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al Experience of Korean Urban Elderly in Everyday Live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공간/대인맥락과 정서경험에서의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 한경혜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 손정연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09.06.01
  • Accepted : 2009.08.20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veryday emotional experience of urban elderly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lace/location of activity and companionship on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48 urban elderly (men=76, women=72) in Seoul,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self-report and in total 5,530 self-reports were provid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2 verification,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in Korea spend a quite substantial portion of their time at home, and they spend the largest share of their time in company with their spouse. Second, women report higher intensity of stress and irritation than men in terms of overall emotional experience. Third, the effect of activity location and companionship on emotional experience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Emotional experience of daily live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are shown to be inter-rel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a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situational contexts of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y Korean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도시노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을 활동의 공간과 대인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노인들의 순간 정서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의 일상생활의 구성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은 노인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맥락 중 하나인 젠더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76명, 여성 72명의 도시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외적, 내적 경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평소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매 순간마다 어떠한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개인이 반복적으로 작성한 응답수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t 검증, 그리고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공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은 집이고, 일상의 시간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사람은 배우자였다. (2)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정서경험 수준이 높았다. (3) 활동의 공간 및 대인맥락과 정서경험 수준 간 관련성이 젠더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의 의미와 이와 관련되는 일상의 맥락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7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KRF-2007-327-B00381)에 의하여 수행되었음.