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균사체내외 다당체의 면역활성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l Cultivate of Agaricus blazei Murill)

  • 김무성;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2-297
    • /
    • 2007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의 액체 배양으로 다당체의 균사체외 분비를 유도하였으며, 버섯 균사체의 새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분비 다당체의 면역증진활성을 in vitro 시험으로 비교하였다. 부분 정제된 세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다당체의 총당 함량은 각각 85.6%와 95.3%였으며, ${\beta}$-glucan 함량은 각각 67.9%와 88.1%로 측정되었다. 면역활성 실험에는 시료의 닥 함량을 동일하게 맞추어 사용하였다. In vitro에서 균사체내외 다당체는 대식세포 주인 RAW 264.7을 활성화시켜 nitric oxide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각각 최대 53.9%, 53.1%의 비슷한 증가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균사채내외 다당체는 모두 RAW 264.7을 활성화시켜 염중성 cytokine류인 interleukin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때 3종의 cytokine 모두에서, 세포내 다당체에 비해 세포외 다당체를 처리했을때 저농도에서 높은 증가률을 나타내었다. 두 다당체는 in vitro 상에서 비장세포를 증식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내 다당체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효과를 보인데 반해 세포외 다당체는 저농도에서 증식이 높았고, $250\;{\mu}g/ml$ 농도 이상에서는 더 높아지지 않았다. 두 다당체 모두 암세포인 B16F0 melanoma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으로 생성된 세포내외 다당체는 in vitro에서 모두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그 활성은 세포내 다당체보다 세포외 다당체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Monilinia fructigena for aquaculture

  • Kwak Jung-Ki;Park Jin-Hee;Lee Jung-Suck;Goetz Peter;Cho Man-G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82-188
    • /
    • 1999
  •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Monilinia fructigena in B-I medium containing cereals was higher than that in glucose medium. Productivities in B-I medium and glucose medium were 0.7g/l nd 0.2-03g/l respectively. The maximum content of polysaccharide occurred at the rising point from the lowest pH of culture. As the apparent viscosity of the polysaccharide solution increased, the flow Index (m) decreased, and the consistency Index (Kc) also increased. The polysaccharide solution was a typical pseudoplastic fluid. The mycelium was separated from the culture solution by $300\mu m$ mesh-filter and the polysaccharide was precipitated by adding 50% of ethanol (v/v). The amount of the polysaccharide removed from the filtrated solution was 0.45 g/l and the amount adhered to the mycelium was 0.25g/l. In experiments for investigating growth enhancement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by the polysaccharide, the dose of the polysaccharide was 1mg per 10,000 organisms of rotifer.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rotifer with feed consisting of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was 1.095/day in the batch culture for 10 days. A semi-continuous culture was done for 30 days, the biomass of rotifer could be harvested twic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ith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was 0.734/day before the first harvest, and 1.685/day before the second harvest. Productivity was 38 $cells/ml\; \cdot\; day$ with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 PDF

Effects of Aeration Rates on Production 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R, by Marine Bacterium Hahella chejuensis

  • Lee, Hyung-Sang;Park, Shin-Hye;Lee, Jong-Ho;Lee, Hong-Kum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5호
    • /
    • pp.359-362
    • /
    • 2001
  • The production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R, from the marine bacterium Hahella chejuensis was investigated at various aeration rates in a batch culture. Higher aeration rate resulted in enhanced EPS production and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culture broth. At an aeration rate of 1.5 vvm, EPS-R (12.2 g/L) was obtained with a yield (Y$\_$p/s) of 0.6 from the STN medium after 72 h of cultivation. The H. chejuensis cells changed rod morphology to a short-rod form in the stationary growth phase.

  • PDF

Pseudomonas sp. GP32에 의해 생산된 세포 외 다당류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Pseudomonas sp. GP32)

  • 이명은;이현돈;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027-1035
    • /
    • 2015
  • 미생물유래 다당류 생산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전국 각지의 토양시료로부터 가장 높은 점성과 다당류 생산성을 나타내는 균주 GP32를 분리하였으며, 분리균주 GP32의 동정을 분리균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속 세균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Pseudomonas sp. GP32로 명명하였다. 플라스크 수준에서 Pseudomonas sp. GP32의 다당류 생산을 위한 가장 적합한 탄소원과 질소원은galactose와 (NH4)2SO4를 이용하였을 때 가장 많은 다당류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당류 생산을 위한 최적의 C/N ratio는 50이었다. 다당류 생산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는 각각 7.5와 32℃였다. 최적화된 배지를 이용한 fermentor 배양에서 다당류 생산은 배양 70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때 다당류 생산량은 15.7 g/l이었다. Pseudomonas sp. GP32로부터 생산된 다당류는 ethanol 침전, cetylpyridimium 침전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다당류는 Biopol32로 명명하였다. Biopol 32의 분자량은 3×107 datons이었으며, Biopol32가 함유하고 있는 구성당은 galactose : glucose : gulcouronic acid : galactouronic acid 등이 1.85 : 3.24 : 1.00 : 1.42의 몰비로 함유되어있다. Biopol32 용액은 의가소성 성질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로서 Zoogloea ramigera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인 zooglan보다 모든 농도에서 높은 점성을 나타내었다. Biopol32의 실제 폐수처리현장에서 응집제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식품폐수, 섬유폐수와 제지폐수를 대상으로 응집효율을 조사한 결과, 높은 COD 감소율 (58.4~67.3%)과 SS제거율(82.6~91.3%)를 나타내어 실제 산업폐수에서 뛰어난 응집효율을 나타내었다.

Production of Extracellular Water Insoluble ${\beta}-1,3-Glucan$ (Curdlan) from Bacillus sp. SNC07

  • Gummadi, Sathyanarayana N.;Kumar, Kislay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6호
    • /
    • pp.546-551
    • /
    • 2005
  • [ ${\beta}-1,3-Glucan$ ] (curdlan) is a water-insoluble polysaccharide composed exclusively of ${\beta}-1,3\;linked$ glucose residues. Extracellular curdlan was mostly synthesized by Agrobacterium species and Alcaligenes faecalis under nitrogen-limiting conditions. In this study, we screened the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extracellular curdlan from soil samples. For the first time, we reported Gram-positive bacterium Bacillus sp. SNC 107 capable of producing extracellular curdlan in appreciable amounts. The effect of different carbon sources on curdlan production was studied and found that the yield of curdlan was more when glucose was used as carbon source. It was also found that maximum production was achieved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ammonium and phosphate in the medium was 0.5 and 1.9 g/L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curdlan production was increased from 3 to 7g/L in shake flask cultures.

Bacillus sp. PS-12가 생산하는 extracellular polysaccharide의 분리 및 immunomodulating activity (Isolation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Bacillus sp. PS-12)

  • 나예슬;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44-750
    • /
    • 2009
  • 토양에서 분리한 세포외 다당류 생산균주 PS-12는 형태학적, 생리학적, 화학적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sp.에 속하는 균주로 동정되었으며, 분리균주 PS-12는 Bacillus sp. PS-12로 명명하였다. Bacillus sp. PS-127가 생산하는 세포외 다당류는 에탄올 침전,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침전과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다당류 PS-12의 당조성은 glucose, mannose, galactose와 fucose가 7:3.2:2:1의 몰비로 구성되어있었다. Bacillus sp. PS-12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PS-12를 이용하여 면역증강효과를 확인하였다. TNF-${\alpha}$ 및 lL-6 측정은 RAW264.7 대식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cytokine 정량을 위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였다. RAW264.7 세포주에 대한 PS-12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독성이 10% 미만을 나타내는 농도인 2 ${\mu}g$/ml을 PS-12의 최대농도로 측정하였다. PS-12는 ${\mu}g$/ml에서 TNF-${\alpha}$를 정상세포보다 50배 이상 높은 수치로 생산하였다. 또한 lL-6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PS-127가 면역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대식세포로부터 TNF-${\alpha}$와 11-6의 cytokine 생산을 함으로써 면역증강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mutans에 관하여 2 (Characteriz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Human Dental Plaque 2. Streptococcal Polysaccharide.)

  • 이건주;이배함
    • 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0-187
    • /
    • 1980
  • Streptococcus mutans에 의한 sucrose로 부터 축적된 polysaccharide를 조사한 결과 1 균주이 따라 36시간 후 4.41mg/ml로 부터 1.86mg/ml사이의 polysaccharide가 축적되고 2 효소에 의해서도 10시간 후 2.36mg/ml에서 1.4mg/ml의 polysaccharide가 생성되고 3 생성된 polysaccharide는 통일형의 polysaccharide였다.

  • PDF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 11726의 메탄올 대사와 세포외 다당류 생합성 (Metanol Metabolism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in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 11726)

  • 김재성;김시욱;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07-211
    • /
    • 1998
  • 메탄올을 이용하여 성장하는 Methylovorus sp. strain SS1은 formaldehyde의 산화를 위한 linear route의 주효소인 $NAD^+$-linked formaldehyde dehydrogenase 및 $NAD^+$-linked formate dehydrogenas와 cyclic route의 주효소인 hexulose-6-phosphate synthase, glucose-6-phosphate isomera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등의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cyclic route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이 세균은 formaldehyde의 동화와 관련된 ribulose monophosphate 경로의 주효소와 Entner-Doudoroff 경로의 주효소 및 transaldolase 활성과 함께 세포외 다당류 합성과 관련된 phosphoglucomutase, UDP-glucose pyrophyosphorylase, mannose-6-phosphate isomerase의 활성도 나타내었다. 2.3 mM의 ammonium sulfate가 포함된 배지에서 성장한 세균은 7.6 mM의 ammonium sulfate가 포함된 배지에서 성장한 세균보다 더 많은 세포외 다당류를 생산하였지만 균체 수율은 낮았고,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와 phosphoglucomutase 및 UDP-glucose pyrophoshorylase의 활성은 높게 나타내었으나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2-keto-3-deoxy-6-phosphogluconate aldolase의 활성은 낮았다.

  • PDF

차가버섯의 균사체 및 세포외다당체의 생산조건과 면역활성 (Optimun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ycelia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Inonotus obliquus and Their Immunomodulating Acitivities)

  • 박희성;신동일;정일경;양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617-1622
    • /
    • 2009
  • 차가버섯의 균사체 생장과 세포외 다당체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고, 세포내 외 다당체의 항보체 활성과 대식세포의 lysosomal enzyme 활성을 관찰하였다. 균사체 생장과 세포외 다당체 생산을 위한 최적 pH, 온도, 및 교반속도는 각각 5.5, $25^{\circ}C$, 150 rpm으로 나타났으며, 배양기간은 11일째 최대 균사체 생장(10.89 g/l)과 세포외다당체 생산(1.25 g/l)을 보였다. 항보체 활성은 세포내 외 다당체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활성이 증가함을 보였고, 대식세포의 lysosomal enzyme 활성은 $100{\mu}g/ml$ 농도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세포내 다당체는 약 2.2배, 세포외 다당체는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WN9 KCTC 8951P and Its Usefulness as a Cement Mortar Admixture

  • Kahng, Goong-Gjung;Lim, Seo-Hyung;Yun, Han-Dae;Seo, Weon-Tae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2호
    • /
    • pp.112-116
    • /
    • 2001
  •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WN9, from Paenibacillus sp. and its suitability as a viscosity modifying admixture for cement mortar mixing were investigated. After 48h culture in an optimized medium, cell growth and EPS production were 1.2g/L and 4.0g/L, respectively. By adding EPS WN9 to mortar, it was possible to prepare a homogeneous mortar without material segregation and excess air entrapment. The optimal amount of EPS addition to mortar found to be 0.02 to 0.05%(w/w) of the cement used. Increasing the dosage of EPS WN9 from 0 to 0.05%(w/w) resulted in a setting retardation of 0.14h to 0.8h and an increase i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mortar of 10 to 2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