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ded family elderly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가족형태에 따른 여자 노인의 영양소 섭취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Effect of Family Type on the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Women)

  • 이현숙;장문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34-94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type on the nutrient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elderly women. Blood samples and anthropometric data of elderly women aged from 60 to 78 years were collected in 1996, who visited a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Seoul to screen their health statu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family type, one was extended family(extended family elderly, n=37) and the other was independently living(independently living, n=29). Nutrients intake was measured by interview using a simplified questionaire. Albumin, cholesterol, triglyceride(TG), hemoglobin (Hb), hematocrit, Ca, Mg,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serum were analyzed. Intakes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 Fe, vitamin A, niacin, thiamin, riboflavin, and vitamin C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fat and Ca intakes were higher(p<0.05) in extended family elderly than indepen dently living elderl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atocrit value and serum concentrations of Hb, TG, and Ca. Serum Mg and cholesterol levels tended to be higher in extended family elderly. However, serum albumin level was lower(p<0.05) in extended family elder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ndepen dently living elderly women had intakes of daily energy, fat and Ca compared to the extended family elderly. Therefore, the nutritional education for the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will be focused on the health risk resulted from less intakes of Ca and total energy.

  • PDF

노인단독가구와 자녀동거가구 농촌노인의 건강관련 행동,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 적정도 비교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elderly Families vs. Extended Families)

  • 김창임;박영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07-315
    • /
    • 2000
  • The aim t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adequacy ratio of the elderly. Studies were performed on 109 home-bound elderly in a rural area of Asan city, in 1996.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family type, one was single-elderly family(n=58) and the other was extended family(n=51).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ires and personal interviews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68.6. They served in primary industry, and 89.1% of responders received less than a primary school edu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family type. 2) Single-elderly family members themselves felt more negative about their health than extended family members. 3)Each nutrient adequacy ratio of single-elderly family/extended family members was 0.72/0.76 of energy, 0.73/0.76 of protein, 0.59/0.66 of Ca, 0.98/0.99 of Fe, 0.62/0.74 of vitamin A, 0.86/0.87 of thiamin, 0.72/0.73 of riboflavin, 0.71/0.77 of niacin, 0.90/0.91 of ascorbic acid, and 0.76/0.80 of Mar. The NAR of vitamin A of the single-elderly family memb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or extended family members(p〈0.05). Energy, protein, Ca, vitamin A, riboflavin showed insufficient intake for both groups. The percentage of INQ〈1 of the single-elderly family/extended family members was 45.6/51.0 of protein, 66.7/66.7 of Ca, 64.9/56.9 of vitamin A. By NAR and INQ, the most insufficient nutrient to the elderly in this rural area was Ca. We there for suggest that it is needed for elderly in rural areas to receive of food that is higher ING of Ca.

  • PDF

가족형태별 중년 성인의 노부모 부양인식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Adults' perception of elderly parents care and related variables in family structures)

  • 박영신 ;김정희 ;전성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455-485
    • /
    • 2016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가족형태별로 중년 성인의 노부모 부양인식과 관련 변인에서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평균 45세의 중년 성인 1,258명(남 601, 여 657; 핵가족 1,111, 대가족 147)이었다. 측정도구의 양적 문항 신뢰도는 Cronbach α=.67~.95이었고, 질적문항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95.1%, Kappa 계수는 .95이었다. 분석 결과, 첫째, 가족형태별로 학력에 차이가 있었으나, 가정경제수준, 직업, 사회계층, 맞벌이 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가족형태별로 가족관계와 심리특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핵가족보다 대가족 중년 성인이 자녀에게 정서적 지원과 자녀를 위한 희생 및 은퇴 후 자녀에 대한 기대를 더 많이 하였다. 또한 대가족 중년 성인이 자기효능감 및 행복 수준이 높았다. 셋째, 가족형태별로 노부모 부양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가족 중년 성인이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 부모님과 식사 횟수, 대화시간, 효도 마음, 노부모 부양행동이 더 많았다. 넷째, 가족형태별로 노부모 부양인식을 살펴본 결과, 핵가족과 대가족 중년 성인 모두, 노부모 부양의 좋은 방법으로 마음 편하게 해 드림을, 노부모 부양할 때 어렵고 힘든 점으로 의견차이 및 경제적 문제를, 노부모 부양할 때 가장 좋은 점으로 자녀교육에 도움이 됨 및 가정화목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토대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PDF

일본 유료 노인홈의 현황과 그 문제점 분석 - 우리나라 노인 복지법 개정에 즈음하여 - (The condition a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Japanese - The change of the Korean geriatric security law -)

  • 신경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1993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20
    • /
    • 1993
  • In Korea, the elderly support has been accomplished by the families in the extended family system with the influence of the transmigration and the confucianism thought. But in Korea the drastic changes of society such as, the growth of the elderly pollution, the urbanization, the decrease of the birth rate, the increase of the working women, the growth of the nuclear families, etc., make the family difficult to take care of the elderly. Therefore, some people insist on the construction of the elderly home as the way to solve the elderly problems and some of corporations including profit-organizations are ready to participate the construction of the elderly home. They force the change of the current social security law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the plans uncer the law. At this point, the conditions of the elderly home in Japan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 to Korea and has facillicated the elderly home business were examined at the consumer persp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possible problems in the elderly home and to prevent from happening another elderly problems in the future.

  • PDF

A Study of Caring for the Elderly by the Families and Extended Families Within a Korcean Clan Village

  • Cho, Myoun-G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5-502
    • /
    • 2003
  • Purpose. This ethnography is aimed at describing the care-giving practices of the nuclear family and relatives of the elderly within a clan village in relation to their socio-cultural context. Four basic notions of the study came from Leininger's culture care theory and the nurse-client negotiation model of Anders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al system of ca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explored: What caring behaviors are performed for the elderly person in a clan and how do these behavior relate to the various components of that particular culture\ulcorner Method.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twenty-one fieldwork expeditions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2002 using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of 7 families drown from two extended familie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techniques of taxonomy, value, and proxemics analysis. Finding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caring for elderly people, their caring values, and four categories of caring were explored. Values of caring and every day life in the clan were hierarchical, reciprocal, and collective. The four categories of caring were: being with, empowering, keeping territory, and enhancing spiritua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culture-specific care and to provide culturally congruent care for the elderly in a clinical setting.

A Study of Health and Food Related Behaviors Among the Free-Living Elderly by Household Type

  • Kang, Keum-J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46-154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usehold type on the health- and food-related behavior of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4 free-living elderly persons in Chun-Chon city in 1999.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household types : living alone (n=35), living with their spouses (n=59), and living with their extended family (n=191).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person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Compared to the group living with their spouses and/or extended families,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 less satisfied with the amount of monthly pocket money available; less involved in social activities; taking less vitamin supplements; doing less physical exercise; more frequently skipping meals and dining out; less frequently consuming meats, vegetables, fruits and seaweed; and having the highest rate of depression.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spouses tended to have the best physical functions and the greatest ability to carry out basic daily activities. The elderly living with their extended families had a higher incidence of diseas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preferred snacks were cooki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fruits for the other two groups. In summary, it has been shown that household typ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formulating adequate future strategies for effective health and nutrition programs.

도시단독주택단지 경로당 시설유형 및 노인복지서비스 이용현황에 관한 비교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cilities' Type of Gyungrodang in Urban Single Rousing District and Present Condition of Welfare Service of the Elderly - Focused on Daejeon City -)

  • 이해욱;송용호;이정수;최상용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2005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the welfare of the elderly is no longer family's and personal problems. It is a social issue that the communities have a role to supply the systematic welfare service of the elderly and the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the extended function and role of Gyungrodang because Gyungrodang is the most wide spreaded welfare service facilities for the normal elderly in urban single housing distri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acilities' program improvement method for the Gyungrodang that hold a extended role as a community welfare service facility for the elderly. This paper Is assessed as an sustainable research of normalization of the old people's living. By the comparison analysis of the existing Gyungrodang in Daejeon City and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welfare service present condition of the elderly in Daejeon City, finally the facilities' program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Gyungrodang is proposed.

주생활단원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 중학교 3학년 기술 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n Elderly Housing Contents in the Housing Chapter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과서의 노인주거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서 10종의 주생활단원 노인주거 내용을 5개 내용요소의 67개 항목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술 가정 교사 233명을 대상으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였다.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11개 항목 중 욕실과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이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욕실 화장실의 안전에 관한 항목(욕실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처리,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샤워기 욕조 세면대의 위치와 높이조정)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도 높았다. '노인실 계획'의 7개 항목에서는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지침(긴급 통보 장치, 화장실을 가깝게 배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20개 항목에서는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설비 갖추기와 노후기 주거 상황에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긴급 통보 장치,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3세대 동거 주택'의 11개 항목에서는 안전에 관한 원칙적 내용이나 세대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항목(노인을 위한 주거 안전 고려, 독립성을 보장하는 세대간의 공간 배치, 노인 전용의 욕실 화장실 두기)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25개 항목에서는 욕실 화장실의 안전한 사용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항목(욕실 화장실의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휠체어가 회전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문이나 통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노인주거 교육내용 구성과 교수학습에 대해 제언할 점은 첫째, 여러 내용요소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높은 4개 항목(긴급 통보 장치, 욕실 화장실 안전 손잡이, 턱이 없고 높이가 같은 바닥, 미끄럽지 않은 바닥)을 보편적인 노인주거 교육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성과 안전관리'의 중점은 욕실 화장실의 안전이 되어야 하며, 셋째, '노인실 계획'의 중점은 화장실의 근접 배치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이 되어야 하며, 넷째, '가족축소기 및 주거의존기'의 중점은 안전사고 방지 설비와 보편적 디자인 지침 및 고령화 대비와 연계되는 내용이 되어야 하며, 다섯째, '3세대 동거 주택'의 중점은 노인 주거 안전과 세대 간의 독립성 확보에 관한 내용이 되어야 하며, 여섯째, '유니버설 디자인'의 중점은 보편적 디자인 지침과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관련법과도 일치하는 내용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PDF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Grandmothers Who Refused to Support Childcare)

  • 김은정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2호
    • /
    • pp.71-102
    • /
    • 2018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조모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 내에서돌봄 역할을 주로 맡아온 조모를 대상으로 이들이 손자녀 양육을 수용하지 않은 계기와 맥락, 이를 둘러싼 가족관계 경험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손자녀 양육지원을 '거부한' 경험이 있는 노년기 여성 7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이들은 손자녀 양육에서 오는 부담감과 연장된 어머니 역할에 대한 거부감, 가족 간 갈등발생 우려로 손자녀를 돌보지 않기로 하였으나, 성인자녀의 요청을 거절한 것에 대해 미안함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이들의 돌봄지원 거부 결정은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역동을 야기했으나 이들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면서도 나름의 방식으로 성인자녀들의 요구에 대응하며 자신의 결정을 관철하고 있었다. 셋째, 노년기 여성들은 손자녀 양육을 성인자녀들의 과업 혹은 사회가 책임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과 사회가 여성 노인에게돌봄 책임을 전가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돌봄 및 가족관계에 대해 과거 노인세대와 다른 관점을 가진 여성 노인들이 등장했다는 점, 전통적인 젠더 인식과 가족돌봄 규범에 균열과 변화가 발생했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이는 돌봄지원 정책에 수립 시 이들의 관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을 지원하고 있는 가족 및 노년기 여성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