에서 물체의 윤곽선 계산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윤곽선의 효율적인 계산 방법은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하는 관측점에 대해 다면체 모델의 투시 윤곽선을 계산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관측점이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경로는 시간을 나타내는 매개변수 t를 이용하여 곡선 q(t)로 표현한다. 다면체의 각 에지(edge)가 윤곽선에 포함되는 시간 간격 (time-interval)은 에지에 인접한 두 면의 supporting plane들과 q(t)의 교점 계산, 그리고 몇 차례의 벡터 내적을 수행함으로써 구해진다. 곡선 q(t)가 차수 n의 곡선이라면, 한 에지가 윤곽선에 포함되는 시간 간격은 최대 n + 1 개 존재할 수 있다. 미리 구해진 시간 간격들에 대해 고정된 시점 $t_i$를 포함하는 시간 간격들을 검색함으로써 관측점이 $q(t_i)$일 때 모델의 윤곽선에 포함되는 모든 에지를 구할 수 있다. 윤곽선 계산의 효율성은 시간 간격을 저장하는 자료구조 (data structure)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시간 간격을 저장하는 자료구조로서 인터벌 트리 (interval tree)의 사용을 제안한다. 또한, 제시된 알고리즘에 의해 윤곽선을 계산한 실험결과를 보인다.

  • PDF

분화된 3T3-L1 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분해 효과 (Lipolytic Effect of Supercritical Extraction from Pine Cone (Pinus koraiensis)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이민희;남다은;김옥경;허석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342-1348
    • /
    • 2014
  •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천연식품뿐만 아니라 산업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 부산물인 잣송이를 이용하여 초임계 방법으로 추출을 하여 항비만 식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화된 3T3-L1 지방세포에서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의 축적 및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을 1, $5{\mu}g/mL$ 농도로 처리 시 세포 내 지방 축적이 억제되었고 중성지방분해 산물인 glycerol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합성 효소 및 지방분해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eal-time PCR을 실시한 결과,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은 지방합성 효소인 FAS에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지방분해 효소인 LPL과 HSL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에 따라 세포 내 중성지방이 지방산과 glycerol로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조직에서의 LPL과 HSL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한 지방분해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잣송이 초임계 추출물이 항비만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신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