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 mixture

검색결과 910건 처리시간 0.021초

고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농자재의 alkaloid계 살충성분 2종의 토양 및 수계 노출 안정성 (Stability of Matrine and Oxymatrine from the Biopesticide from Sophora flavescens under Aquatic and Soil Environment)

  • 김진효;최근형;임성진;박병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
    • /
    • 2015
  • BACKGROUND: The stabilities of the two alkaloidal insecticides of S. flavescens including matrine and oxymatrine are important factor to establish expiry date and usage manual for crop protection. However, the environmental stability of the compounds had not been studied with the extract and its commercial biopesticide. METHODS AND RESULTS: The environmental stabilities of the two alkaloids were performed with extract of S. flavescens, and its two commercial biopesticides both in controlled aquatic and soil conditions. The half-lives of the total matrines for the extract and its two commercial biopesticides were estimated over 200 days both under aerobic and anaerobic water condition. Under dry soil condition, the initial decay rates of the matrines were calculated 0.0804-0.1275 ($t_{1/2}$ 5.4-8.6 days), and the half-lives under wet soil condition were calculated 33.0-231 days. Total soil bacteria on the wet soil ranged 6.0-8.0 log CFU/g-soil during the experiments period. CONCLUSION: The aquatic mixture of the extract showed excellent stability both with the extract and its biopesticides, however, the stability of soil mixture were shorter than the aquatic mixture, suggesting that soil metal consider as a catalyst for the degradation of the two alkaloid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추출물 및 잎새버섯과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혼합추출물의 급성독성시험 (Acute toxicity evaluation of maitake mushroom extract and the mixture of maitake and white jelly mushroom extract)

  • 오영주;박금주;하효철;김현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혈당강하 소재로서 가능성이 확인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었다.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중 kg 당 최고 5g의 각 시험물질을 마우스 위에 직접 투여하여 48시간 동안 관찰 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아 LD50 은 5g/kg B.W. 이상으로 계산되었으며, 임상 증상이나 체중에서도 유의할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마우스에 있어서 단기 급성 경구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식품소재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급성 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임상사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Bacillus thuringiensis와 고삼추출물 혼합처리에 의한 파밤나방 방제효과 (Combination Effects of Bacillus thuringiensis and Sophora Extract on Spodoptera exigua)

  • 한지희;김윤지;정혜주;김정준;이상엽;김다연;안성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21-831
    • /
    • 2016
  • 본 연구는 난방제 해충인 파밤나방을 농가에서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Bacillus thuringiensis와 고삼추출물 혼합처리에 의한 살충효과를 실내 포트 및 포장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실내 포트 실험에서 BT를 농도별($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fu\;mL^{-1}$)로 처리하였을 때 파밤나방의 살충율은 27.5%, 51.3%, 92.5%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살충율이 증가하였다. BT ($1{\times}10^5$, $1{\times}10^6$, $1{\times}10^7cfu\;mL^{-1}$)와 0.033% 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의 살충율은 98.8%, 88.8%, 91.3%로 BT 단독처리보다 BT+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가 높은 살충율을 나타냈으며, 혼합된 BT의 농도가 낮을수록 살충율 증가가 높았다. 각 처리별 파밤나방의 식이저해 효과는 BT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포장 실험에서도 실내포트 실험과 유사하게 BT 단독처리구(14.4%, 26.7%, 66.7%)보다 고삼추출물 혼합처리구가 높은 살충율(72.2%, 67.8%, 61.1%)을 나타냈으며 식이저해효과 또한 실내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농가에서 파밤나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BT 단독처리보다 0.033% 고삼과 BT($1{\times}10^5cfu/ml$)를 혼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죽력(竹瀝)과 대나무 추출액의 혼합물이 뇌혈류 및 혈압에 미치는 작용 기전 (Mechanism of Mixtur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oo Extract on the Cerebral Blood Flow and Blood Pressure in Rats)

  • 김천중;김계엽;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612-1619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Mixtur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oo Extract on the change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blood pressure (BP) in normal rats, and further to investigate cytokines production in serum of cerebral ischemic rats. Mixture were as follows ; Bamboo Extract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t 98 $^{\circ}C$ for 3 hrs, Mixtur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bamboo Extracts (MLE) mixed at the ratio 1 to 100 (MLE100), 1 to 50 (MLE50), 1 to 20 (MLE20), 1 to 10 (MLE10), 1 to 5 (MLE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LE-induced increase in rCBF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indomethacin (1 mg/kg, I.p.), an inhibitor of cyclooxygenase as well as methylene blue (10 $^{\mu}g/kg$, I.p.),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The MLE-induced increase in BP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methylene blue. In cytokines production in the serum drawn from femoral arterial 1 hr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LE5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TGF-${\beta}$ and increased production of IL-10, but significantly decreased production of TGF-${\alph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ytokines production in the serum drawn from femoral arterial 1 hr after reperfusion, MLE5 significantly increased production of TGF-${\beta}$ and IL-10, but significantly decreased production of TGF-${\alph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S results above. And MLE5 had anti-ischemic effect by inhibiting TGF-${\alpha}$ production, and by accelerating IL-10 and TGF-${\beta}$ production.

Synergetic effect of soluble whey protein hydrolysate and Panax ginseng berry extract on muscle atrophy in hindlimb-immobilized C57BL/6 mice

  • Han, Min Ji;Shin, Ji Eun;Park, Seok Jun;Choung, Se-Yo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83-289
    • /
    • 2022
  • Background: Sarcopenia, defined as loss of muscle mass and strength with age, becomes a public health concern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mixture of soluble whey protein hydrolysate (WPH) and Panax ginseng berry extract (GBE) has a synergetic effect on sarcopenia and, if so, to identify the relevant mechanisms and optimal mixing ratio. Methods: In the first experiment, C57BL/6 mice were hindlimb immobilized for one-week and then administered WPH 800 mg/kg, GBE 100 mg/kg, WPH 800 mg/kg+ GBE 100 mg/kg mixture, and Fructus Schisandrae extract (SFE) 200 mg/kg for two weeks. In the second experiment, experimental design was same, but mice were administered three different doses of WPH and GBE mixture (WPH 800 mg/kg+ GBE 100 mg/kg, WPH 800 mg/kg+ GBE 90 mg/kg, WPH 1000 mg/kg+ GBE 75 mg/kg). Results: In the first experiment, we confirmed the synergetic effect of WPH and GBE on muscle mass and identified that GBE was more effective on the protein synthesis side, and WPH tended to be slightly more effective for protein degrad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among three different ratios, the WPH 800 mg/kg+ GBE 100 mg/kg was most effective for muscle mass and strength. The mixtures activated muscle protein synthesis via PI3K/Akt/mTORc1 pathway and inhibited muscle protein degradation via suppressing ubiquitin-proteasome system (UPS) and autophagy-lysosome system (ALS), and these effects were more GBE dose-dependent than WPH. Conclusion: The WPH and GBE mixture having a synergetic effect is a potential agent to prevent sarcopenia.

Lactobacillus brevis를 활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산양삼의 발효물에 대한 특성 연구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and Mountain Ginse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Brevis)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9-3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L. brevis SM61을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산양삼 분말을 L. brevis SM61을 이용하여 48시간동안 발효를 수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과 L. brevis SM61을 사용한 발효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발효 초기에는 약 $1.49{\mu}g/mL$ 비해 48시간 이후 약 $5.09{\mu}g/mL$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열수추출물이 약 60%였으나,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이 약 98%로 높아졌다. 항균 활성의 경우 L. brevis SM61을 이용한 발효물에서만 항균 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분리된 신규 L. brevis SM61을 이용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물은 식용 곤충의 기능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해당 유산균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용 곤충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로스팅 커피와 홍삼 혼합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 최유현;김상은;허진;한영환;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홍삼분말과 커피분말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물에서의 항균효과와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그람 음성균 3종과 그람 양성균 3종 및 진균 1종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은 모든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나 비교적으로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음성 균주 E. coli와 진균인 C. albicans 2종에서는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지만 나머지 균주에서는 열수 추출보다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B. cereus 균주에서는 모든 샘플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ES2 샘플은 P. aeruginosa와 S. Typhimurium 균주에서 각각 19 및 2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고, 0.25 및 0.125 mg/mL의 농도로 MIC를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항균성을 보인 대부분의 시료에서 0.5~1.0 mg/mL의 MIC 농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DPPH 자유기 소거효과를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에서는 열수 추출물에서 55.38~60.01%, 에탄올 추출물에서 59.37~70.50%로 AA보다는 약하지만 BHT의 결과와 비슷하여 비교적 높은 자유기 소거효과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화합물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93.57~109.18 mg/g으로 커피와 홍삼의 혼합비율이 9:1일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05.16~119.79 mg/g으로 혼합비율이 7:3일 때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혼합 비율에 따라 각 시료의 항균 효과와 항산화력 역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홍삼의 일반 식품 이용가능성으로 커피와의 함량 조절로 커피의 항균효과와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특정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과 생리활성기능을 연관 지어 연구를 진행한다면 기존의 기호음료로서의 커피에서 기능성 음료로서의 커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토복령의 항산화활성 증진효과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Effects of Smilax china L. Rhizome Water Extracts Added with Its Fermented Leaf Water Extract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심순미;양승환;성금화;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45-152
    • /
    • 2014
  •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열수추출물(FSCL)의 첨가가 토복령 열수추출물(SCLR)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2% 열수추출물을 0:100 (A), 20:80 (B), 40:60 (C), 60:40 (D), 80:20 (E), 100:0 (F) (v/v)의 조건으로 혼합하였을 때 total polypheno l(TP) 및 total flavonoid (TF) 함량, $OD_{475}$, 전자공여능(EDA), 철환원력(FRAP), xanthine oxidase (XO) 및 aldehyde oxidase (AO)에 대한 저해활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A와 F의 TP 함량은 각각 3.78 및 9.37 mg/100 mL, TF 함량은 각각 0.24 및 1.84 mg/100 mL로 FSCL이 SCLR에 비하여 TP는 2.48배, TF는 7.6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887$, $R^2=0.9592$). $OD_{475}$는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거의 비례적으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R^2=0.9850$). EDA (% at mL)는 A (25.75%)에 비하여 F (54.63%)에서 2.12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2=0.9668$). FRAP ($Fe^{2+}{\mu}mole/g$ of dry basis)의 경우도 EDA와 마찬가지로 A (1.18)에 비하여 F (4.92)에서 4.1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907). A의 X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1.19로 F의 2.96에 비하여 59.80%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R^2$=0.9490). 그러나 A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XO의 경우와 반대로 A (3.37)에 비하여 F (1.41)에서 58.16%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향에 대한 기호도는 A와 F에서는 각각 2.77 및 2.72점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발효청미래덩굴잎 열수추출물을 20-80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는 다소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상호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40% 혼합(C) 하였을 때는 무첨가 경우(A 또는 F)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F에 비하여 A에서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40-80% 첨가한 경우가 A, F 및 B보다 높았다. 입맛과 종합적인 품질에 대한 기호도는 C, D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 A.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의 열수추출물은 보이차 스타일의 적갈색을 나타내며, 토복령 열수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음료로서의 기호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EDA 및 FRAP와 같은 항산화활성이 높아지나, ROS 생성계 효소로 알려져 있는 XO와 AO의 활성 억제현상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실험의 결과만으로는 어떠한 성분이 이러한 항산화활성의 변화에 관여하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

유백피, 토복령 추출물 혼합물의 항산화, 항염, 항균 및 난소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ovoprotective effects of mixture of Ulmi cortex and Smilacis rhizoma extracts)

  • 전상규;안정윤;박수미;박선동;이주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51
    • /
    • 2020
  • Objectives : US extract is a mixture of each extract of Ulmi cortex and Smilacis rhizom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bacterial, and ovoprotective effects of US extract in in vitro model to identify potential candidates for improving female reproductive function.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US extract was measured using 1,1-diphenyl- 2-picrylhydrazyl free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US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ere determined with a nitric oxide (NO) assa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s, and western blots analysis.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US extract against vaginitis infection microorganisms were determined with disc diffusion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assays. The ovoprotective effect of US extract on 4-vinylcyclohexene diepoxide (VCD)-induced ovotoxicity in CHO-K1 cells were evaluated with a cell viability assay. Result : US extract showed good antioxidant capacity and inhibited LPS-induced NO production as well as iNOS and COX-2 expression and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IL-6 without affecting the cell viability. It showed significant clear zones for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but did not indicate the clear zones for Escherichia coli and Enterococcus faecium. VCD-induced ovotoxicity in CHO-K1 cell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US extract pre-treatment.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S extract has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vaginitis infection microorganisms, and protective effects on the ovarian cells against VCD-induced ovotoxic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 extract can be used as new prescriptions, supplements,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for improving female reproductive function.

Bacillus Subtilis KJ-3를 이용한 생물전환물 및 그 혼합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ioconversion Products Using Bacillus Subtillis KJ-3 and Their Mixtures)

  • 이진영;동재경;정유성;김미령;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86-1095
    • /
    • 2019
  • 이 연구는 Red allium cepa (RA), Cucurbita moschata Duch (CM), and Angelica gigas Nakai (AG)의 혼합물을 이용한 새로운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RA와 CM은 수분 함량이 높아 저장 안정성이 매우 낮다. 따라서 각 재료들의 주요성분들을 추출하여 함량 분석 후 연구에 사용하였다. RA는 에탄올 추출 후 Bacilus subillis KJ-3 (BS3)에 의해 생물전환하였다. 생물전환 후, RA의 Quercetin 함량은 128.9%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M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beta}$-카로틴을 검출하였고 함량은 0.2 mg/g으로 낮았다. AG 에탄올 추출물(1 mg)의 데커신 및 데커시놀 엔젤레이트(D/DA)는 각각 0.4146 mg과 0.3659 mg을 함유했다. D/DA의 순도는 약 78%로 나타났다. 이들 각각의 물질 및 혼합물(혼합물 1 (RA:CM:AG = 5:2:3), 혼합물 2 (RA:CM: AG = 3:5:2), 혼합물 3 (RA:CM:AG = 3:2:5)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항염증 활성, 항산화 능력 또한 평가하였다.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혼합물 3 (RA:CM:AG=3:2:5)의 항산화 작용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RA, CM, AG의 3:2:5 혼합물을 이용한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