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in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 성은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07
  • 콩과의 화분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분류학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 12속 31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콩과의 화분립 형태는 단립이었으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드물게 아장구형으로 나타났다. 화분립의 발아구는 적도면에서 일렬로 배열하는 삼공구형이거나 혹은 드물게,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목의 다른 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삼복개형이었다. 본 과는 표면무늬에서 평활상, 미세공상, DMIP상, 세공상, 다각형 세공상, MAP상, MPG상, PMAP상, VPPS상, VP상, 과립상, 난선상, 망상, 세망상과 같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화분학적 특징은 개느삼속이 고삼속으로 합병되어야 함을 지지하였고, 골담초속(Galegeae족)과 Sophoreae족 내 Sophora 그룹(Maackia, Sophora, Echinosophora)이 측정된 모든 특징과 표면무늬에서 서로 상당히 유사하였다. 발아구형, 화분립형태 그리고 표면무늬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콩과의 11속이 인지되었고, 한국에서 생육하는 목본 콩과의 속수준의 화분검색표와 싸리속의 화분형검색표가 작성되었다. 조사된 Coronilla속과 등나무속 내 분류군들이 표면무늬에 의해 구별이 가능했다.

A palynological study of Dioscorea (Dioscoreaceae) in Korea

  • JEONG, Dae-Hui;JO, Hyeong-Jun;KIM, Jae-Young;KWON, Min-Ji;JEONG, Seon;PARK, Hong-Woo;CHUNG, Youngjae;CHUNG, Gyu-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9-34
    • /
    • 2022
  • A palynological study of genus Dioscorea L. in Kore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alyn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ven taxa of Dioscorea L., including six that are distributed in Korea and D. tokoro found in Japan, sections or spec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apertures, the polar end shape, and exine sculpturing. Specifically, the exine sculptures of D. coreana and D. tokoro, erroneously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are distinguishe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apertur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microsporogenesis, and it can be presumed that disulcate pollen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monosulcate pollen in Dioscorea.

인삼의 화분벽 발달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Study of Pollen Wall Development at Late Stage of Microsporogenesis in Panax ginseng)

  • 정병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74-83
    • /
    • 2005
  • 인삼의 소포자 발달에 따라 화분벽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소포자 4분자 시기부터 화분이 성숙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투과 및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화분벽의 발달은 감수분열이 끝나고 소포자 4분자가 callose에 둘러싸여 있을 때 시작된다. 화분벽 발달 초기에는 원형질막이 두터워지고 구불구불해지며 원형질막 바깥쪽에 섬유성 구조물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이 섬유성 구조물은 점점 뚜렷하게 나타나고 premexine으로 발달한다. 원형질막의 함입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premexine이 연결되어 단간이 발달하고 성숙화분에서는 endexine에 일시적으로 흰색의 선이 관찰되었다. 표벽발달이 완료되면 hypertrophic Golgi에서 형성되는골지소낭에 의하여 내벽이 발달하고 발아구 부위에서는 내벽이 비후되어 나타났다. 성숙한 인삼화분은 3구형 화분으로서 약 $20{\mu}m$ 크기이며 표벽무늬는 세망상형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 자생나리의 종별 화분형태 분석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ilium Native to Korea by Pollen Size)

  • 남유경;박기배;이진희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62-65
    • /
    • 2010
  • 한국산 나리속 7종의 화분 관찰에 의한 나리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분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단립(monad)으로 발아구가 한 개인 장형(prolate)을 띠었다. 화분 길이와 폭의 비율은 종별로 차이를 나타내어서 말나리가 2.59로 제일 큰 장타원형을 나타냈고, 하늘말나리는 1.82로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을 나타냈다. 화분의 길이와 폭은 참나리가 각각 115.90와 $46.54{\mu}m$로 가장 컸으며 하늘말나리는 길이와 폭이 각각 $70.33{\mu}m$$38.72{\mu}m$로 가장 작았다. 외막의 표면 무늬는 망상(reticulate)으로서 망강(lumen)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다각형으로 7종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속의 종간 분류는 말나리와 중나리가 오차범위 내에서 유사한 화분 크기를 지니고 있었다. 한편, 나머지 종들의 화분 길이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어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분의 길이를 통한 나리속의 분류는 외막 모양이나 화분의 단면적보다는 화분 크기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Rhododendron (Ericaceae) in Korea

  • Park, Joon-Moh;Song, Un-Soo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63-672
    • /
    • 2010
  • The pollen morphology of eleven species and three forms of the genus Rhododendron (Ericaceae) in Korea was examined using light, scanning electr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ollen grains are grouped in permanent tetrahedral tetrads; viscin threads are present on the tetrads. The hexacolporate tetrads are of tricolporate monads whereby the apertures form in pairs at six points in the tetrad. The exine sculpture pattern is rugulate, scabrate or verrucate on mesocolpium but psilate, rugulate or microscabrate around the aperture on apocolpium. The exine of Korean Rhododendron pollen consists of tectum, columella, foot layer and endexine. The surface of viscin threads is more or less smooth. The threads are sometimes tangled together and occasionally divided into strands. Six types are recognized based on the pollen morphology. The types are: (1) Micranthum-type (rugulate mesocolpium and psilate apcolpium), (2) Tomentosum-type (rugulate mesocolpium and apocolpium), (3) Aureum-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ugulate apocolpium), (4) Brachycarpum-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od shaped-microscabrate apocolpium), (5) Schlippenbachii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ound-microscabrate apocolpium) and (6) Weyrichii-type (verrucate mesocolpium).

Three-dimensional Refractive-index Distributions of Individual Angiosperm Pollen Grains

  • Park, Chansuk;Lee, SangYun;Kim, Geon;Lee, SeungJun;Lee, Jaehoon;Heo, Taehyun;Park, Yoonjeong;Park, YongKeu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5호
    • /
    • pp.460-467
    • /
    • 2018
  • Three-dimensional (3D) refractive-index (RI) imaging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angiosperm pollen grains are presented. Using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 the 3D RI structures of individual angiosperm pollen grains were measured without using labeling or other preparation techniques. Various physical quantities including volume, surface area, exine volume, and sphericity were determined from the measured RI tomograms of pollen grains. Exine skeletons, the distinct internal structures of angiosperm pollen grains, were identifi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3종 화분포자류(花粉胞子類) 한약재(송화분(松花粉), 포황(蒲黃), 해금사(海金沙))의 미세형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external micro-morphology of 3 kinds of minute pollen and spore Herbs (Pini Pollen, Typhae Pollen, Lygodii Spora) utiliz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김영식;송준호;최고야;이금산;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18
    • /
    • 2020
  • Objectives : We tri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genuine by discriminating 3 kinds of pollen and spore herbs that are highly to be mixed with each other. Using 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 prepare a standard for discriminating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minute herb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table supply of genuine herbal medicines. Methods : Standard samples were confirmed by literature review 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medicines, and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original plants. The herbal medicines on the market were purchased and classified with using naked eye observation and magnifier. Finally, micromorphological identifications were conducted using a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sults : 1. Pini Pollen was clearly distinguished by its relatively medium size and a pollen grain with two swollen reticulate sacci at both ends. The verrucate ornamentation on the exine surface of the corpus and a sunken leptoma germ pore may be used as a discrimination criteria. 2. Typhae Pollen was distinguished by its relatively small size and a saccus on the end of a pollen grain. Reticulate ornamentation of exine surface of the corpus, and a slightly clear ulcerate germ pore can be used as a discrimination criteria. 3. Lygodii Spora was distinguished by its relatively large triangular-ovate shape and trichotomous fissure. Verrucate-tuberculate ornamentation of exine surface and trilete aperture could be used as a discrimination criteria.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electron microscopy is very effective for discriminating the external morphology of minute herbal medicines.

마타리족(Patrinieae Höck, 마타리과)의 화분형태학적인 연구 (Pollen morphology of Patrinieae Höck (Valerianaceae))

  • 정은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3-177
    • /
    • 2008
  • 마타리족(Patrinieae $H{\ddot{o}}ck$, Valerianaceae)에 속하는 마타리속과 Nardostachys속의 17분류군(14종과 추가된 2아종, 1변종)의 화분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화분의 크기는 주로 중립($37.41{\times}43.60{\mu}m$ - $45.65{\times}48.50{\mu}m$)에서 대립($54.88{\times}59.41{\mu}m$ - $61.70{\times}71.00{\mu}m$)까지 나타나고, 발아구는 3구형이며 드물게 4구형이다. 화분립 발아구의 가장자리에는 'halo'라는 마타리과 화분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형질을 갖고 있으며, 화분립의 모양은 적도면에서 단구형에서 약장구형이고, 극축면은 3갈래로 갈라지거나 원형이다. 마타리족의 화분은 표면무늬에 따라서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구별되어진다; (1) Type I: 과립상돌기(verrucae)가 약간 발달하거나 거의 없고, 자상돌기(echinae)가 과립상돌기 위에 발달하며 미세자상돌기(microehinae)가 산재한 형태(Nardostachys속, 마타리속의 Paleopatrinia절, Monanadropatrinia절), (2) Type II: 과립상 돌기가 잘 발달하고, 자상돌기가 과립상돌기 위에 매우 크게 발달하며 미세자상돌기가 조밀하게 화분표면을 덮고 있는 형태(마타리속의 Centrotrinia절).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연구에서 원주층은 기저층으로부터 과립상돌기로 연결되고, 표벽의 두께는 극과 적도에서 동일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마타리족의 분류체계가 검토되었다.

벌 화분에서 습식 나노화 공정에 의한 유효성분의 추출 (Enhanced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Bee Pollen by Wet-grinding Technology)

  • 최윤식;서화진;정일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1-656
    • /
    • 2016
  • 벌 화분은 꿀벌로부터 생산되며 자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장 균형 잡힌 영양 식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역사적으로도 벌 화분은 질병치료와 에너지 보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서는 벌 화분의 항산화, 항염증, 심지어 항암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고 있다. 그러나 벌 화분은 exine이라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어 강산이나 고압 그리고 소화효소 등에 매우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로 인하여 생체이용률이 낮아 영양공급과 임상적 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벌 화분의 외피를 분쇄할 수 있는 습식분쇄기술을 개발하여 벌 화분의 생리활성을 분석하고자 기획되었다. 먼저 습식분쇄를 통해 벌 화분의 외피가 효과적으로 분쇄됨을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다. 게다가 습식분쇄에 의해 벌 화분의 활성성분으로 잘 알려진 polyphenol 화합물의 양이 약 11배 증가하였고 ABTS 항산화 분석법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습식분쇄기술을 통해 벌 화분을 임상적 및 향장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Pollen morphology and character evolution in the subtribe Neoguillauminiinae (Euphorbiaceae)

  • PARK, Ki-Ryo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1-106
    • /
    • 2019
  • A pollen morphological study was conducted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volving six species belonging to the subtribe Neoguillauminiinae. Pollen samples from the six species are tricolporate, and the colpi are surrounded by broad margo, with the widest width in the equator, narrower toward the pole, and rounded at the end. Based on the pollen morphology, pollen of the species in the subtribe Neoguillauminiinae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the Neoguillauminia type (T1), the C. collinus type (T2), the C. casuarinoides type (T3) and the C. paucifolius type (T4). The generic divergence between Neoguillauminia and Calycopeplus was supported by the pollen characters of the size, amb and lumina shape. In particular, the traits of rounded shape in the outline of the polar view and circular lumina, which appear only in the pollen grains of N. cleopatra, support the recognition of Neoguillauminia as a monotypic genus. Calycopeplus oligandrus and C. paucifolius had the same reticulate pattern of pollen grains, supporting Forster's hypothesis that these two species are closely related. On the other h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ly similar C. collinus and C. casuarinoides was not supported by the pollen characters. Within the subtribe there are two equally parsimonious hypotheses regarding the evolution of exine characters. The first consists of two changes of microreticulate through parallel evolution from the primitive reticulate exine, and the second is that the microreticulate pattern is differentiated from the reticulate state and then reversed to reticulate pollen g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