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cted waiting tim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2초

다중 프로젝트 상황에서 제품개발 업무의 동적 순서결정 (Dynamic Task Sequencing of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n a Multi-product Environment)

  • 강창묵;홍유석
    • 산업공학
    • /
    • 제20권2호
    • /
    • pp.112-120
    • /
    • 2007
  • As the market rapidly changes, the speed of new product development is highlighted as a critical element which determines the success of firms. While firms endeavor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speed, frequent iterations in a development process hinders the effort of acceleration. For this reason, many previous researches tried to find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development process which minimizes the number of iterations. However, such researches have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 be applied to only a single-project environment. In a multi-project environment, waiting time induced by lack of resources also delays the process as well as the iterations do. In this paper, we propose dynamic sequencing method focusing on both iterations and waiting time for reducing the durations of development projects in a multi-project environment. This method reduces the waiting time by changing the sequence of development tasks according to the states of resources. While the method incurs additional iterations, they are expected to be offset by the reduced waiting time.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w that the dynamic sequencing method dramatically improves the efficiency of a development process. Especially, the improvement is more salient as projects are more crowded and the process is more unbalanced. This method gives a new insight in researches on managing multiple development projects.

컨테이너 터미널 내 반출입 차량 대기시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ate In-Out Truck Waiting Time in the Container Terminal)

  • 김영일;신재영;박형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4-350
    • /
    • 2022
  • 물동량의 증가로 인해 컨테이너 터미널의 혼잡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른 장치장 및 게이트에서의 반출입 차량의 대기시간이 큰 폭으로 길어지고 있어 차량 운용 및 항만 운영 비효율이 극심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부산항의 경우, 항만 공사 및 터미널 측에서 반출입 차량 예약시스템(VBS), 터미널 차량 혼잡도 정보, 예상 작업 처리 시간 정보 등을 서비스하고 있지만 실제 대기시간과 상이한 경우가 있어 가시적인 효과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본 연구에서는 부산 신항의 컨테이너반출입 정보를 활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반출입 차량 평균 대기시간 예측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제 평균 대기시간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률을 검증한 결과 제시한 예측 모형이 높은 예측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잭슨 네트워크를 이용한 응급실의 대기 시간 단축 연구 (An Application of a Jackson Network for Waiting Time Reduction at the Emergency Care Center)

  • 김수미;서희연;이준호;권용갑;김성문;박인철;김승호;이영훈
    • 경영과학
    • /
    • 제27권1호
    • /
    • pp.17-31
    • /
    • 2010
  • Patients entering an emergency care center in a hospital usually visit medical processes in different orders depending on the urgency level and the medical treatments required. We formulate the patient flows among diverse processes in an emergency care center using the Jackson network, which is one of the queueing networks, in order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s such as the expected queue length and the expected waiting time. We present a case study based on actual data collected from an emergency care center in a hospital, in order to prove the validity of applying the Jackson network model in practice. After assessing the current system performances, we provide operational strategies to reduce waiting at the bottleneck processes and evaluate the impact of those strategies on the entire system.

개인 병원의 부분 예약제 도입을 위한 시뮬레이션 분석 사례 (Simulation Analysis for a Partial Appointment System of Outpatients in a Private Clinic)

  • 라순영;정병호;유태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7-64
    • /
    • 2012
  • 환자의 대기시간은 의료시스템의 서비스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개인병원의 경우 아직 환자 예약제가 보편적이지 않다. 예약제는 환자들을 시간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환자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예약규칙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예약환자와 비예약환자의 대기시간을 비교분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을 통해 예약자 할당 슬롯의 길이가 60분일 때보다 30분일 때 환자의 대기시간이 짧게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ANOVA 분석을 통해 예약자 할당수준 1에서 비예약 환자의 경우는 일정패턴 규칙에서 예약 환자의 경우에는 지그재그패턴 규칙에서 평균대기 시간이 짧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인다.

약국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환자체감시간과 실 조제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n Satisfaction of Pharmacy Service)

  • 박성희;서준규;윤혜설;홍진영;박군제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2-215
    • /
    • 1998
  • Purpose : To shorten processing time for variety of medical affairs of the patient at the outpatient clinic of a big hospital is very important to qualify medical care of the patient. Therefore, patient's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after doctor's prescription is often utilized as a strong tool to evaluate patient satisfaction with a medical care provid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1 to August 12, 1998. A total 535 patients or their families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of Inha University Hospital were subjected to evaluate the drug delivery time and th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related, which were compared with those objectively evaluated by Quality Improvement Team.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mean drug delivery time subjectively evaluated by the patient (16.1 13.0 min) was longer than that objectively evaluated (10.9 7.6 min) by 5.2 min. Drug delivery time objectively evaluated was influenced by the prescription contents, total amount or type of drug dispensed, etc, as expected. The time discrepancy between two evaluations was influenced by several causative factors. One of those proved to be a patient's late response to the information from the pharmacy which the drug is ready to deliver. Interestingly, this discrepancy was found to be more prominent especially when waiting place for drug delivery was not less crowded. Other factors, pharmaceutical counseling at the pharmacy, emotional status or behavior of a patient while he waits for the medicine, were also found to influence the time subjectively evaluated. Regarding the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drug delivery, majority of patients accepted drug delivery time with less than 10 min. It was also found to be influenced by emotional status of the patient as well as kindness or activity of pharmaceutical counselor.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besides prescription contents, behavior pattern or emotional status of a patient, environment of the waiting place, and quality of pharmaceutical counseling at the pharmacy, may influence the patient's subjective evaluation of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and his satisfaction related with the service in the big hospital.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waiting time for drug delivery, it will be cost effective to qualify pharmaceutical counseling and information system at the drug delivery site or waiting place rather than to shorten the real processing time within the pharmacy.

  • PDF

데이터 로딩과 사용자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rrelating Data Loading with User Experience)

  • 윤인식;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3
    • /
    • 2024
  •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차량 내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고, 사용자는 웹과 앱을 통해 매일 정보를 얻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응답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기다리라는 메시지를 받게 된다. 사용자의 대기는 불편한 경험이지만,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대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서비스 처리 시간이 예상치를 넘어가면 사용자는 더욱 심한 지루함과 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로딩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신의 로딩 기법인 Skeleton 로딩이 사용자 대기 경험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다른 로딩 기법과 비교하여 UI 측면에서 얼마나 매력적인 디자인 기법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Skeleton 로딩은 사용자 대기 경험을 개선하고, UI 디자인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Travel-Time 모델을 이용(利用)한 최적(最適) 서어비스 수준(水準) 결정(決定)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ervice Level by the Travel-Time Models)

  • 박병기;정종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2-148
    • /
    • 1989
  • In order to determine the level of service which minimizes the total of expected cost of service and the expected cost of waiting for that service,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are to evaluate the distance traveled to and from a service facility (D) and the expected number of mechanics in queueing system (L). The travel-time models are very useful when the servers must travel to the customer from the service facility. Thus, in this paper we studi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ervice level by the travel-time models. In order to decide the optimal service level, (D) has been introduced as a uniform distribution and (L) has been introduced as M/M/S model of queueing theory.

  • PDF

상수 공정 시간을 갖는 라인 생산 시스템에서 DBR과 CONWIP의 성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DBR with CONWIP in a Production Line with Constant Processing Times)

  • 이호창;서동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24
    • /
    • 2012
  • 이 연구는 상수 공정 시간을 갖는 라인생산시스템에서 CONWIP과 DBR이 각각 max-plus 선형시스템의 특수형태임을 밝히고 max-plus 대수에 기반한 안정대기시간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CONWIP와 DBR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CONWIP의 경우, 생산시스템 내의 체류시간은 DBR의 경우보다 항상 짧다는 사실이 수학적으로 규명되었고 예제를 통해 계산, 비교되었다. 한편 두 경우에서 모두, 애로공정이후 노드에서의 대기시간은 유한버퍼의 크기와 공정의 순서에 무관함을 확인하였다. CONWIP에서는 시스템 내 평균 대기시간 또는 체류시간이 공정의 순서에 무관하지만, DBR에서는 애로공정이 뒤로 갈수록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s Arrival Information for BIS)

  • 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75-181
    • /
    • 2002
  • 본 연구는 BIS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버스도착안내정보의 형태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도착예정시간을 안내하는 경우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총대기시간을 구하고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을 도출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버스도착을 안내된 도착예정시간 보다 일찍 도착하는 조기도착과 늦게 도착하는 지연도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대기시간의 합인 총대기시간을 함수화하였다. 모형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BIS 시스템에서 평균도착시간이 안내해야할 최적의 도착예정시간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은 작은 범위의 표준편차와 아주 큰 표준편차의 버스통행시간에 대해서 평균도착시간에 가까워져야 하고, 중간의 표준편차 범위에서는 표준편차가 클수록 늦게 안내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조정가능한 대기모형에 {T:Min(T,N)} 운용방침이 적용되었을 때의 시스템분석 (A System Analysis of a Controllable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Min(T,N)} Policy)

  • 이한교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1-29
    • /
    • 2015
  • A steady-state controllable M/G/1 queueing model operating under the {T:Min(T,N)} policy is considered where the {T:Min(T,N)} policy is defined as the next busy period will be initiated either after T time units elapsed from the end of the previous busy period if at least one customer arrives at the system during that time period, or after T time units elapsed without a customer' arrival, the time instant when Nth customer arrives at the system or T time units elapsed with at least one customer arrives at the system whichever comes first. After deriving the necessary system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expected number of customers in the system, the expected length of busy period and so on, the total expected cost function per unit time for the system operation is constr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operating policy. To do so, the cost elements associated with such system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ustomers' waiting cost in the system and the server's removal and activating cost are defined. Then, procedures to determine the optimal values of the decision variables included in the operating policy are provided based on minimizing the total expected cost function per unit time to operate the queueing system under consid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