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prestressing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4초

콘크리트 교량의 보강을 위한 온도 프리스트레싱 공법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Prestressing Method for Strengthening Concrete Bridge)

  • 안진희;김준환;최규태;김상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83-490
    • /
    • 2007
  • 현재 콘크리트 교량의 보강 공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외부 강봉을 이용한 후 인장 공법은 적용 범위가 넓고 교량의 극한 및 항복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휨보강 효과가 뛰어나지만, 모재 접합부의 응력집중, 비효율적인 하중 분배, 고정앵커부 설치,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외부 강봉을 이용한 후 인장 공법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강판 접합 공법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보강 공법으로 온도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온도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은 프리스트레싱 보강 강판을 다단계로 가열하여 가열 단계별로 콘크리트 교량의 하부에 접합한 뒤, 열원을 제거하여 발생하는 다단계 수축력을 보강에 필요한 프리스트레싱력으로 이용하는 보강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온도 프리스트레싱 보강 공법의 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프리스트레싱 보강 강판을 콘크리트 교량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마찰저항 강도 실험과 온도 프리스트레싱에 의하여 콘크리트 교량에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싱 효과의 확인을 위한 응력 도입 실험을 실시하여 제안된 공법을 검증하였다.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의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Application of Multi-Stepwise TPSM)

  • 안진희;김준환;김상효;이상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1-100
    • /
    • 2008
  •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은 기존의 프리스트레싱 공법과 단면접합공법의 장점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프리스트레싱 공법으로 프리스트레싱용 커버플레이트를 다단계로 가열하여 거더의 하부플랜지에 고장력볼트로 접합한 뒤, 열원을 제거하여 발생하는 다단계 수축력을 보강에 필요한 프리스트레싱력으로 이용한 공법이다. 본 연구는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의 실제적인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다단계 가열을 위한 가열 장비의 가열성능 평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라멘형 강거더 임시교량을 제작하고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을 적용하여 도입 프리스트레싱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트럭을 이용한 하중재하 실험을 실시하여 구조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연선 또는 CFRP를 이용한 RC보의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ening Method of RC Beam Applied External Prestressing Using Strand or CFRP)

  • 심낙훈;박영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07-21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에 대한 보강공법 중의 하나인 외부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과 긴장재로 사용되는 강연선 또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판을 적용하여 그 보강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조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료의 경우에 어느 정도의 강성증가 효과와 연성증진 효과를 발휘하는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강연선과 CFRP로 보강한 각각의 경우에 무보강 시험체를 기준으로 57%와 75%의 강도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외부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RC 중공슬래브교의 최적보강 (Optimal Strengthening in RC Hollow Slab Bridges Using External Prestressing)

  • 박경식;최세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통권58호
    • /
    • pp.204-2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RC 중공슬래브 교량의 내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부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보강방법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보강을 위해 Queen-post 형식과 King-post 형식이 고려되었으며, 축차무제 약 최소화 기법(SUMT)를 이용하여 목표 내하율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형상과 긴장력을 구하였다. 최적보강을 위한 목적함수는 재료비용을 무차원화한 비용함수로 구성하였으며, 제약조건은 시방서 규정과 내하율을 고려하여 형성하였다. RC 중공슬래브 교량의 보강을 실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부모멘트부의 효율성을 고려한 외부강선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거더 연속교의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Girder Continuous Bridges Strengthened with External Tendons Considering the Efficiency at Negative Moment Region)

  • 한만엽;조병두;전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555-56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연속 거더교의 외부강선 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등가하중개념을 적용하여 기존 방법 대비 제안된 보강 방법의 개선점을 명확히 분석하였다. 보강 효과의 검증을 위해 연속보의 외부강선 보강 실험을 실시하여 외부강선에 의한 내하력 향상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속보 실험체는 콘크리트 거더 연속교의 일반적인 시공법과 동일하게 바닥판 슬래브 부분만을 연속화하여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동일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할 때 외부강선이 보강된 실험체는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처짐이나 변형률이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재의 강성도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연속교 중간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바닥판의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Strut-tie model evaluation of behavior and strength of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 Yun, Young Mook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권4호
    • /
    • pp.267-291
    • /
    • 2005
  • To dat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analysis and design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ith disturbed regions. However, prestressed concrete deep beams have not been the subject of many investigations. This paper presents an evaluation of the behavior and strength of three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failed by shear and bond slip of prestressing strands using a nonlinear strut-tie model approach. In this approach, effective prestressing forces represented by equivalent external loads are gradually introduced along strand's transfer length in the nearest strut-tie model joints, the friction at the interface of main diagonal shear cracks is modeled by the aggregate interlock struts along the direction of the cracks in strut-tie model, and an algorithm considering the effect of bond slip of prestressing strands in the strut-tie model analysis and design of pre-tensioned concrete members is implemented. Through the strut-tie model analysis of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the nonlinear strut-tie model approach proved to present effective solutions for predicting the essential aspects of the behavior and strength of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The nonlinear strut-tie model approach is capable of predicting the strength and failure modes of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including the anchorage failure of prestressing strands and, accordingly, can be employed in the practical and precise design of pre-tensioned concrete deep beams.

네트형 슬래브교 외부강선 보강 공법 연구 (A Study of Net Type External Prestress Strengthening Method for Slab Bridges)

  • 한만엽;황태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5-480
    • /
    • 2002
  •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engthening method for slab bridges with external prestressing. There are so many different strengthening methods for damaged slab bridges,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is the most effective, economical and durable strengthening method among them. But, its problem lies in anchoring devices, so recently, an effective anchoring method was developed and showed its improvements. In this study, a more improved method is suggested. Longitudinal tendons placed on both side of slab strengthens the whole bridge, and lateral tendons placed under the slab strengthens the middle of slab, and conveys the load at middle slab to both sides. Structural analysis for the tensile force for strengthening were analysed. Generally, 200-280tons for longitudinal tendon and 130-190 tons for lateral tendons are good enough to strengthen the damaged slab. This method has no upward roof work, so it is very convenient for installing. And no spaces under the slab are need, so it is good for shallow slabs which has less space under the slab.

  • PDF

철근콘크리트 연속보에서 부분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의한 휨보강 효과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Continuous Beams in Flexure by Partial External Unbonded Tendons)

  • 윤현도;양일승;임재형;문정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65-172
    • /
    • 2006
  • 최근 손상된 부재를 원상으로 회복하면서 보강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보강공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손상된 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기존의 포스트텐션공법은 구조부재에 추가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인접부재에 손상을 주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부분프리스트레스공법에 관한 개발 및 성능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외부포스트텐션공법 중 하나인 아웃케이블 공법에 대한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휨 보강된 연속보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포스트텐션과 아웃케이블공법의 주요 파괴모드는 균열이 고르고 넓게 분포한 휨파괴의 형태를 나타냈다. 그리고, 초기의 휨균열 시 강성 및 철근항복 시 강성, 항복하중, 최대하중에서 유사한 거동특성을 보임으로써 두 공법에 의한 보강효과는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강철도교에 대한 외부 후긴장 보강공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in the applying External Post-tensioning Method)

  • 최정열;박용걸;변종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4-1039
    • /
    • 2004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application of reinforcement for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by the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It analyzed the mechanical behaviors of non-ballasted railway bridge with ballast reinforced and external post-tensioning reinforced on the finite clement analysis for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As a result, the reinforcement of ballasted railway bridge the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are obviously effective for the additional dead force which is ballast. The analytical study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st-tension force decrease bending behavior and deflection in composite bridge for serviceability. To develop two type FEM model which reflect well the post-tension force transverse distribution behavior of servicing bridge. With the comparing the results of railway bridge with ballast which carried out before the post-tensioning with the results of railway bridge with ballast which carried out after post-tensioning, It is investigated that the additional dead load decrease effect and bending behavior of servicing bridge is effect by the post-tensioning. The reinforcement by using the external tendon can be reducing that structure of a degradation phenomenon by unusual stresses due to additional dead load and other problems.

  • PDF

PSC I합성 거더의 휨 거동 및 외부 강선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PSC I Girder and the Effect of External Prestressing)

  • 이병주;박재근;김문영;신현목;박창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55-762
    • /
    • 2007
  • 노후된 PSC I 거더교에 대한 내하력 평가 방법과 외부 강선으로 보강된 교량의 성능 평가 및 보강 효과 검증 방법은 재하 차량을 이용한 현장 실험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재하 차량에 의한 실험은 탄성 범위 내의 사용하중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활하중에 의한 교량의 거동 특성 분석만 유효하며, 균열하중 이후에 나타나는 비선형 거동과 극한 상태에서의 내하력을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실험 연구에서는 27년 동안 공용된 PSC I 거더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재하 시험을 실시하여 사용하중 및 극한하중에 대한 교량의 거동 특성과 내하 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외부 강선 보강 방법의 보강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기존 교량의 내부 PS 강선을 절단하여 인위적으로 손실을 유도하고 평가하였으며, 절단된 양 만큼을 외부 강선으로 보강하여 보강 전후의 거동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이용하면 PSC I 거더교에 외부 강선 보강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 요구되는 기존 교량의 내하력, 요구 보강량, 보강 공사시 품질관리 기준 등을 보다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