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sor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8초

슬관절 주위 글격의 기초과학 및 스포츠 손상 (KNEE: Basic Science and Injury of Bone)

  • 김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7-81
    • /
    • 2003
  • 목적: 슬관절 주위 골격의 기초과학을 생체역학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빈도가 높은 스포츠 손상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해부 밀 운동학: 슬관절은 순수한 경첩 관절이 아니며 적합하지 않으므로 여섯 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다. 경골대퇴간 운동역학: 슬관절의 굴곡-신전 축은 시상면에 수직이 아닐 뿐 아니라, 관상면상 관절선과 평행하지 않으므로, 경골대퇴관절은 굴곡 시 내반과 내회전이 동반되고 신전 시에는 외반과 외회전이 동반된다. 슬개대퇴 관절: 슬개대퇴 관절 압박력은 슬관절의 굴곡 각도와 사두고근력에 비례한다 슬개골은 신전기전의 moment arm을 증가시켜 신전기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지렛대 역할을 한다. 슬개골 골절: 비전위성 골절이면서 하지 직거상 운동이 보존된 경우에 비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며 수술적 치료 시 고정 방법의 선택은 골절 양상에 따라 결정되겠으나 어느 술식을 선택하여도 신전지대의 봉합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슬개골 불안정성: 선행 해부학적 이상을 조사해야 하며 급성 탈구에서도 골연골 골절편이 있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은 운동선수에서 인대 봉합을 고려할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및 재활에도 불수하고 계속되는 재발성 아탈구나 탈구는 수술이 필요하다 학령기 스포츠 손상: Idiopathic Adolescent Anterior Knee Pain, Osgood-Schlatter Disease, Sinding-Larsen-Johansson Disease 등이 흔하다

  • PDF

상완골 외 상과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 김성재;오경수;박병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5-109
    • /
    • 2007
  • 목적: 외 상과염은 주관절 주위 에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최근에는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관절경 치료에 대한 결과 보고가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외 상과염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의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외 상과염 진단 하에 본원에서 관절경 시술을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결과는 visual analogue scale 및 Roles and Maudsley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VAS score는 통증이 없는 경우를 0점, 참을 수 없는 통증을 10점으로 하였고 Roles and Maudsley score는 동통의 정도, 관절의 운동 및 활동도를 평가하여 4개의 등급(excellent, good, acceptable, poor)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단 요 수근 신근 병변은 Baker의 분류를 이용하여 나누었으며 1형이 7예, 2형이 4예, 그리고 3형이 1예 있었다. VAS score는 술 전 평균 8.3점(7점$\sim$10점)이었고, 술 후 평균 1.6점(0점$\sim$4점)이었다(p-value=0.028). Roles and Maudsley score는 술 전 acceptable 2명, poor 10명이었으며, 술 후 excellent 7명, good 5명, acceptable 2명이었고, poor로 응답한 환자는 없었다(p-value<0.01).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외 상과염 치료는 기존의 개방적 술식에 비해 술 후 통증이 적고 재활 기간이 짧으며 결과 또한 양호하므로 보존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 중의 하나라고 사료되는 바이다.

  • PDF

고령자 보행자립도(능력) 측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lderly Walking Independence Index Model)

  • 노창균;박범진;문병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48-356
    • /
    • 2015
  • 앞으로 10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모든 분야에서 고령자 분석 및 대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교통 분야에서도 고령자의 보행 교통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과 정책적 보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보행행태, 보행능력, 보행영향 요인 등의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 검토를 통해 보행능력(보행속도)을 일반, 건강, 운동요인 등 3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평균나이 72.6세의 고령자 52명을 대상으로 면접, 국민체력 100, SPBB, Cybex 등의 다양한 방법과 측정도구를 종합하여 3개 분야 총 12개의 세부 요인에 대한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요인인 연령, 체격 등은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며, 건강요인 중에는 하지 신근, 운동요인 중에는 평형성, 협응성, SPPB가 가장 보행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보행자립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고령자의 보행능력의 진단하여 교통 분야 고령자 보행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한 말초감각신경자극과 과제 지향적 훈련의 동시 적용 효과: 단일 맹검 무작위대조군실험 (The Effects o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Peripheral Nerve Sensory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fter Stroke: Single 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선호;원경아;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7-20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개선을 위해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9명의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을 동시에 적용한 실험군은 14명, 과제지향적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은 15명으로 주5회, 회기당 30분씩, 총 4주간 진행하였다. 결과측정은 손목과 어깨근육의 자발적 근수축 비율과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잡기와 쥐기의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로 측정하였다. 결과 : 4주간의 중재 후 짧은노쪽손목폄근, 노쪽손목굽힘근의 근 활성도와 잡기 근력, Action Research Arm Test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결론 : 말초신경감각자극과 과제지향적 훈련의 동시적용은 과제지향적훈련만 하는 것보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측와위로 시행한 견관절 관절경 후에 동시에 발생한 전방 및 후방 골간 신경 증후군 - 증례보고 - (Simultaneous Anterior and Posterior Interosseous Nerve Syndrome Following Shoulder Arthroscopy in the Lateral Decubitus Position - Case Report -)

  • 서재성;김지훈;강동화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48-152
    • /
    • 2013
  • 관절 관절경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전방 및 후방 골간 신경 증후군이 동시에 발생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45세 남자 환자가 좌측 견관절의 불안정성으로 견관절 관절경 수술을 시행받았다. 전신 마취하 우측 측와위 자세에서 전완부를 신전한 상태에서 견인 장치를 부착한 상태로 2시간 동안 수술을 시행하였다. 1주일 후 환자는 좌측 전완부 동통, 수지의 신전력 및 무지와 인지의 심수지 굴근력의 저하로 외래를 방문하였다. 경과 관찰하였으나 증상이 지속되어 전방 골간 신경에 대해서는 신경 탐색술을 시행하였고 후방 골간 신경에서는 모래 시계 모양의 협착 소견이 발견되어 병변 절제 후 신경 외막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약 5개월간 외래에서 경과 관찰하였다. 신경 탐색술을 시행하고 3개월 후 총수지 신근의 기능이 회복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회복하여 신경 탐색술 후 5개월째 증상이 완전히 회복되었다. 견관절 관절경 수술 후 전방 및 후방 골간 신경 증후군의 발생은 드물지만 견인 장치 및 수술 중 자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견인 장치 부착 및 수술 자세에 대해 술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신경질환의 진단을 위한 탈신경 전위와 종판 전위의 구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enervation Potentials and Endplate Spikes for the Diagnosis of Neuropathy)

  • 임재중;김남균;황윤성;박인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9
    • /
    • 1999
  • 신경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근육군에서의 세동전위나 양성예각파와 같은 탈신경전위를 관찰함으로써 신경의 이상유무와 손상부위를 예측할수 있는데 이는 임상의의 주관적인 경험에만 의존하여 구별되고 있으며 검사과정 중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종판전위가 탈신경전위로 오인되어 진단에 혼선을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추출함으로써 신경손상의 진단과 병변의 국소화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신경손상을 보이는 10명의 환자들에 대한 근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탈신경전위인 양성예각파나 세동전위, 그리고 종판전위를 검출하였다. 이들 신호로부터 지속시간, 면적, 기울기, 첨두시간 진폭, 양첨두지 진폭, 음첨두치 진폭 및 첨두치 비율 그리고 상(phase)의 여덟가지 매개변수를 구하고 각 파형에서의 값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의 구분에 공통적으로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매개변수는 기울기, 첨두치간 진폭, 양첨두치 진폭 그리고 첨두치간의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해진 매개변수들의 특성은 근전도 분석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듬의 수립에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정량화된 근전도 분석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 PDF

후경골 동맥 유리 피판에 의한 수부 전기 화상의 재건 (Reconstruction of Electrical Burned Han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 최수중;서은민;이창주;장준동;김석우;이상훈;이동훈;서영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4-23
    • /
    • 2004
  • Introduction: The hand and wrist ar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electrical burn. Skin defect with damage or exposure of underlying vital structure requires coverage by skin flap especially in case of the need for late reconstruction. We are reporting 4 cases of electrical burned hand treated by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The commonly used skin flaps such as scapular flap or groin flap are too bulky so that they are not satisfactory in function and cosmetic appearance. So we tried to cover them with a more thin skin flap.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03, four cases of hand and wrist electrical burn were covered using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All the cases were due to high voltage electrical burn. Age ranged from 31 years to 38 years old and all the cases were male patients. Recipient sites were 2 wrist, one thenar area and one knuckle of 2.3rd MP joint. Additional procedures were flexor tenolysis (simultaneous), FPL tenolysis and digital nerve graft (later) and extensor tendon reconstruction (later). Result: All the flap have survived totally without any complication including circulatory concern about the donar foot. Posterior tibail arterial free flap was so thin that debulking procedure was not required. Conclusion: For skin coverage of the hand & wrist region, posterior tibial arterial free flap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reliable anatomy, easy dissection and easy anastmosis with radial or ulnar artery and possibility of sensory flap. The most helpful advantage for hand coverage is its thinness. So we think this flap is one of the very useful armamentarium for reconstructive hand surgery.

  • PDF

골반압박벨트 착용이 한발서기 시 여성 천장관절통증 환자의 체간과 고관절 신전근 활성 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the Pelvic Compression Belt on the Trunk and Hip Extensor Electromyography Pattern in Female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During the One-Leg Standing)

  • 정희석;전혜선;이충휘;권오윤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12
  • The pelvic compression belt (PCB) contributes to improving sacroiliac joint stability, and it has been used as an additional therapeutic option for patients with sacroiliac joint pain (SIJP).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uscle activation patterns of the supporting leg was different between asymptomatic subjects and subjects with SIJP during one-leg standing, and how it changes with the PCB. 15 subjects with SIJP and 10 asymptomatic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data (reaction time [RT] and muscle activ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al oblique, lumbar multifidius,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s during one-leg standing with and without the PCB. Without the PCB condition, in the SIJP group, the biceps femoris muscle showed the fastest RT among all muscles (p<.05), whereas in the asymptomatic group, the RT of the internal oblique muscle was the most rapid (p<.05). In condition without the PCB, the biceps femoris EMG amplitudes in the SIJP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asymptomatic group (p<.05).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CB, the RT of the biceps femoris muscl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in the SIJP group (p<.05). Moreover, the biceps femoris EMG amplitud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gluteus maximus EMG amplitudes significant increased only in the SIJP group by applying the PCB (p<.05). However, this had no such effect on the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EMG patterns in the asymptomatic group (p>.05).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applying the PCB to patients with SIJP can be used as a helpful option to modify the activation patterns of the gluteus maximus and biceps femoris muscle.

농구 자유투 동작 시 숙련자 및 미숙련자의 근전도 및 지면 반력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and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Skilled and Unskilled Player during a Free Throw)

  • 구형모;채원식;강년주;윤창진;장재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7-357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농구 자유투 동작 시 근전도 분석 및 지면 반력 분석을 통해 숙련자와 미숙련자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근전도 분석을 위해 7쌍의 표면전극을 피험자의 요측수근굴근, 장요측수근신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대퇴직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접지전극은 상전장골근에 부착하였다. 두 대의 지면반력기를 통해 전 후, 좌 우, 수직 방향에 작용하는 지면반력과, 압력 중심 이동을 측정하였다. 숙련자의 경우 볼을 투사하기까지 근육활동이 미숙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근육활동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유투 동작 시 볼 을 투사하는데 있어서 숙련자가 미숙련자보다 낮은 근육활동으로도 효율적으로 볼을 투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숙련자는 불필요한 좌우 방향의 힘의 이동을 발생시켜 자유투를 안정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련자의 경우에는 원활한 전후 방향의 지면반력과 압력 중심 이동을 통해 안정적으로 볼을 투척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자유투 동작은 상지와 하지의 협응성과 유연성을 통해 안정된 슈팅 동작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n Muscle Activities in the Upper Body of Caregivers according to Drive-Assisting Speeds of a Shower Carrier

  • Ko, Cheol Woong;Cho, Deok Yeon;Bae, Tae Soo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7-442
    • /
    • 201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ive-assisting system in a shower carrier on the upper body muscle activities of caregivers through drivability tests. Background: In care facilities, one of the major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ctors is bathing/showering. Recently, bath/shower-assisting equipment is actively being introduced in care facilities to reduce caregivers' muscle burden. In particular, it is desirable to utilize a shower carrier equipped with drive-assisting system to effectively care for the elderly. However, there were few systematic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le activities and drive-assisting speeds. Method: For the drivability tests to study the effects on the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rive-assisting speeds(corresponding drive-voltages: 0.0V, 2.0V, 2.1V, 2.3V), 6 females in their 40s($43{\pm}4yrs$, $157{\pm}5cm$, and $54.5{\pm}1.5kg$) were selected. To measure muscle activities of caregivers through drivability tests, 7 muscles in the upper body(TM/Trapezius Muscle, DM/Deltoid Muscle, BBM/Biceps Brachii Muscle, TBM/Triceps Brachii Muscle, ECRLM/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uscle, FCUM/Flexor Carpi Ulnaris Muscle, and ESM/Erector Spinae Muscle) were selected. Results: In the TM, muscle activities were decreased as 21% compared to 0.0V, when drive-voltage 2.0V was applied, as 57% by 2.1V, and 62% by 2.3V(p<0.05), whereas 40%, 56%, and 69% of muscles activities were decreased respectively from the DM(p<0.05). Also, from the UL(BBM+TBM+ECRLM+FCUM), muscle activities were decreased by 17% with 2.0V as against 0.0V, by 47% with 2.1V, and 52% with 2.3V, whereas decreases in muscle activities from the ESM were found by 20%, 34%, and 42% respectively by 2.0V, 2.1V, and 2.3V(p<0.05). Conclusion: The muscle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DM, TM, ESM, and UL. As muscle activities were remarkably reduced as drive voltage were increased, it was expected to reduce the upper body muscle burden on the caregivers when using shower carriers equipped with driving-assist system. Applicat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a shower carrier including other equipment to possibly reduce the muscle burden of the careg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