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 pH

검색결과 3,309건 처리시간 0.03초

저장조건에 따른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Fermented Cirsium setidens Nakai by Bioconversion during Different Storing Conditions)

  • 이진하;문석용;조봉연;최선일;정태동;최승현;김종대;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88-3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을 온도별(4, 25 및 $50^{\circ}C$), pH별(4.0, 7.0, 및 10.0)로 21일간 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pectolinarin과 pectolinarigenin 함량,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발효고려엉겅퀴 추출물인 pectolinarin과 pectolinarige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pH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10.0에서 pectolinarin의 함량 변화는 초기 $2.13{\pm}0.05mg/g$에서 $1.60{\pm}0.01mg/g$으로, pectolinarigenin 함량 변화는 $24.96{\pm}0.07mg/g$에서 $0.45{\pm}0.02mg/g$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총 페놀 함량도 저장기간이 따라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circ}C$와 pH 10.0에서 큰 감소치를 보였다. 항산화 안정성은 온도별 저장조건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H 10.0에서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P은 온도별, pH별 저장조건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저장 온도별, pH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생물전환 발효고려엉겅퀴 주정 추출물은 저온($4^{\circ}C$)에서 산성(pH 4.0)과 중성(pH 7.0) 상태에서 안정하였다.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인삼이 Aspergillus flayus의 생육 및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ax ginseng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Aflatoxin by Aspergillus flayus)

  • 이창숙;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0-97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anax ginseng C. A. Meyer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aflatoxin by Aspergillus flayus ATCC 15517. Asp. fiavus with 10$^6$ conidia was incubated at 30$\circ$C for 7 days on YES broth containing 0.1%, 0.5%, and 1.0% of ginseng extract. After incubation, dry mycelial weight, pH, and production of aflatoxi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ycelial weight by the addition of 0.1% and 0.5% ginseng extract. However, it was decreased to the rate of 13.7% by the addition of 1.0% ginseng extract in 7 days. pH changes in culture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The pH values decreased to minimum in 5 days and again increased. Aflatoxin production was reduced as the concentration of ginseng extract increas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oduction of total aflatoxin significantly reduced to 56.7%, 54.0%, 53.3% in the media of 0.1%, 0.5% and 1.0% of ginseng extract,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ginseng extract groups.

  • PDF

장내유산균 증식인자의 신속한 검색 (Rapid Detection of Growth factors of intestinal Lactic Acid Bacteria)

  • 한명주;임혜영;김동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1-95
    • /
    • 1993
  • 사람의 장내세균으로부터 분리된 Bibidobacterium과 Lactobacillus는 대두 및 당근의 물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균의 성장과 더불어 배지의 pH는 상대적으로 저하시켰으며, 대두와 당근의 물 추출물은 사람의 장내 세균총 중에서 유산균증식작용이 있었으며, 이와 함께 배지의 pH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검체 식품함유 GAM 배지에 사람의 신선한 분변을 이식하여 pH를 측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유산균증식작용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을 조사할 수 있었다. 이 방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유산균 증식 효과인 pH를 저하시키는 식품은 대두, 순무, 당근, 영양부추, 마늘, 미나리, 쑥, 양파가 있었다.

  • PDF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Cirsium setidens Nakai)

  • 이진하;조양환;조봉연;라문진;김선영;강일준;한경찬;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4-3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 추출물에 대한 열안정성, pH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온도별(4, 25 및 $50^{\circ}C$), pH별(4.0, 7.0, 및 10.0)로 저장하면서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 총 페놀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 assay를 분석하였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pH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도 pectolinarin 함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4^{\circ}C$)에서 보다 높은 온도인 $25^{\circ}C$$50^{\circ}C$에서 큰 감소치를 보였고 산성(pH 4.0)과 중성(pH 7.0)에서는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항산화 활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P은 온도별, pH별 저장조건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고려엉겅퀴 주정 추출물은 산성(pH 4.0)과 중성(pH 7.0)조건에서 저온($4^{\circ}C$) 저장 시 추출물의 안정성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귀리추출물의 젖산발효에 의한 미생물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at Extract by Lactic-bacterial Fermentation)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811-1814
    • /
    • 2009
  • 귀리추출물에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또는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단일균주로 발효한 것에 비하여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경우에는 미생물균수와 산 생성이 증가하였다. pH의 변화에서도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경우가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보다 더 낮은 pH를 나타내었으며,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경우에는 pH가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유를 원료로 한 요구르트의 경우처럼 귀리추출물의 젖산발효에서도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와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두 균주 간에 생육촉진 현상이 있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그 정도는 매우 적었다. 본 실험에서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의 미생물균수와 산 생성이 더 증가한 반면 pH는 더 낮은 이유는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에 비하여 귀리추출물에 더 잘 적응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폐암세포주(肺癌細胞株) H460에 대(對)한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세포고사효과(細胞枯死效果) 및 기전연구(機轉硏究) (Study on Apoptosis Effect and Mechanism by Bojungikki-tang on Human Cancer Cell Line H460)

  • 이승언;홍재의;이시형;신조영;노승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4-288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n cytotoxicity of Bojungikki-tang(BIT) in human lung cancer H460 cells. Methods : BIT-induced cell death was confirmed as apoptosis characterized by chromatin condensation and increase of the $sub-G_1$, DNA content. It was tested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BIT affects the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l/Cipl, p27/Kipl, cyclin $B_1$. Results : The data showed that treatment of BIT decreased the viability of H460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p2l/Cip1 is gradual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the cells with BIT extract. Interestingly, p27/Kip1 is not detected for 24 hr after the addition of BIT extract, however, after 24 hr, p27/Kipl markedly increased. In addition, cyclin $B_1$, decreased in a time dependent manner after the addition of the water extract. The activation of caspase -3 protease was further confirmed by degradation of procaspase-8 protease andpoly(ADP-ribose) polymerase(P ARP) by BIT in H460 cells. Moreover, BIT induced the increase of Bak express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BIT exerts anticancer effects to induce the death of human lung cancer H460 cells via down reg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l/Cip1, and cyclin B1 or up regulation of cell cycle regulators such as p27/Kip1. Moerover results suggest that BIT induces an apoptosis in H460 cells via activation of intrinsic caspase cascades.

  • PDF

Hydroxyapatite prepared from eggshell and mulberry leaf extract by precipitation method

  • Wu, Shih-Ching;Hsu, Hsueh-Chuan;Hsu, Shih-Kuang;Liu, Mei-Yi;Ho, Wen-Fu
    •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Bio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21-32
    • /
    • 2019
  • Eggshell is a waste material after the usage of egg. In this work, biowaste chicken eggshells were used for preparing carbonated hydroxyapatite (HA) nanoparticles of high purity through aqueous precipitation method at room temperature. The eggshell-derived HA will be a cost-effective bioceramic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nd an effective material-recycling technology. Additionally, mulberry leaf extract was used as a template to regulate the morphology, size and crystallinity of HA, and the effects of pH value were also examined. Characterization of the samples was perform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as used to determine the size, shape and morphology of HA.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one phase of HA were synthesized in the both absence and presence of mulberry leaf extract at pH of 7 and above, while DCPD or DCPA/DCPD phase was observed at pH 4 condition. The crystallite sizes of the HA samples obviously decreased when adding mulberry leaf extract as a template, while they decreased gradually as the solution pH level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level from 7 to 14, the rod-like HA nanoparticles gradually changed to spherical shape at pH 14. Note that, the obtained product is Mg and Sr containing A- and B-type carbonate HA at alkaline pH and it can be a potential material for biomedical applications.

대추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정승원;노완섭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9-356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ffect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LBA) starter cultures in the MRS broth by the addition of 0, 0.1, 0.5, 1 and 2% extract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OD of LAB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get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development a new product. The effects of Jujube extract on the growth of LAB were variable depending upon the LAB species and concentrations of Jujube extract significantly (p<0.05). In the results, Jujube extract enhanc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by the 3 LAB strain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Jujube extracts until 2.0% added was to the MRS broth medium (p<0.05). Addition of Jujube extract markedly stimulated the acid production and propag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Bifidobacterium longum.

  • PDF

배지의 pH 조정에 의한 홍삼 추출물 첨가가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Growth of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H Controled Medium)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7-264
    • /
    • 2005
  • 홍삼 추출물이 유산간균 3종(L. acidophilus, L. casei 및 L. salivarius ssp. salivarius)과 병원성 균으로서 E. coli 및 L. monocytogenes에 대한 성장 촉진과 억제 효과를 홍삼 추출물 0, 1, 2, 5와 $10\%$ 농도로 조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에 의한 pH 저하를 buffer제를 사용하여 조정하고 미생물의 성장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유산간균 3종의 경우 홍삼 추출물 $1\%$ 농도까지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2\%$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 시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산균의 성장도 둔화되었다. E. coli의 경우 홍삼 추출물이 $1\%$부터 높아질수록 성장이 억제되었고, L. monocytogenes의 경우 $5\%$ 이상의 처리구에서 억제 효과가 있었다. Buffer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고 홍삼 추출물을 $10\%$ 첨가한 구와 pH를 조정하지 않은 구를 비교하여 보면 유산간균과 병원성 균의 성장이 두 구간에 모두 억제되므로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홍삼 추출물 중의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가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억제 효과는 홍삼 추출물 중 다른 유효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