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yday experience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4초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및 배경요인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Practice, and Background Factors in Using Students' Everyda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ce)

  • 나지연;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35-645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교수과정에서 학생의 일상경험 도입과 관련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그 배경요인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공, 교직경력, 성별, 성장지역, 연령 등 각각의 특성이 다른 네 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을 하기 위해 수업의 도입부에 일상경험을 상기하도록 학생들에게 발문하였다. 교사들은 과학수업에 일상경험을 도입하는 것에 우호적이었고 더 높은 수준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과학수업에서는 일상경험을 소극적으로 도입하거나 외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과학수업에 대한 기억', '자녀교육 경험', '유년기의 성장환경', '개인의 학습양식', '불충분한 지식 열정', '일상생활의 과학 교육적 의미', '교사의 의무에 대한 인식', '평가결과의 중요성', '실험의 어려움', '일상경험 도입 시 학생의 반응', '교과용 도서의 체계', '교수학습 시간 부족', '국민공통기본 교육 구현', '담당 학생의 특성', '타 교육주체의 요구', '일상경험 도입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직무관련 외적 요인의 영향에 의해 자신의 인식과 다른 실행을 하고 있으며, 일상경험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하여 교과용 도서 등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다.

학문 중심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생활 소재의 과학 교재화 방안 (Problems of Discipline Centered Science Education and a Method of the Utilization of Everyday Materials in Science Education)

  • 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7-126
    • /
    • 1991
  • The new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America and Europe has been heavilly oriented into technological and soceital aspect of science since 1970. However, this spirit has not been well informed in Korea and not adapted in science education. This paper aimed to arouse Korean science educators attention to everyday situation as a science education context. In this paper, the discipline centered science education was briefly reviewed and problems related to the philosophy was pointed out.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introduced STS context as a science education objective, and elaborated the three elements(physical situation, technological situation. and societal situation) of the context. In the paper, the advantages of the use of everyday context in science education were examined. THe advantages were analysed in terms of the nature of science, learning psychology, integrated science, and societal aspect of science education. The paper also suggested the criteria to select teaching materials from STS context. The suggested criteria were the degree of science concepts involvement, frequency of experience, strength of experience, and possibility of direct experience.

  • PDF

현대 포르투갈 건축의 공간적 톤에 관한 연구 - 일상성의 건축적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Tone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Everyday-ness -)

  • 이길호;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00-108
    • /
    • 2012
  • Modern architecture tends to split the everyday life and the space of human. Position of architecture should b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need. It will be study on the everyday life of architecture from architecture and everyday life of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is study, it makes clear the visual aspects of architectural experience to acquire spatial tones for analyzing architectural Everyday-ness. In this case, Portugal's modern architectural space was impressing,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local color and architectural vocabulary of the Everyday-ness. Therefore,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y relationship analysis reveals the space of these spatial ton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of architecture be analyzed of simplicity, purity, locality, reminiscent, continuity, and transition, etc.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an be derived into five classes such as light, color, material, pattern (texture), and depth. In conclusi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veryday-ness and expression elements of spatial tones consist of configuration matrixes to analyze the spatial tone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ton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Portugal are background-ness, one-ness, and inherence. I hope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of the architectural Everyday-ness.

  • PDF

장애유형, 장애정도 및 경제활동상태와 결혼생활만족도의 관계: 고용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Type, Severeness, Economic Act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Using the Employment Panel Data in Everyday Discrimination)

  • 이성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281-30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들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 장애인에 대한 일상생활 차별경험이 매개역할 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장애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조사는 본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 고용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가운데 장애를 가지고 있고 직장을 비롯한 일상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할 수 있는 결혼을 한 장애인 3,4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형(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정신장애, 신체내부장애)과 장애정도(중증, 경증), 경제활동상태(임금근로자, 자영업주, 무급가족종사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는 실업자와 중증을 제외하고 결혼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그리고 경제활동상태가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부분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결혼생활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줄이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 자아존중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on Sociality)

  • 정경순;박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9-127
    • /
    • 2021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with sociali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ity. Methods : In the study 209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in B city were surveyed for the period of July through September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for Windows to determine the frequency, percentage ratio,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everyday creativity of the nursing students was 3.65±0.43, self-esteem was 3.70±0.63, and sociality was 3.21±.3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self-esteem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rade (F=3.11, p=.027), monthly income (F=2.41, p=.050), health condition (F=4.87, p=.001) and clinical experience (t=-2.17, p=.03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with regard to sociality. A static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self-esteem (r=.478, p<.001) and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sociality (r=.342, p<.001). Self-esteem and sociality were also statistically correlated (r=.168, p<.05).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articipants' sociality included monthly income (𝛽=.168, p=.015), health condition (𝛽=.178, p=.022), clinical experience (𝛽=-.161, p=.048), ability to find alternative solutions (𝛽=.245, p=.015), and in dependent nature (𝛽=.224, p=.003); The explanatory power was 15.60 %. Conclusion :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veryday creativity, self-esteem, and sociali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science, Greater efforts are needed to develop programs that nurture the sociality of college student majoring in nursing science.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Meaning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in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김일기;이민부;박승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7-261
    • /
    • 2002
  • 본 논문은 지리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방법이 지리지식과 접목되었을 때, 지리과 교육의 목표성취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에서는 지리학과 지리교육과정에서 도출된 과학적.체계적인 비일상적 지리개념이 내용선정의 범위를 이루고,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적인 위계가 내용조직의 계열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 구성의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되는 자연발생적이고도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지리적 요소로부터 이해될 수 있도록 선정.조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준거로는 일상적으로 학습자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토대로 한 내용, 체계적인 지리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구체적 내용, 변화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리적 생활경험을 반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준거를 바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의 '환경문제와 지역문제'단원을 선정하여,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실제내용을 선정 개발하였다.

관광과 일상의 결합에 관한 소고 (An Issues on the Nexus of Tourism and Everyday Life)

  • 오정준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28
    • /
    • 2021
  • 관광은 일상의 대척점으로 간주되어 왔다. 일상은 매일 반복되는 시간에 일상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평범한 경험이고, 관광은 한시적 시간에 비일상적 공간에서 행해지는 색다른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본고는 관광과 일상을 바라보는 이분법적 사고를 뛰어넘어 각각의 경계를 초월한 결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광공간에서 나타나는 일상의 평범함을 분석하고, 역으로 일상공간에서 표출되는 관광적인 색다름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일상생활의 루틴은 관광 실천에 영향을 주고, 수행을 통한 가족여행은 관광공간을 일상화시키며. 현지 주민의 평범한 일상을 경험하기 위한 비전형적 관광공간이 글로벌 도시의 근린에서 나타난다는 점을 도출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은 더욱 관광화되고, 관광은 보다 일상화된다는 점을 파악했으며, 궁극적으로 일상과 관광 간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었다.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Emotional Experience of Korean Urban Elderly in Everyday Liv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한경혜;손정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159-118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도시노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을 활동의 공간과 대인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노인들의 순간 정서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의 일상생활의 구성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은 노인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맥락 중 하나인 젠더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76명, 여성 72명의 도시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외적, 내적 경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평소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매 순간마다 어떠한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개인이 반복적으로 작성한 응답수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t 검증, 그리고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공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은 집이고, 일상의 시간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사람은 배우자였다. (2)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정서경험 수준이 높았다. (3) 활동의 공간 및 대인맥락과 정서경험 수준 간 관련성이 젠더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의 의미와 이와 관련되는 일상의 맥락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미술관의 소셜플랫폼 역할과 관람객 체험 (A Study on the Role of Art Museums and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Based on Social Platform)

  • 구보경
    • 트랜스-
    • /
    • 제9권
    • /
    • pp.67-92
    • /
    • 2020
  • 소셜플랫폼과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 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인터넷에 표현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상이 되었다. 특히 SNS는 자신을 쉽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이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개인의 소소한 일상부터 무엇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관람객들의 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관람객들을 끌어들여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기반의 프로그램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수용한 미술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의 소통방식이 미술관 관람에서도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SNS을 비롯한 모바일 기반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험의 플랫폼으로서 미술관, 더 나아가 기술수용에 따른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홧병 환자의 가족붕괴 경험 (The Experience of Family Breakdown of Hwabyung Patient)

  • 채선옥;박영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70-482
    • /
    • 200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experience of family breakdown of Hwabyung patients in a socio-cultural context. Method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5 participants, 2 family members and 1 friend of participant by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07. Sociology of everyday lives analyzing method were adopted. Results: There were two processes of family breakdown ; sudden on set and progressive processes. The sudden breakdown was unpredictable death of a husband, the significant family member. On the other hand, their family structure and function were broken down through the husband, who repeatedly destructive and malicious behaviors. The experience of family breakdown of middle-aged women with Hwabyung in a socio-cultural context was weakened or severed family-relationships, exhaustion of economic sources, and the breakdown of participant's body. Participant's experience of family breakdown were influenced by Korean culture,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and the clan-centered family system. Conclusion: Hwabyung is the result of a clan-centered family system and patriarchal system. The approach to Hwabyung should involve not only the person with the illness but also their fami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