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haustivit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How can Korean -i/ka express exhaustivity?

  • Kim, Ilkyu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9권2호
    • /
    • pp.37-53
    • /
    • 2015
  •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Korean -i/ka, known as the nominative marker, can give rise to exhaustivity effect. However, it has been rarely discussed and still remains unclear how and why the particle can convey exhaustiv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is issue, based on Kim's (2014) analysis of the function of -i/ka. The main claim is that the exhaustivity expressed by -i/ka is a pragmatic effect derived from the interaction of the function of -i/ka, namely, unique specification, and the existence of alternatives to the denotation of an -i/ka-marked phrase in discourse context. Thus, the nature of the exhaustive implicature induced by -i/ka is not conventional but conversational.

  • PDF

KORMARC 형식(단행본용)의 개정에 관한 연구 (A Sudy for Revision of the KORMARC Format(Monograph))

  • 이두영;최석두;이상헌;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42
    • /
    • 1992
  • KORMARC 형식은 협동 목록으로서의 처리 능력, 국가 서지 기술 형식으로서의 포 괄성 및 간결성 그리고 국제 교환용으로서의 호환성 및 확장성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기 술 규칙에 충실하고, 전산 처리에 편리하고 亢長性이 없으며, 국제 표준을 준용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이 1984년에 발표한 KORMARC 단행본용 형식을 이 와 같은 관점에서 검토하고 개정한 것이다.

  • PDF

엘리먼트 기반 XML 문서검색의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Element-based XML Document Retrieval)

  • 윤소영;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1-219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가장 적합한 엘리먼트 기반 XML 문서검색 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언어모델 검색 접근법으로 다이버전스 기법, 보정 기법 그리고 계층적 언어모델의 검색성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가장 효율적인 검색 접근법으로 문서의 구조정보를 적용한 계층적 언어모델 검색을 제안하였다. 특히, 계층적 언어모델은 실제 검색에서 중요성을 가지는 검색순위 상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초점과 주제의 음성학적 관련성 (Focus, Topic and Their Phonetic Relevance.)

  • 김용범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1호
    • /
    • pp.27-52
    • /
    • 2004
  •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various notions involving focus and topic found in Korean and also employs phonetic measures to verify the plausibility of those notions that are theoretically argued for. This paper crucially relies on Prince (1981) for the notion of familiarity and its pragmatic significance, and adopts Rooth's (1985) notion of alternative set and utilizes it in the light of pragmatic interpretation. The basic idea of this paper is to decompose the notion alternative set into finer-grained components and to assign various levels of familiarity to those finer components, thereby helping define different kinds of focus and topic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ose sub-components.

  • PDF

초점 현상과 담화 영역 (Focus and Discourse Domain.)

  • 위혜경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1호
    • /
    • pp.1-26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discourse domain involved with focus sentences. The major theories of focus including Roothian Alternative Semantics are critically reviewed: Alternative Semantics takes a contradictory attitude toward the truth conditional aspect of free focus. The truth conditional differences are treated as a pragmatic inference, while they are captured by the semantic mechanism, that is, the alternative sets generated by focus constructions. In addition, the alternative sets are ad hoc since they are generated only for focus construction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alternative sets introduced by foci in the framework of Alternative Semantics are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an analysis of focus. It is argued that the domain sets simply provided by the model itself suffices for a proper analysis of focus constructions.

  • PDF

주제색인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alphabetical subject indexing)

  • 윤구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0권
    • /
    • pp.95-131
    • /
    • 1983
  • Index is a systematic guide to items contained in, or concepts derived from, a collection, Thus, it is represented as a paired set of index terms (t) and documents (D) : I= {(t,D) vertical bar t .mem. V, D .mem. W), where V is index vocabulary and W is document collection. Indexing is the process of analysing the informational content of records of knowledge and expressing the informational content in the language of the indexing system. It involves: 1) Selecting indexable concepts in a document; and 2) expressing these concepts in the language of the indexing system (as index entries): and an ordered list. Indexing process involves technical, semantic and syntactic problems. Technical problems are related to the accuracy of indexing, which is primarily governed by the indexer's ability of analysing subject, identifying indexable concepts, and coding. The proper levels of indexing exhaustivity, and index language specificity are also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index. Semantic problems are related to the choice of index terms and the form in which they should be used. Equivalent, hierarchical and affinitive/associative relationships of index terms are involved. Syntactic problems are largely related to the coordination of index terms. This process of coordination arises from the need to be able to search for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classes defined by terms denoting distinct concepts. Finally, most valuable aspects of alphabetical subject indexing theories and practices are derived from those of Cutter, Kaiser, Ranganathan, Coates, Lynch and Austin, and discussed in details.

  • PDF

패싯 분석을 이용한 웹 자원의 조직 (A Study on Organizing the Web Using Facet Analysis)

  • 유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41
    • /
    • 2004
  • 웹 자원을 색인 및 조직하는 데에는 키워드 추출에 기반한 자동색인에 의한 방법과 기존의 분류 체계나 주제별 디렉토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두 방법은 각각 표준적인 방식이 없거나 분류 구조상의 불합리성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 분류 체계의 구조상의 한계와 특정성과 망라성과 같은 웹 자원의 특성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함과 더불어 패싯 분석에 의한 웹 자원 조직의 타당성과 그 장단점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패싯 분석을 이용 한 구체적인 방법론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패싯 분석을 기반으로 한 색인 시스템, 둘째, 열거형 분류 체계를 패싯 분류 체계로 구조를 수정한 대안, 셋째, 국내 검색 엔진의 주제별 디렉토리의 패싯 모형 등이다. 이러한 방법론들을 검토한 결과, 패싯 분석에 의한 통제어휘 구축이 웹 자원을 조직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 박태연;한희정;김용;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5-15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재난 안전 유관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 관련 분류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일원화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의 구축을 위한 기본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외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살펴보았으며, 현재 국내 재난 유관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체계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실무자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재난유형 분류체계 개발을 위하여 일관성, 망라성, 체계성, 및 한국형 재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 개발을 위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의 복잡성, 복합재난의 출현 등을 고려하여 패싯 분류체계의 적용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